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매개적 인물의 형상화와 관조적 리얼리즘의 구현 : 염상섭의 『삼대』론

        유철상 현대문학이론학회 2004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21

        Character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components in a novel. Novel is different from drama in that it bring out the totality of objects while drama the totality of movement. Despite the importance of characters in novel, the actual description of characters, compared with drama, is usually subsidiary and peripheral. We can find in Yeom Sang-seop's Three Generations one of the representing examples that illustrate this characteristic of novel. Cho Deok-ki, the main character in Three Generations, is well known for his irresolute character. There is a reason why he is described as an irresolute person. It is due to his in-between position between Cho Ui-gwan who represents the old conservative generation and Kim Byeong-hwa, the new radical generation. If it tis true that a novel is intended to bring out the whole aspect of reality and the process of its transformation, it will be legitimate to say that irresolute Cho Deok-ki, who symbolizes the diverging point between the old and new generations, is a typical character in the genre of novel. In conclusion, the peculiarity of novel lies in the fact that the typical characteristics are to be presented not just in a character but also in the environment. Considering the title of the work, Three Generations, we might say that Cho Sang-hun, who is not introduced at the beginning and turns out to be a degenerated and incompetent person, plays little role in the novel. In the light ot this fact, it is problematic the fact that Part 2 of the novel, where Cho Sang-hun becomes the focus of events, is disintegrated in structure. It is a structural breakdown due to the loss of the central axis. The absence of Cho Doek-ki's character affects the whole structure of the novel. We can also relate the protagonist Cho Doek-ki's character to the author Yeom Sang-seop's middle-class conservatism. The middle-class conservatism that refuses the change or reform of reality and supports maintaining the status quo contributes to stabilizing the whole structure of the work. When we read closely Three Generations in terms of the interaction among characters, we find os much conflic and trickery but no real villain. This is confirmed in the fact that Cho Doek-ki never shows any kind of affection or hatred for any other character in the novel. In the midst of conflict and fight for inheritance, all Cho Deok-ki does is to observe composedly from a distance, understanding the truth of our life. This is what stabilizes the structure of the novel and makes Three Generations to be a masterpiece of the realism.

      • KCI등재

        일반논문 : 고금도(古今島) 관왕묘(關王廟) 연구

        유성웅 ( Sung Woung Yu ),장경희 ( Kyung Hee Jang )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2015 동방학 Vol.32 No.-

