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Piezoelectric Materials: All‐Solution‐Processed Flexible Thin Film Piezoelectric Nanogenerator (Adv. Mater. 45/2012)

        Chung, Sung Yun,Kim, Sunyoung,Lee, Ju‐,Hyuck,Kim, Kyongjun,Kim, Sang‐,Woo,Kang, Chong‐,Yun,Yoon, Seok‐,Jin,Kim, Youn Sang WILEY‐VCH Verlag 2012 ADVANCED MATERIALS Vol.24 No.45

        <P>An all‐solution‐processed flexible piezoelectric nanogenerator, composed of polycrystalline ZnO thin film and functional polymer layers such as P3HT/PCBM and PEDOT:PSS, generates energy through a mechanical rolling and muscle stretching system. On page 6022, Youn Sang Kim, Sang‐Woo Kim, and co‐workers show that this all‐solution‐processed nanogenerator is feasible as a piezoelectric patchable device and is promising for use in future energy harvesters such as wearable human patches and mobile electronics. </P>

      • KCI등재

        아침형-저녁형의 측정을 위한 한국어판 조합척도의 교차 타당화

        이형영,윤진상,국승희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9 신경정신의학 Vol.38 No.2

        연구목적 : 일주기 리듬의 유형을 분류하는 설문지는 일주기 리듬을 연구하고, 교대근무의 적응력을 예측하기 위해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Smith 등 (1989)의 조합척도를 한국어판으로 표준화한 윤진상 등(1997)의 한국어판 조합척도(Korean translation of Composite Scale : KtCS)를 실제 직장인들에게 적용할 수 있는 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 법 : 간호사 115명(순환교대 근무자 85명, 주간고정 근무자 70명)과 여대생 247명을 대상으로 KtCS와 생활습관 설문지(Life Habit Questionnaire : LHQ)를 배포하였다. 간호사 군과 여대생 군 각각에 대해 KtCS 점수의 분포도를 검증하고 백분위 10이하의 점수를 받은 군을 저녁형, 백분위 90이상의 점수를 받은 군을 아침형, 그 중간의 점수를 받은 군을 중간형으로 정의하였다. 두 군 각각에서 KtCS 점수의 내적 일치도를 구하고, 요인 분석을 하였으며, 일주기 리듬의 유형에 따른 생활습관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결 과 : 간호사 군과 여대생 군 각각의 KtCS 점수는 부적으로 편포되어 있었으나 유의하지는 않았고, KtCS의 평균점수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간호사 군에서 Cronbach alpha는 .836이었으며, “취침과 가상의 선호시간”, “아침의 각성”, “기상시간”의 세 요인이 추출되었는데, 문항 11이 요인 1에 추가적으로 부하된 경우 외에는 본 연구의 여대생 군 및 윤진상 등 (1997)의 요인분석 결과와 거의 동일하였다. 여대생 군에서 KtCS의 내적 일치도는 Cronbach alpha .787이었고, “취침과 기상의 선호시각”, “기상시각”, “아침의 각성” 세 요인이 추출되었다. 또한 간호사 군과 여대생 군 각각의 생활습관에서도 일주기 리듬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즉 각성, 수행, 업무 혹은 학습효과가 최고조에 이르는 시간대는 저녁형이 가장 늦고, 다음이 중간형, 아침형 순이었으며, 오전 학습효과는 아침형이, 저녁의 학습효과는 저녁형이 가장 높았으나, 오후의 학습효과에서는 저녁형과 아침형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취침시각과 기상시각은 저녁형이 가장 늦었지만, 총 수면시간에서는 저녁형, 중간형, 아침형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 론 : 간호사에서 KtCS의 심리측정 속성은 여대생에서의 분포도, 내적 일치도, 타당도가 매우 유사하였고, 윤진상 등(1997)의 연구결과와도 유사하여서, KtCS 활용의 일반화 가능성이 시사된다. Objectives :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questionnaire to classify the circadian rhythm for studying circadian rhythms and predicting shift work adaptability. This study attempted to confirm the general applicability of “Korean translation of Composite Scale : KtCS)” by Jin-Sang Yoon et al(1997), a Korean version of Composite Scale(CS) by Smith et al(1989). Methods : KtCS and Life Questionnaire(LHQ) were administered to 155 nurses(65 rotating shift nurses,, 70 nurses on a fixed day schedule) and 247 female university students. We tested the distribution of KtCS scores and then subjects were categorized on the basis of their KtCS scores into evening(E), intermediate(I), and morning(M) types. Cut-off points for these categories were set at the 10th and 90th percentiles. We obtained the results of the internal consistency and the structure of factors of KtCS. We also compared the difference of life habits according to the circadian rhythm types. Results : In both groups, nurses and female university students, the distributions of KtCS score were negatively skewed but not significantly and the KtCS mean scor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nurses, Cronbach's alpha was 0.836, and three extracted factors were ‘preferred times of performance and going to bed’, ‘rising time’ and ‘morning alertness’. In female university students, Cronbach's alpha was 0.787, and the same three factors as nurses were confirmed. However, only item 11 was loaded to factor 1 for the nurse group, whereas it was loaded to factor 2 for the student group. Life habits significantly differed among the three circadian rhythm types. The time of perceived peak alertness(mental and physical) was the latest in the E-type. The quality of academic performance during the morning was the highest in the M-type, and during the evening it was the highest in the E-type, but during the afternoo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three types. The bedtime and the rising time were latest in E-type, but the sleep length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three types in both groups. Conclusion : The psychometric properties of KtCS in nurses were very similar to those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and the previous findings of Jin-Sang Yoon et al(1997). This result supports that KtCS can be generally applied.

