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所謂, ‘人文學의 危機’에 관한 몇 가지 短見” -후식민사학을 넘어 본연의 역사 찾기-

        김열규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7 서강인문논총 Vol.22 No.-

        The crisis of Humanities becomes an increasing critical issue today. The problem is that it is not only the crisis of human scientists but the crisis of all human beings. We have to observe the current situation critically and create the practical strategies for its resolution. In this paper, I will give two suggestions about it. First, 'The Classics', that has been regarded as a core of Humanities, does not have to be an old stuff any more. It has to seek its practical role in current situation. Second, so many barriers kept strictly for a long time in the area of Humanities should be destroyed. We have to free from many existing conceptual categories and create new systems adapting to contemporary cultural circumstances. We need Humanities not focusing on materials revealed as language form but having interests on every kinds of cultural phenomena. Reading culture relating to concepts like sign, discourse, and narrative might be one of its solutions. 오늘날 인문학의 위기가 새삼 문제되고 있다. 인문학의 위기는 인문학자의 위기에 그치지 않고, 인간 자체의 위기에 이른다는 데 그 심각한 문제가 있다. 이제는 이러한 현실에 대한 냉정한 관찰과 함께, 그 생존을 위한 구체적인 전략을 마련해야 할 때가 되었다. 이 글에서 나는 이를 위한 방안으로 다음 두 가지를 제시하려 한다. 첫째는 인문학의 중심으로 간주된 고전이 더 이상 과거의 것이 되어서는 안 되며, 오늘날 에 보다 실천적인 역할을 찾아야 한다. 둘째는 인문학의 영역에서 공고하게 지켜져 온 장벽들을 허물어야 한다. 기존의 묵은 개념적 분류에서 벗어나, 오늘날의 현실에 맞는 새로운 체계를 만들어야 하는 것이다. 언어만을 대상으로 하는 인문학이 아니라, 모든 문화적 현상을 바라볼 수 있는 인문학의 폭넓은 틀을 만들어가는 것이 필요하다. 기호, 담론, 내러티브 등과 같은 개념을 통해 문화를 전체적으로 읽어내는 것이 그 한 예가 될 수 있다.