        고금도(古今島) 관왕묘(關王廟)는 정유재란을 기억하는 역사적 상징이다. 본고는 1598년 창건된 이후 한·중·일 삼국의 역사적 관계에 따라 끊임없이 변화되어 오늘에 이른 고금도 관왕묘를 연구 대상으로 하여 다음과 같은 역사적 사실을 밝혀냈다 첫째, 고금도 관왕묘는 정유재란 당시 조선에 파병된 진린(陳璘) 도독과 명나라 수군(水軍)에 의해 1598년 창건되어, 군신(軍神)인 관우(關羽)와 해신(海神)인 마조(마祖) 등을 함께 배향하였다. 둘째, 고금도 관왕묘는 조선 후기에 묘사(廟祠) 건물의 구조와 향사 대상이 변화된 것이 특징이다. 1598년 정전(正殿)에 관왕과 마조를 모시고 명 수군들의 제향을 받았다. 1666년 정전과 동·서무(東西楙)를 갖춘 品자형 구조였다. 정전에는 관우를 모셨으며 동무에는 진린 도독과 이순신 장군을 함께 배치하여 조선 수군들의 제향을 받았다. 1791년 고금도 관왕묘에 ``탄보묘(誕報廟)``라는 사액(賜額)을 내려 묘격(廟格)이 승격되었고, 노량대첩 당시 전사한 명 등자룡(鄧子龍) 장군이 합사되었다. 이에 따라 동무에는 진린 도독과 등자룡 장군이, 서무에는 이순신 장군이 배치되었다. 하지만 일제 강점기인 1940년 고금도 관왕묘는 훼철되었고, 해방 이후에는 이충무공 유적으로 바뀌었다. 따라서 16세기 한·중 문화 교류를 실질적으로 증명하는 문화유산인 고금도 관왕묘가 향후 원형대로 복원되길 기대한다. Founded In 1598, when the Japanese invaded Korea for the 2nd time, Gogeumdo Gwanwangmyo is a historical symbol to remember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Since the foundation, Gogeumdo Gwanwangmyo has gone through continuous transformations as responses to changing relationships among Korea, China and Japan. The paper aims to bring to light important historical facts and argue for the necessity to restore Gogeumdo Gwanwangmyo to its original form. First, Gogeumdo Gwanwangmyo was founded in 1598, by the Admiral Chen Lin (陳璘) from the Ming Dynasty. The shrine housed the war god (軍神), King Guan Yu (關羽) and the god of the sea (海神), Majo (?祖). In their hometown, Guangdung (廣東) in China, these military leaders followed the tradition of dedicating memorial service to both King Guan Yu and Majo. In founding Gogeumdo Gwanwangmyo, they applied the same concept. Particularly in 1583, Chen Lin had previously erected a Matang Gwanjemyo (馬塘關帝廟) in Guangdong. This experience offered him the motivation to build Gwanwangmyo in Korea. Secondly, the late Joseon dynasty witnessed shifts in commemorative service tradition, which centered on the architectural structure of shrine, and the target of commemorative service. In 1598, the main shrine housed the King Guan Yu and the Majo. In 1666, the entire structure of shrines changed to have the 品 shape, having the East shrine and the West shrine under the main shrine. The main shrine was dedicated to King Guan Yu. The East shrine was dedicated to the Admiral Chen Lin and the Admiral Lee Sun-shin. In addition to the East and the West rituals buildinges, the year 1713 saw an addition of a small temple(玉泉寺) whose role is today``s equivalent of the guard office. The same year saw the elevation of national status of the commemorative service for King Guan Yu (關羽), the Admiral Chen and the admiral Lee. In 1791, the King Jongjo granted Gogeumdo Gwanwangmyo a signature board that reads ``Tanbomyo (誕報廟)``, which also contributed to raising the shrine``s status. That year also saw the expansion of the scope of the memorial service to dedicate to one more soul, the general Deng Zi Long (鄧子龍), who died during the Battle of Noryang. Accordingly, the structure is re-arranged to have the East shrine dedicated to the admiral Chen and the general Deng, and the West shrine to the admiral Lee. In the post Battle of Noryang era, Gogeumdo Gwanwangmyo became an internationally renowned shrine housing souls of national heroes of the Joseon and the Ming dynasties. But, under the Japanese colonial rule, Gogeumdo Gwanwangmyo was destroyed. After liberation, in light of the shrine``s value as a relic of the admiral Lee, the Korean government designated Gogeumdo Gwanwangmyo as Historic Site No. 114. Currently, the main shrine is used to hold a national memorial service for the Admiral Lee, with the general Lee Young-nam. In particular, this latter represents important historical heritage to prove the cultural exchange that existed between China and Korea.