      • 서울의 PPNG 발생 빈도(1991-1992)

        김재홍,윤기범,박평원,김영진,전경민,김영태,김중환,곽호,구상완,송민석,유옥,지혜구,김동원,문상은,박영립,정승호,성범진,성순제,엄주용,황정열,이기홍,이주협,전태진 대한화학요법학회 1994 대한화학요법학회지 Vol.12 No.1

        The prevalence of PPNG among pretreated gonorrhea cases isolated at the STD clinic of Choong-Ku Public Health Center in Seoul has been studied and reported annually since 1981. In 1991, 123 strains of N.gonorrhoeae were isolated, among which 58(47.1%) were PPNG. In 1992, 98 starains of N.gonorrhoeae were isolated, among which 51(52.0%) were PPNG. In all, 109(49.3%) strains were found to be PPNG among 221 strains isolated between 1991-1992. The prevalence of PPNG in Seoul showed increased tendency till 1989, thereafter, it has been stationary or slightly decreasing.

      • 서울의 Penicillinase Producing Neisseria Gonorrhoeae 발생빈도(1996)

        김재홍,황동규,전재홍,김윤석,김중환,김용준,이창균,임동진,김현수,조창근,김경문,박상훈,전우형,김희성,이호정,차명수,김갑형,김형석,김석우,황지환,박병순,권오상,이민수,송기훈,성소영,이인섭,부태성 대한화학요법학회 1999 대한화학요법학회지 Vol.17 No.2

        Background : In recent years, gonorrhea has been panedemic and remains one of the most commom STDs in the world, especially in developing countries. Objective & Methods: For the detection of a more effective therapeutic regimen and assessing the prevalence of PPNG, we have been trying to study the patients who have visited the VD Clinic of Choong-Ku Public Health Center in Seoul since 1980 by means of the chromogenic cephalosporin method. Results: In 1996, 139 strains of N. gonorrhoeae were isolated, among which 53(39.0%) were PPNG. Conclusion: Our results suggests that after a peak of 74.3% in 1993, the prevalence of PPNG in Seoul is gradually declining.

      • KCI등재

        정신분열병에 대한 리스페리돈의 효과 및 안정성

        이민수,김용구,김영훈,연병길,오병훈,윤도준,윤진상,이철,정희연,강병조,김광수,김동언,김명정,김상훈,김희철,나철,노승호,민경준,박기창,박두병,백기청,백인호,손봉기,손진욱,양병환,양창국,우행원,이정호,이종범,이홍식,임기영,전태연,정영조,정영철,정인과,정인원,지익성,채정호,한상익,한선호,한진희,서광윤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8 신경정신의학 Vol.37 No.1

