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소년들의 학업스트레스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희망과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안권순,강덕환,명향란,N.K.Bongobi,G.Umakanta,M.aqeel,D.M.S.Malinga,T.N.Belinda 한국청소년학회 2019 청소년학연구 Vol.26 No.6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youth's academic stress on school life adaptation, and to examine the mediation of hope and self-reliance. First, what are the differences in academic stress and hope, self-reliability, and school life adaptation? Second,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tress and hope, self-reliability and school life adaptation? Third, does hope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chool stress and school life adaptation? Fourth, does self-reliance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tress and school life adaptation? The research tools of this study were the academic stress on school life adaptation, and to examine the mediation of hope and Ego-resilency Scale(ER), The data analysis was performed by variance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The main conclusion of the study is that first, in academic stress and hope, self-discrimination and school life adaptation, adolescents experienced greater academic stress. Second, hope in academic stress and hope, self-discrimination and school life adaptation showed relation. This study suggest that the significance and implications of the study, as it has been found to reduce school life adaptabililty and academic stress in school life through the difference and influence of relevant variables of youth's academic stress and hope, self-reliability, self-dependence, self-distortion, and school life adaptation. 본 논문은 청소년들의 학교생활적응에 학업스트레스, 희망, 자아탄력성 등이 영향을 미치므로 청소년들의 학업스트레스가 학교생활적응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지를 알아보고 희망과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는데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첫째, 학업스트레스, 학교생활적응, 희망 및 자아탄력성에 어떻한 차이와 관계가 있는가와 둘째, 희망과 자아탄력성은 학업스트레스와 학교생활적응 사이에서 매개하는가이다. 연구의 대상자는 청소년 554명(고등학생 389명, 중학생 16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는 학업스트레스, 자아탄력성, 흐망 및 학교생활적응의 표준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본연구의 분석은 변량분석과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본 논문의 논의는 학교생활적응은 또래나 교사와 같은 학교 환경 안에서 관계하는 타인과의 관계에 잘 적응하고 이를 통해 자신의 성장을 도모할 수 있는 상황과 진로와 학업, 대인관계 등으로 인해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청소년에게 희망은 목표 달성을 위한 긍정적 신념으로서 어려움을 극복하고 잘 적응하도록 도와주는 힘이 되도록 하여야 한다.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학업스트레스에 대한 대처기술과 훈련이 필요하며 사회적 지지 등의 적극적인 스트레스 해소방법이 요구된다. 둘째, 청소년들이 호소하는 문제에 있어서 외부적 환경만을 생각하는 것이 아닌 내부적 요인인 희망을 살피고 청소년들의 효율적인 적응을 도와주는 개인상담이나 교육프로그램들이 필요하다고 본다. 셋째, 청소년들에게 우의, 상호친밀, 공감대, 정서적 및 사회적 갈등의 해결과 또래관계의 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기 때문에 자아탄력성을 증진시킬 필요성이 있다. 본 논문은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와 희망, 자아탄력성 및 학교생활적응의 관련 변인들의 차이와 영향력을 밝힘으로서 학교생활적응과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되어 생활지도나 상담 등에 활용되고 학교부적응 학생을 예방하는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했다는데 연구의 의의와 시점이 있다고 하겠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