      • KCI등재

        이상화 문학에 나타난 시적 상상력의 근원 연구

        유신지 ( Yu Shin-ji ),여상임 ( Yeo Sang-im ) 한국문학언어학회(구 경북어문학회) 2017 어문론총 Vol.74 No.-

        이상화문학에 대한 논의는 이상화 당대는 물론, 1960년대부터 지금까지 상당히 구체적으로 진행되었다. 주로 상징주의나 낭만주의와 같은 문예사조적인 경향이나 저항시인이라는 민족주의적인 관점에서 연구가 많이 진행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관점에서는 이상화 문학 전반에서 드러나는 동양적이고 전통적인 사유를 다 해명하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 이상화문학과 그의 사상의 근저에는 동학이나 천도교적인 사상의 근간을 이루는 내재적 초월의 사유가 자리하고 있다. 내재적 초월의 사유는 이상화 문학의 곳곳에서 다양한 모습으로 드러나고 있다. 본고에서는 이상화의 시적 상상력의 근원이 이러한 내재적 초월의 사유로 파악될 수 있다고 보고, 전통시학의 관점, 특히 기층철학을 토대로 이상화의 문학 텍스트를 분석해보고자 했다. 특히 이상화의 전기적 사실들을 살펴보면, 그의 사상과 사유가 형성되는 중요한 시기인 십대와 이십대 전반에 걸쳐서 천도교적인 색채가 짙은 인물들과 깊은 교류를 맺었고 그와 관련된 활동들을 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그가 제시하는 문학론이나 시작품들에서도 그러한 사유들이 드러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상화의 문학평론이나 시에서는 우리 고유의 민속 신앙인 샤머니즘과 이를 계승한 동학사상의 색채가 드러난다. 그의 시작품들에서도 특징적인 것이 ‘하늘’,‘신령’, ‘검’, ‘동굴’ 등과 같은 시어들이 빈번히 쓰이고 있는데, 이러한 시어들은 이상화 텍스트 전반에서 관찰되는 ‘내재적 초월’의 사유들을 드러내는 것으로 쓰이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러한 양상은 기존의 논의에서 채 규명되지 못한 부분들로, 동양적이고 전통적인 사유의 지평 안에서만 비로소 설명이 되는 부분이기도 하다. 이러한 논의는 이상화가 1920년대 시단의 다양한 흐름 속에서도 그 시류에 휩쓸리지 않고, 우리의 자생적인 사상이라 할 수 있는 전통철학의 토대 위에 그 나름의 시세계를 구축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게 해주며, 나아가 이상화 문학을 바라보는 새로운 해석의 지평을 넓혀볼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Untill now, the study on Lee Sang-hwa’s literature has been done very widely. Most rearchess have been done in the point of view of symbolism, romanticism, or nationalism. But, through these views, we couldn't find the basic thoughts of his Literature. There are immanent transcendence in the origin of his Literature and his own ideas. Therefor, at this thesis, we found that the origin of poetic imagination in Lee Sang-hwa’s literature is based on the oriental and traditional thoughts. Especially, when we searched Lee Sang-hwa’s biography, we found that he was related to the people who had Chondo-kyo belief. Such thoughts appeared his literary theory or in his prototypes. His literary criticism and poetry reveal the color of Korean folk faith, Shamanism and Donghak's succession. In his poetry text, the words such as 'heaven', 'spirit', 'sword' and 'cave' are frequently used. And these words are used to reveal the aspects of 'Immanent transcendence' observed wholy. This aspect can not be clarified in the existing discourse and is only explained within the horizon of the traditional thoughts. This study enables us to confirm that Lee-Sanghwa has built his own poetry system on the basis of traditional philosophy which is not influenced by the currents in the various ideal flows of the 1920s. In addition, it has a significance in that it can broaden the horizon of the new interpretation in reading the Lee-Sanghwa’s literature.

      • 녹동균 세포외막 단백질 백신 CFC-1-101의 안정성 및 면역원성 검토 : 임상 제 Ⅰ/Ⅱa상 시험

        장인진,김익상,유경상,임동석,김형기,신상구,장우현,박완제,이나경,정상보,안동호,조양제,안보영,이윤하,김영지,남성우,김현수 대한감염학회 1998 감염 Vol.30 No.3