        연구목적 : 본 시험의 목적은 임상시험 시작전에 연구자들을 대상으로 PANSS Workshop을 통하여 PANSS, ESRS에 대한 국내에서의 표준화 작업을 구축하고 새로운 정신병 치료제인 리스페리돈의 효과와 안정성을 재확인하여 리스페리돈 사용에 대한 적정화를 이루는데 있다. 연구방법 : 1996년 4월부터 1996년 9월까지 국내 39개 대학병원 정신과에 입원중인 혹은 증상이 악화되어 입원하는 정신분열병 환자 377명을 대상으로 다시설 개방 연구를 시행하였다. 1주일간의 약물 배설기간을 가진후, 리스페리돈을 8주간 투여하였고, 기준점, 1주, 2주, 4주, 그리고 8주후에 평가되었다. 용량은 제1일에는 리스페리돈 1mg씩 1일 2회, 제2일에는 2mg씩 1일 2회, 제3∼7일에는 3mg씩 1일 2회 투여하였다. 이후 환자의 임상상태에 따라 임의로 증량할 수 있으며, 최대 일일 16mg을 초과하지 않도록 하였다. 추체외로 증상을 조절하기 위한 투약을 허용하였다. 임상증상 및 부작용의 평가는 PANSS(Positive and Negative Syndrome Scale), CGI(Clinical Global Impression) 그리고 ESRS(Extrapyramidal Symptom Rating Scale)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 377명중 343명(91%)이 8주간의 연구를 완결하였다. 치료 종결시점인 8주후 PANSS 총점수가 20% 이상 호전된 경우를 약물 반응군으로 정의할때, 약물반응군은 81.3%였다. 리스페리돈에 반응하는 예측인자로는 발병연령, 이전의 입원 횟수, 유병기간이 관련 있었다. 리스페리돈은 1주후부터 PANSS양성, 음성, 및 일반정신병리 점수상에 유의한 호전을 보여 효과가 빨랐다. CGI의 경우도 기준점에 비해 1주후부터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ESRS의 경우, 파킨슨 평가점수는 기준점과 비교해 투여 1주, 2주, 4주후 유의하게 증가되었다가 8주후 기준점과 차이가 없었다. Dystonia 평가점수는 1주후만 유의한 증가를 보였으며, dyskinesia 평가점수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혈압, 맥박수의 생명징후 및 일반 혈액학 검사, 생화학적 검사, 심전도 검사에서 유의한 변화는 없었다. 결 론 : 이상의 다시설 개방 임상 연구를 통해 리스페리돈은 정신분열병 환자에서 양성증상뿐만 아니라 음성증상 및 전반적인 증상에도 효과적인 것으로 사료된다. 보다 명확한 평가를 위해서는 다른 항정신병약물과의 이중맹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며, 또한 장기적 치료에 대한 평가도 함께 이루어져야 하겠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icacy and safety of risperidone in the treatment of Korean schizophrenic patients. Method : This multicenter open study included 377 schizophrenic patients drawn from 39 university hospitals. After a wash-out period of 1 week, the schizophrenic patients were treated with risperidone for 8 weeks and evaluated at 5 points ; at baseline, and 1, 2, 4 and 8 weeks of treatment. The dose was increased from 2mg/day(1mg twice daily) to 6mg/day(3mg twice daily) during the first week and adjusted to a maximum of 16mg/day over the next 7 weeks according to the patient's clinical response. Medication to control extrapyramidal symptoms was permitted. The psychiatric and neurological status of the patients was assessed by PANSS, CGI, and ESRS scales. Results : 343(91%) of 377 patients completed the 8-week trial period. Clinical improvement, as defined by a 20% or more reduction in total PANSS score at end point, was shown by 81.3% of patients. The predictors of response to risperidone were associated older age, shorter duration of illness, fewer previous hospitalization. Risperidone had rapid onset of action ; a significant decrease of the total PANSS and three PANSS factor(positive, negative, general), and CGI was already noticed at the end of first week. For the ESRS, parkinsonism rating scor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until week 4 comparing with baseline. Dystonia rating scor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until week 1, and dyskinesia rating scores were not significantly changed during the study. Laboratory parameters including vital sign, EKG, hematological, and biochemical values showed no significant changes during the trial. Conclusions : This study suggests that risperidone is generally safe and effective against both the positive and negative symptoms in our group of patients.