      • KCI등재

        신채호와 함석헌 : 역사 인식의 관련성 시고

        이만열(Yi, Mahn-yol) 한국사학사학회 2021 韓國史學史學報 Vol.- No.43

        신채호(1880-1936)와 함석헌(1901-1989)은 일제 강점기를 경험했던 동시 대의 지식인으로 한국사 연구를 시도했던 분들이다. 20년 차이를 두고 출생했 던 그들은 직접 접촉한 바가 없지만, 함석헌이 쓴 『성서적 입장에서 본 조선역 사』(이하 『조선역사』)에는 동 시대의 역사가로 신채호의 이름을 유일하게 거론 하고, 역사 인식에서도 신채호와 비슷한 점이 보인다. 그 유사성을 밝혀보려는 것이 이 글의 목적이다. 필자는 함석헌이 『조선역사』를 『성서조선』에 연재할 때(1934-1935), 신채 호의 저술 대부분이 이미 간행되어 식자들에게 열람이 가능했다는 점을 주시 했다. 함석헌은 고려 중기의 ‘묘청(妙淸)의 난’을 설명하면서 신채호가 이 사건 을 두고 ‘조선역사 1천년래(來) 제일대사건’이라고 한 점을 인용했다. 이 논문이 1929년에 출간된 『조선사연구초』라는 책에 실렸던 것으로 보아, 함석헌이 이 무렵 신채호의 이같은 글을 읽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신채호의 역사 서술은 주로 한국 고대사에 국한되어 있다. 함석헌의 『조선역 사』중 고대사 부분이 신채호와 겹치는 부분이 더러 보인다. 한국 고대사를 민족 이동설의 관점에서 본 것이나, 단군시대 ‘신지(神誌)’에 대한 인식, 단군 이후의 역사를 ‘열국시대’로 서술한 점 등은 신채호와 함석헌에게서 거의 공통적으로 보이고 있다. 한사군의 인식에서는 차이가 있으나, 삼국시대를 고구려 중심으로 인식한다는 점이 일치한다. 이는 일제 강점하의 독립운동의 기반으로서 고구려 의 대외저항력을 높이 평가했기 때문일 것이다. 신채호는 역사의 삼대원소를 때·땅·사람이라고 했으나 함석헌은 지리적 결 정론에 유의하면서도 섭리사관을 강조했다. 그러나 역사의 주체가 ‘민중’이라는 점에서는 두 사람이 일치한다. 신채호와 함석헌은 그들의 주장과는 달리 한국 사에서 민중을 역사의 주체로 서술하는 데는 성공한 것 같지 않다. 이것은 후일 의 과제다. Shin Chae-ho(1880-1936) and Ham Sok-hon(1901-1989) were contemporary intellectuals sharing the experience in the period of the forced occupation of Korea by the Japanese imperial regime(1910-1945). Born 20 years apart, they were not in direct contact with each other, yet Shin is the only historian mentioned in Ham s The History of Choseon from the Standpoint of the Sacred Scripture(Bible) and we find in Ham s view of history some similarities with Shin s. This article aims at elucidating those similarities. I noticed the fact that when Ham wrote in serial his The History of Choseon in the journal the Bible and Choseon the most of Shin s writings had already been published, available to intellectuals. In his exposition on the rebellion of Myocheong, Ham quotes Shin s reference to the incident as a prime event of Korean history since one thousand years before. In view of the fact that Shin s article is found in the book Excerpts from the Study of Korean History published in 1929, Ham then apparently read the book. Shin s writings on history is confined mostly to the ancient history of Korea. The part of ancient era in Ham s Korean History is found here and there overlapping with Shin s description. For instance, what are closely common in two historians histories include: seeing the ancient history of Korea based on the theory of migration of the (Korean) nation; understanding about The Divine Chronicle (Shin-ji); describing the history since Tan-gun as the period of various kingdoms. There are disagreements in their views on Han-sagun. Yet they are in agreement in the perception of the three-kingdoms era with Koguryo at the center, perhaps because they highly rated the strength of Koguryo in resisting external powers, which was the foundation of independence movement against the colonialization by imperialist Japan. Shin regarded the period, the territory, and the people as three essential factors of history whereas Ham put emphasis on providence, also bearing in mind the theory of geographical conditions as decisive factors. Yet they are in concord in regarding people(minjung) as the protagonist of history. But Shin and Ham, unlike their arguments, don t seem to have succeeded in applying the view to their historiography of Korea. It remains a task to pursue further.

      • KCI등재
      • KCI등재

        친환경 식생블록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허열(Yol Heo),오세욱(Sewook Oh),방성택(Seongtaek Bang) 한국지반환경공학회 2014 한국지반환경공학회논문집 Vol.15 No.4

        본 연구에서는 시멘트의 유해성을 극복하기 위하여 시멘트 대신에 친환경 토양안정재를 사용한 식생블록을 제작하여 압축강도 및 휨강도 특성을 규명하였다. 식생블록 제작에 사용된 토양안정재는 천연섬유에서 추출한 단섬유와 석회 등을 주원료로 하며 흙의 전단강도를 증가시켜 블록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면서 식생을 가능하게 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일축압축강도 시험을 위한 공시체는 토양안정재와 화강풍화토를 혼합하여 제작하였으며, 토양안정재는 혼합토의 중량대비 6 %, 12 %, 18 %로 변화시켜 물과 교반하였다. 공시체는 공기 중에서 건조하여 각각 5일, 7일, 14일, 28일간 양생시키고 일축압축강도 시험을 수행하였다. 휨강도 시험은 일축압축강도 시험과 동일한 조건으로 블록을 제작하여 각 단계별 휨강도 시험을 실시하였고 현장 적용성 평가를 위하여 토양안 정재의 특성을 고려한 최적함수비를 제안하였다. 또한 식생블록에 대한 투수시험 결과 KS F 4419에서 규정하는 투수성 블록의 품질기준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With a view to resolving environmental problems of hazardous cement, this study seeks to identify the unconfined compressive strength and bending strength of the vegetation block designed herein by utilizing high-strength natural soil stabilizer instead of cement. Soil stabilizer is mainly made of mixture of short fiber extracted from natural fiber and lime, etc. Soil stabilizer reinforces the shearing strength of soil to improve block supportive power and durability while preventing flood and frost damages. For the unconfined compressive strength test, test pieces were prepared by mixing soil stabilizer and weathered soil in different ratios of 6 %, 12 % and 18 %.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according to curing periods of 5th, 7th, 14th and 28th of the day. For bending strength test, blocks were made in the same mixture ratios as for the unconfined compressive test and tested for each stage. Also, to evaluate for the field applicability, proposed optimum water content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soil stabilizer. Permeability test result for the vegetation block, satisfied by the KS F 4419 quality standar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