        목적 : 제일제당에서는 녹농균의 세포외막 단밸질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백신인 CFC-101을 개발하였으며, 동물시험에서 이 백신의 안전성과 유효성을 입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 녹농균 백신의 인체에 대한 안전성과 면역원성을 평가하는 동시에 인체 접종시의 최적 투여 용량을 결정하기 위하여 제 I/Ⅱa상 임상시험을 수행하였다. 방법 : 건강한 성인 남자를 피험자로 선별하여 각 용량군에 백신투여자 6명, 위약투여자 2명을 배정하였다. 백신 투여군은 0.25mg, 0.5mg 또는 1.0mg 용량의 녹농균 백신을 7일 간격으로 3회에 걸쳐 근육주사 하였으며, 위약 투여군에게는 세포외막 단백질을 제외한 동일한 성분을 투여하였다. 백신접종 후 국소적 또는 전신적인 반응의 발생여부를 관찰하고, 혈액시료를 체취하여 백신의 역가와 유효성을 검정하였다. 결과 : 녹농균 백신 CFC-101은 모든 접종자에서 양호한 내약성을 보였다. 또한 0.5mg 과 1.0mg 백신 투여군에서는 100%의 항체양전율을 나타내었다. 생성된 항체는 녹농균 세포외막단백질에 특이성을 보였고, 녹농균 감염에 대해 방어효능이 있었다. 결론 : 이와같은 결과로부터 이 녹농균 백신은 인체에 안전하게 투여할 수 있으며, 높은 항체 생성능으로 감염방어 효능을 보이고 0.5mg과 1.0mg이 최적용량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Background : We developed a Pseudomonas aeruginosa outer membrane protein(OMP) vaccine CFC-101, and the prophylactic efficacy of which has been demonstrated in animal models. In order to evaluate the safety and immunogenicity of the P. aeruginosa vaccine, we carried out a phase I/Ⅱa clinical trial in healthy male volunteers. Methods : Groups of eight volunteers, including two placebo subjects, were vaccinated intramuscularly with three doses of 0.25, 0.5 or 1.0 mg of the vaccine at one week intervals. Sings of systemic and local reactions observed after vaccination were recorded for each vaccinee for 5 days. Physical examinations were performed on days 0, 1, 7, 8, 14, 15, 21, and 42, and clinical laboratory tests were done on days 0, 3, and 21. Blood samples for assay of serum antibody levels were obtained up to 42 days after the first vaccination. Results : The vaccine was generally well tolerated by all vaccinees, showing no significant side effects. In the three dosage groups, all vaccinees, except one receiving the 0.25 mg dose, showed significant elevation in serum IgG antibody titers against the vaccine proteins, indicating 100% seroconversion in 0.5 and 1.0 mg groups. The human antibodies induced by the vaccine were specific for P. aeruginosa OMPs, as confirmed by western blot analysis and immunoprecipitation assays. The capacity of the human antisera to enhance opsonophagocytic killing activity by polymorphonuclear leukocytes and to confer protection against P. aeruginosa infections indicates that the antibodies elicited by the vaccine have protective efficacy. Conclusion : We conclude that the P. aeruginosa OMP vaccine is safe and effective for human use and its optimal dose to be 0.5 or 1.0 mg.

      • KCI등재

        삼상 순환유동층의 상승관에서 연속 액상의 축방향 혼합특성

        유명선,손성모,강석환,강용,김상돈 한국공업화학회 2004 공업화학 Vol.15 No.1

        직경이 0.102 m이고 높이가 3.5 m인 기체-액체-고체 순환 유동층의 상승관에서 액상의 축방향 혼합특성을 고찰하였다. 기체유속(0.01~0.07 ㎧), 액체유속(0.25~0.31 ㎧) 그리고 고체순환속도(2~8 ㎏/㎡s)를 실험변수로 선정하였으며 이들 변수들이 액상의 축방향 분산계수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다. 축방향의 추적자 농도분포로부터 분산모델을 사용하여 액상의 축방향 분산계수를 구하였다. 액상의 축방향 분산계수는 기체유속과 고체순환속도가 증가함에 따라서 증가하였으나 액체의 유속의 증가에 따라서는 약간 감소하였다. 또한, 액상의 축방향 분산계수는 등방성 난류 모델을 적용한 무차원군으로 표현되는 상관식으로 나타낼 수 있었다. Characteristics of liquid dispersion in the axial direction were investigated in the riser of a three-phase circulating fluidized bed whose diameter is 0.102 m and 3.5 m in height. Effects of gas (0.01-0.07 m/sl and liquid (0.25-0.31./s) velocities and the circulation rate of solids (2∼8 kg/m^(2)s) on the dispersion coefficient of the continuous liquid phase in the axial direction were determined. A dispersion model was employed to obtain the axial dispersion coefficient of the liquid phase from the radial concentration profiles of tracer with variations of axial position. The axial dispersion coefficient of the liquid phase increased with increasing gas velocity or solid circulation rate, however, decreased slightly with increasing liquid velocity in the riser bed. The axial dispersion coefficient of the liquid phase was well correlated in terms of dimensionless groups based on the isotropic turbulence theory.