      • 머리염색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

        윤형식,황성호,이현륭,김수호,박연석,권낙현,정호진,김동훈,노현주,홍성호,박병찬,이관,정해관 東國大學校醫學硏究所 2002 東國醫學 Vol.9 No.1

        일상생활에서 모발염색은 흔히 접할 수 있는 미용의 한 종류로 특히 젊은층을 중심으로 폭발적으로 유행하고 있다. 염색을 위항 사용하는 약제는 표백제와 발색제 등 각종 화학약품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로 인한 건강장해에 대한 연구는 그리 많지 않다. 저자들은 염색이 인체의 모발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염색과 관련된 주관적 증상과 모발의 변화에 대한 실험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동국대학교 경주 캠퍼스 재학생 8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여 염색 유 ·무 및 염색 후에 경험한 증상에 대해 설문 조사하였고, 의과대학 재학생 46명을 대상으로 피부 반응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또한 염색 전후의 모발 탄성도를 측정하였고 모발의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 전자 현미경검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염색 전에 비하여 염색 후 안구혼탁, 안구건조, 시력저하, 발진 및 접촉성 피부염, 모발손상, 모근손상 등의 증상을 더 많이 경험한다고 호소하였다(p<0.05). 모발손상과 모근손상은 헤어드라이어 사용 빈도에 따라 증가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p<0.05). 피부반응검사에서 가려움증이 가장 많은 증상이었으며 이는 여성보다는 남성에서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염색 전후의 모발장력은 염색 전 134.5±10.37g, 염색 128.0±30.69g, 염색 이틀 후 112.5±19.69g으로 나타났다. 염색 전후의 모발의 전자현미경 케라틴 층이 현저히 감소하고 모발이 가늘어지는 차이를 보였다. 염색은 모발손상, 모발 케라틴 손상 및 모근 손상, 발진 및 접촉성 피부반응, 안구혼탁, 안구건조, 시력 저하를 유발한다. 따라서 염색약으로 인한 손상에 대한 주의와 예방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예방대책으로 염색 전 피부테스트를 통한 적합성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필요하며 가급적 염색을 피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염색약에 발암물질이 포함되어있다는 보고도 있어 염색 제조사의 철저한 실험과 염색 물질의 선별이 염색으로 인한 부작용을 최소화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Hair coloring has became one of the most popular cosmetic activities to younger generations during last decade. However, there are few studies on the health effect of widespread use of chemical dy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tudy the effects of hair coloring dye on hair and other systems. We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of 80 persons in Kyongju campus, Dongguk University. We have done open patch skin test on 46 medical students. We also conducte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to examine the hair strength and structure before and after hair coloring process. Injury of hair and hair bulb, contact dermatitis, turbid eyes, xerophthalmia, and poor visual acuity were the main symptoms complained after hair coloring (p<0.05). Injury of hair and hair bulb were increased by frequency of hair-dryer use(p<0.05). In open patch test, pruritus was complanined by more than half of the subjects. Mean strength of hairs before and after hair coloring was as follows; 134.5 (SD 10.37)g before hair coloring, 128.0 (SD 30.69)g immediately after hair coloring, and 112.5 (SD 19.69)g after two days. The scanning electron microscopic findings of hair surface before and after hair coloring showed decreased keratin layer and thinning of the hair. Hair coloring induces injury to hair, its keratin layer, and hair bulb as well as contact dermatitis, turbid eyes, xerophthalmia, and poor visual acuity. Therefore, we think that precaution is needed in use of hair coloring dye. To prevent complications induced by hair coloring dye, it is necessary, especially to those with allergy or skin disorders, to perform skin test before action and avoid hair coloring whenever possible. Longterm health effects of hairdye should be studied and manufacturing companies should try to minimize complications induced by hair coloring dye.

