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 KCI등재

        대학생 대상의 디자인 사고 교육이 창의성역량에 미치는 영향

        원연정 ( Yeonjung Won ),배예나 ( Yena Bae ),최윤영 ( Younyoung Choi ),안미리 ( Milee Ahn ) 한국교육공학회 2019 교육공학연구 Vol.35 No.2

        본 연구는 창의성역량의 구성요소는 무엇인지 알아보고, 대학생들에게 디자인 사고 교육을 실행한 후 창의성역량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는지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창의적 문제해결방법인 디자인 사고 교육을 통하여 급변하는 21세기를 살아가는 대학생들에게 필요한 학습과 혁신스킬인 창의성역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의 창의성역량 측정을 위해 21세기 핵심역량 측정도구와 근거기반 설계모형(ECD)에 기반하여 개발된 평가문항을 사용하였고, 이 중 창의성을 측정하는 문항들을 발췌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1) 대학생의 창의성역량은 창의적 사고역량, 호기심역량, 상상력역량, 유창성역량으로 구성되고, 2) 디자인 사고 교육이 대학생들의 창의성역량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디자인 사고 교육 후 창의성역량 평균은 4.67 증가하였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효과의 크기는 d=1.52로 매우 높은 수준이었으며, 창의성역량의 하위역량의 평균 또한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음이 나타났다. 이를 종합하여 볼 때, 디자인 사교 교육이 대학생들의 창의성역량에 긍정적인 영향력을 갖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대학 수업과 과정에서 디자인 사고 교육을 시행하여 대학생들의 창의성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준비할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The study intended to identify the components of creativity competency and to obtain implications on whether there was a change in the college students' creativity competency after the design thinking training and what effects it had. In this regard, the effects of the design thinking training on creativity competency, which is the learning and innovative skill necessary for college students living in the rapidly changing 21st century, was explored, and the measuring tool and elements were selected to measure the creativity competency. In this study, it used an evaluation questions developed based on the Core Competency Measurement Tools of the 21st Century and Evidence Centered Design, to measure college students' creativity capabilities. Among them, questions measuring creativity were excerpted and analyzed. The results have shown that 1) the creativity competency visible in design thinking activities can be composed as creative thinking, curiosity, imagination, and fluency, and 2) the design thinking training significantly influenced creativity competency of college students. After the design thinking training, the average creative capacity increased by 4.67, which was significantly improved statistically. The magnitude of the effect was very high at d=1.52, and the average of the sub-capabilities of creativity was also shown to have improv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respectively. In summary, the design thinking training can be construed as having a positive effect on the college students' creativity competencies. Therefore, we can encourage teaching and learning through the design thinking in the college courses.

      • KCI우수등재

        과학철학 탐색을 통한 스포츠 사회과학 연구법 접근 모색: 존재론과 인식론 재고찰

        김영호(YoungHoKim),이원미(Won-miLee) 한국체육학회 2019 한국체육학회지 Vol.58 No.3

        오늘날 스포츠 사회과학을 포함한 많은 연구들은 제도적 목적을 달성하는데 집중하다 보니 정작 지식 생산에 근간이라 할 수 있는 과학철학 고찰은 쉽게 간과되는 경향을 보인다. 즉, 과학철학의 중요성은 ‘누구나 알지만 누구도 고려하지 않는 대상’으로 전락해오고 있는 형국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과학철학 의미와 중요성을 강조하며 그 개념들의 확장을 통한 연구방법론으로 접근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둔다.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해 우선 다양한 문헌고찰을 통하여 존재론과 인식론 그리고 그 하위 개념들을 과학철학 관점에서 재구성하여 논의하였다. 다음으로, 각각의 과학철학 패러다임의 한계와 서로간의 불가피한 공생 및 다차원적 상호작용을 재구성하여 논의 하였으며, 그것들을 통한 연구방법론으로 접근법을 모색하였다. 본 연구는 초보 연구자들뿐 아니라 숙련된 연구자들에게도 과학철학을 한 번 더 상기시킬 수 있는 역할자로서의 의의를 함께 둔다. Nowadays, a number of research papers including sport social sciences appear to be written only in order to meet the institutional demands; thereby, philosophy of science(POS), which should be considered a required component rather than an elective one for research activities, is easily overlooked like a secondary option. In other words, it is shown ‘as if everybody knows its importance, but nobody cares about it’.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ddress the importance of POS with its meaning in research activities and to extend the concepts of POS to the way in which it leads to methodological approach. In order to meet the purpose of this study, first, ontology and epistemology including their sub-paradigms were explained in accordance with a perception of POS. Next, it was discussed on the limitations of each paradigm of POS and their inevitable symbiosis such as interrelations with one another. Through the analysis, this study finally suggested ways to lead to research methodological approaches with the ideologies of POS. This study is also expected to play a crucial role in reminding not only beginners for research but also experienced ones of what they truly want to know through their scholarly activities and how to contribute their knowledge to our societies.

      • KCI등재후보

        외국인 거주자의 시공간적 분포패턴 및 결정요인: 서울시 생활인구 데이터 분석

        김형준,원미리,이정민,채호동,박인권,Kim, Hyungjoon,Won, Milee,Yi, Jungmin,Chae, Hodong,Park, In Kwon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2021 LHI journal of land, housing, and urban affairs Vol.12 No.1

        국내 외국인 인구가 지속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사회적·경제적·정치적 측면에 있어 그 영향력이 더욱 커지고 있다. 본 연구는 서울의 지역적 특성이 외국인 인구의 시공간적 분포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먼저 외국인 인구의 시공간적 분포패턴을 파악하기 위해 k-means 군집분석을 통해 주간유출·야간유입(ODIN), 주간유입·야간유출(IDON), 비식별패턴(IP) 3개의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이후 주중 및 주말 다항 로지스틱 회귀모형을 설정하였고, 외국인의 시공간적 패턴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적 특성을 파악하였다. 지역적 특성 변수는 인구, 산업구조, 도시계획, 용도지역, 주거, 체류자격 관련 변수를 선정하였다. 분석결과, 주중 모형의 경우, ODIN 및 IDON유형 모두 도심지역 여부가 가장 큰 영향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주거지역 면적비율 또는 방문취업(H-2)비자 비율이 높을수록 IDON유형으로 분류될 확률이 낮은 반면 ODIN유형으로 분류될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통해 외국인 인구의 직주분리현상을 발견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외국인 인구 관련 행정수요파악 및 정책수립 등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spatial-temporal distribution patterns of foreign populations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of Seoul Metropolitan area. Using the estimated de facto population data, first, Cluster analyses provide three groups of characteristics of Seoul : an outflow of daytime population and inflow of night-time population pattern (ODIN); an inflow of daytime population and outflow of night-time population (IDON); and indistinguishable pattern (IP). Second,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models predict the probability of selecting ODIN and IDON patterns using some local characteristic variables such as population, visa status, type of residential area, the structure of industry, urban planning and zoning. The findings indicate that the location within the central business district is the most significant determinant for both ODIN and IDON patterns during weekdays. We also found that the higher proportion of residential area and the proportion of working visa status increase the probability of selecting ODIN patterns whereas it decreases the probability of selecting IDON pattern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foreign population, similar to local residents, experiences spatial mismatch between jobs and housing. Given the steady increase of foreign population in South Korea, the foreign population implies further pressure on social and economic aspects of Seoul. This study suggests a forward plan for migration policy for foreign popul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