      • 推計學的 Modelling에 必要한 合成資料의 發生

        柳明辰,金聲得,黃成一 울산대학교 1977 연구논문집 Vol.8 No.2

        대기온도, 수온 같은 時系別을 推計學的으로 분석함으로써 자료를 합성할 수 있는 模擬發生모델을 시도하였다. 周期成分은 Fourier급수 형태로 표시하였고, 推計學的成分은 1차 Markov모델로 나타내었다. 일반적으로 수온자료는 희귀하거나 단기인 것이 보통인데 대기온도와 수온과의 관계를 이용하여도 수온을 발생시킬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presents a model for synthesising daily average air temperature and water temperature data. Periodic components are descreied by the Foorier series and stochastic somponents are produced using a first order Markov model. A cross correlation model can be used to generate water temperatures, providing correlation coefficient is high.

      • 韓國産 소계, 대계의 生藥學的 硏究 (第1報)

        劉承兆 成均館大學校 1964 論文集 Vol.9 No.-

        古代로 부터 使用되었던 漢藥의 一種인 「소계」·「대계」의 基源植物에 關하여 아직까지 定說이 없섰고 生藥學的硏究도 全혀 없었으므로, 國産「소계」·「대계」에 對하여 文獻에 依한 考察과 함께, 「조뱅이」 Cephalonoplos segetum KITAMURA, 「엉겅퀴」, Cirsium Maackii MAX. var. koraiense NAKAI, 「지느레미엉겅퀴」 Cardus crispus L.의 地上部와 地下部를 剖見하고, 또한 各地市販品을 剖見하여, 現在 市販되고 있는 「소계」의 基源植物은 「조뱅이」이고, 「대계」의 地方에 따라 다음과 같이 使用되고 있는것을 아랐다. (1) 「엉겅퀴」의 地上部 (2) 「엉겅퀴」의 地下部, (3) 「지느레미엉겅퀴」의 地上部, (4) 上記 2種類를 混合使用. 「엉겅퀴」와 「지느레미엉겅퀴」의 差違點은 (1) 莖의 翼片, (2) 地下部의 形態(根莖, 根), (3) 根의 V字形 xylem, (4) 根莖의 secretory cavity (分泌器官) 等의 存在餘否이다. 1. I have compared Cephalonoplos segetum KITAMURA and "So Gae", "So Gae" on the markets in Korea was originated is the Cephalonoplos segetum KITAMURA. 2. I have compared Cirsium Maackii MAX. var. koraiense NAKAI and Cardus crispus L., "Dae Gae" on the markets in Korea was originated is the Cirsium Maachii Max. var. koraiense KITAMURA and Cardus crispus L.