      • KCI등재

        AE기법 이용한 JLF/STS304이종재료의 최적 마찰용접조건에 관한 연구

        윤한기,이진경,이상필,공유식 한국비파괴검사학회 2003 한국비파괴검사학회지 Vol.23 No.2

        저방사화 페라이트강인 JLF는 핵융합로의 블랑켓과 같은 열교환기의 재료로써 유용한 재료이다. 이 재료의 광범위한 적용을 위해서는 JLF강과 다른 재료와의 접합기술의 개발이 중요하다. 최근 두 이종재료간의 접합에는 마찰용접이 많이 이용되고 있으며 본 연구에서도 JLF강과 STS304 간의 마찰용접에 의한 용접특성을 평가하였으며 특히 비파괴기법중의 하나인 음향방출 기법을 이용하여 두 이종재료간의 용접특성 및 최적의 용접조건을 평가하였다. 음향방출 파라미터중의 하나인 카운트와 사상수 등이 최적용접조건 및 용접품질을 평가하는데 유효한 파라미터들이었다. Japanese low activation ferritic steel(JLF) is a good material for the parts of heat exchanger such as blanket and diverter. At first, JLF was developed as a candidate for structural materials in nuclear fusion applications. However, the development of the jointing technique of JLF steel to other materials is important for wide applications of this material to the industry fields. Recently the jointing technologies including diffusion bonding, brazing, roll bonding, explosive bonding and hot iso-static pressing have been studied for the heterogeneous materials of JLF-1 steel(Fe-9Cr-2W-V-Ta) and stainless steel(STS304). Friction welding is one of the most popular welding methods for two different kinds of materials. In this paper, the JLF-1 steel was jointed to STS304 by friction welding method and the optimal conditions of the friction welding discussed. Acoustic emission was used as a nondestructive technique to evaluate the weld quality in processing.

      • KCI등재

        운동시의 습관적인 이 악물기가 치경부 수복물에 가해지는 스트레스를 분산하기 위한 마우스가드의 사용

        윤성영,송창규,박세희,김진우,조경모 大韓齒科保存學會 2010 Restorative Dentistry & Endodontics Vol.35 No.1

        마우스가드는 19세기 복싱선수들의 구강내 열상과 연조직의 외상을 막기 위해 사용되었다. 최근에는 치과영역에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운동 보호 장치, 미백용 장치물, 교정용 유지 장치, 수술용 가이드 장치, 턱관절 안정 장치물 등에 쓰이고 있다. 습관적인 이 악물기에 의한 반복적인 5급 수복물의 탈락은 우선 이 악물기에 의한 스트레스를 조절한 후 수복이 이루어져야 한다. 마우스가드는 이 악물기에 의한 스트레스를 조절하는 장치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증례에서는 마우스가드로 치아에 가해지는 스트레스는 감소시키는 것에 대해 논의 할 것이다. 마우스가드를 사용함으로써 반복적인 탈락을 나타내는 5급 수복물의 유지에 단기적으로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만약 환자 및 치과의사가 이 악물기로 반복적인 탈락을 나타내는 수복물로 고생하고 있다면, 마우스가드의 보조적인 사용이 치경부 수복물의 유지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Mouthguards were used to protect boxers from lip lacerations and other soft tissue injuries in the late 19th century. Now they are used various parts of dental treatment, which are sports protective aid, bleaching tray, orthodontic retainer, implant insertion guide tray, splint and so on. Repeated dislodgement of Class V restoration due to habitual clenching stress should be restored with stress control. Mouthguard can be used as stress relief device. This case describes methods that can relieve occlusal force to teeth by using mouthguard. Satisfactory results can be obtained by using mouthguard for retention of repeated dislodgement Class V restorations. If patients suffered from repeated restorations of Class V due to clenching, mouthguard can be used additional device to relieve the occlusal stress in conservative dentistry.

      • SCOPUSSCIEKCI등재

        하악전돌증의 악교정수술 후 연조직 형태변화에 대한 연구

        성상진,박현도,김재승,문윤식 대한치과교정학회 2000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30 No.3

        악교정수술에 관한 치료계획은 치료결과에 관한 정확한 예측을 바탕으로 수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심미적인 결과를 얻기 위한 가장 중요한 요소 중에 하나이다. 성인에서 골격성 하악전돌증의 치료는 하악골후퇴술을 이용한 악교정수술법이 주로 이용되는데, 술후 턱끝의 돌출도가 과도하게 감소되어 하악전진이부성형술을 추가로 시행해야 하는 경우 하악골과 턱 부위의 연조직 변화방향이 상이하게 나타나므로 술후 연조직 변화를 정확히 예측하는데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골격성 하악전돌증을 주소로 악교정수술을 시행한 성인을 대상으로, 상행지시상분할골절단술(BSSRO)만을 시행한 경우(A군) 11명과 하악전진이부성형술(advancement genioplasty)도 같이 시행한 경우(B군) 9명의 경조직과 연조직 변화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수술 8개월 이후에 채득된 측모두부계측방사선사진을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E-line에 대하여 상순은 더 돌출되고 하순은 더 후퇴되어 입술의 형태가 개선되었으며,하악전진이부성형술을 병행한 경우 하순의 돌출도는 더 개선되었다. 2. 두 군 모두에서 상순은 후방이동하고 비순각은 증가하였다. 3. 술후 B점에 대한 연조직 POGs점의 변화율은 A군에서 84%, B군에서 66%로 나타났으며 두 군간에 통계적 유의성이 있었다. 4. 경조직과 계측점의 수직변화량은 A군에서 감소하였다. The treatment plan for orthognathic surgery must be based on accurate predictions, and this can be produced the most esthetic results. Treatment of prognathic mandible in adult is usually orthognathic surgery using mandible set back, but mandible with retruded chin point is needed additional chin augmentation. In this case, the directions between mandible and chin point are different therefore, the prediction of soft tissue reactions must be modified. In this study, we materialize the patients who was taken orthognathic surgery due to prognathic mandible, 11each(Group A) was taken only Bilateral Sagittal Sprit Ramus Osteotomy (BSSRO), 9each(Group B) was taken additional advancement genioplasty. The lateral cephalometric radiography taken 8 months later after orthognathic surgery by this patients were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1.The profile of lips was favorable after surgery due to upper lip to E-line became prominent and lower lip to E-line was retruded. 2.In both group, upper lip moved posteriorly and nasolabial angle was increased. 3.The ratio of the soft tissue profile change in POGs point to skeletal B point movement was 84% in group A and 66% in group B, and there was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group A and group B. 4.Vertical movement of hard tissue points is decreased in group A.

      • 드레인 전류 잡음원만을 고려한 스케일링이 가능한 바이어스 의존 P-HEMT 잡음모델

        윤경식,이창석,맹성재,이진희,박철순 대전산업대학교 반도체기술연구소 1999 半導體技術硏究所報 Vol.1 No.-

        게이트 길이가 0.2㎛인 P-HEMT에 대하여 드레인 바이어스 전류의 변화 및 게이트 폭에 대해 스케일링이 가능한 잡음모델을 제안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S-파라미터를 정확히 예측하기 위하여 x를 제외한 intrinsic 파라미터는 offset를 도입하여 정규화 한 후 스케일링을 하였다. 드레인 포화전류에 대한 드레인 전류의 비율과 게이트 폭을 변수로 하는 소신호 모델 파라미터의 맞춤함수를 구하였다. 또한, 잡음 파라미터를 정확히 예측하기 위하여 진성저항 잡음 온도 T_g, 게이트 단 전류 잡음원 등가잡음 컨덕턴스 G_ni 드레인 단 전류 잡음원 등가잡음 컨덕턴스 G_no를 잡음 모델정수로 사용하여 그 값을 추출하여 스케일링 하였다. 잡음 온도 T_g는 드레인 전류와 게이트 폭에 거의 추출되었다. 그러므로, G_no만을 잡음 모델정수로 하는 잡음모델과 T_g, G_ni, G_no를 잡음 모델정수로 하는 잡음모델을 측정값과 비교하여 본 결과 G_no만을 갖는 잡음모델도 측정된 잡음 파라미터와 잘 일치하였다. 따라서, 모델 정수 추출이 간단한 G_no 만을 갖는 잡음모델은 게이트 폭과 바이어스 전류에 대해 스케일링이 가능한 실용적인 잡음모델임을 확인하였다. Bias-dependent noise models of 0.2㎛ gate length P-HEMT's which are scalable with gate width are proposed. To predict S-parameters of the P-HEMT's the intrinsic parameters except for x subtracted the offsets introduced in this paper are normalized to the gate width and then scaled. The small-signal model parameters are expressed as fitting functions of the drain current to I_dss ratio and gate width. In addition, to estimate accurately noise parameters the noise temperature T_g of the intrinsic resistance, the equivalent noise conductance G_ni of the gate current noise source, and the equivalent noise conductance G_no of the drain current noise source are adopted as the noise model parameters. The extracted values of T_g are nearly independent of drain current and gate width and their average is arou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