      • KCI등재후보

        일부 인쇄회로기판 납땜근로자들의 눈, 호흡기, 피부의 증상에 대한 조사연구

        유재영,우극현,김진석,함정오,최태성,하봉구,정상재,박신구,김일룡 大韓産業醫學會 2001 대한직업환경의학회지 Vol.13 No.4

        목적 : 이 연구는 납점작업자를 대상으로 납점작업으로 유발될 가능성이 높은 눈, 호흡기, 피부 등의 증상호소율 및 노출강도에 따른 관련성을 파악하기위해 수행되었다. 방법 : 연구참가자 146명중 연구목적에 적합한 20명을 제외한 126명을 대상으로 '눈이 가렵고 충혈됨', '코가 가렵거나 파가움', '재채기', '콧물'. '코막힘' , '목이 따끔거림' , '목에 무언가가 걸려있는것 같음' , '갑자기 연속적인 기침을 함' , '운동 시에 다른 사람에 비해 숨이 가쁨', '숨을 쉴 때 쌕쌕하는 소리가 남', '가래가 끓음', '손이나 안면에 가려움을 느낌' , '안면에 여드름이 날' '손이나 안면에 붉은 반점이 남' 등 14가지 증상에 대한 경험유무와 혈중연농도, 납점작업의 건강위험요인에 대한 지식상태 등을 조사하였다. 결과 : 조사된 14가지의 증상 중, '갑자기 연속적인 기침을 함'이 하루 납점시간 4시간 이상인 군아서 4시간 미만인 군보다 유의하게 증상호소율이 높았으며, 다른 증상의 경우 하루 납땜시간에 따라 유의한 결과를 보이지 않았다. 납땜작업의 건강위험요인에 대한 질문에 12.8 %가 플럭스에 의한 건강위험을 지적하였다. 전체 대상자의 평균 혈중연농도는6.05 rg/dL였으며, 히고치는 15.50 rg/dL이었다.결론 : 납땜작업자에게 호흡기 증상의 위험이 높을 가능성이 있으며, 납땜작업의 건강위험에 대한추가적인 연구와 납점작업자들을 대상으로 납점작업에 의해 유발될 수 있는 건강장해에 대한 적극적인교육 및 홍보활동을 필요로 한다. Objectives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prevalence of ocular, respiratory and skin symptoms among solderers an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ymptom prevalence and exposure intensity. Methods : We analyzed 126 eligible participants out of a population of 146 male solder-ers who completed the symptom questionnaires. Fourteen symptoms including 'itchy and red eyes', 'itchy or prickly nose', 'sneezing', 'rhinorrhea', 'blocked nose', 'prickly throat', 'foreign body sensation in throat', 'sudden bouts of coughing', 'exertional breathlessness', 'wheezing', 'sputum production', 'itchy face or hands', 'acneiform erup-tions on the face' and 'red spots on the face or hands' were contained. Blood lead levels of all the 126 participants were tested and the participants' own assessments of the health risk of soldering were collected. Results : Of the 14 investigated symptoms, 'sudden bouts of coughing' was significantly more prevalent in solderers who worked 4 hours or more a day than those who worked less than 4 hours a day, as for the other symptom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revalences related to daily soldering hours. 2.8% of the solderers considered the risk of flux exposure to be serious. The mean blood lead bevel was 6.05 μg/dL (maximum 15.50 μg/dL). Conclusions : Soldering may increase the risk of respiratory symptoms. Further invert tigations on the hazards of soldering processes are warranted and solderers should be educarted on these hazards.

      • 우발성으로 투여된 척수강내 고용량 모르핀에 의한 호흡정지 : 증례보고

        성상훈,유수봉,류시정 고신대학교 의과대학 2010 고신대학교 의과대학 학술지 Vol.25 No.1

        Epidural or intrathecal morphine injection is a useful method for management of postoperative pain and cancer pain. But the effect of intrathecal morphine is ten to twenty times more potent than epidural morphine. So inadvertent intrathecal injection of morphine during epidural injection can induce serious side effect. The authors report a patient who experienced respiratory arrest and loss of consciousness due to inadvertent intrathecal injection of high dose morphine during epidural injection for management of cancer pain. The patient was treated with intravenous bolus and infusion of naloxone for 8 hours and assisted ventilation with Ambu and she was recovered completely without any sequela.

      • KCI등재

        지하수로부터의 실내 라돈오염에 의한 정량적인 인체노출평가

        유동한,김상준 대한방사선 방어학회 2001 방사선방어학회지 Vol.26 No.2

        본 연구는 지하수로부터 방출되는 라돈에 의한 실내오염시 정량적인 인체노출량을 평가하였다. 실내에 존재하는 라돈은 대부분 건물의 지하층에 존재하는 토양층으로부터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그러나, 최근 지하수내에 존재하는 라돈은 물사용으로 인해 실내공기로 휘발하여 실내오염을 야기하고 호흡에 의한 인체위해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는 주택내의 라돈의 이동 및 분포를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수학적 모델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실내에서 예상되는 인체노출패턴과 이런 수학적 모델을 사용하여 성인의 경우, 실내 라돈오염에 의한 호흡노출을 통한 인체축적량을 계산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지하수로부터의 발생되는 라돈의 실내오염시 인체노출에 의한 위해도평가시 도움을 주리라고 판단된다. This study presents the quantitative exposure assessment of indoor radon released from groundwater. Most of the indoor radon comes directly from soil beneath the basement or foundation. Recently, radon in groundwater releases to indoor air whenever the water is used and contributes to the total inhalation risk from indoor air. This study first develops a mathematical model to describe the transfer and distribution of radon released from groundwater in a house. Then, daily human exposures through inhalation of such radon are estimated with the model for an male adult based on two sets of exposure scenarios.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study would help increase the understanding of risk assessment issues associated with the indoor radon released from groundwat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