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천로(川老)와 정진(鄭震)의 『금강경합주본(金剛經合註本)』 연구

        송일기(Song, Il-Gie)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9 佛敎學報 Vol.0 No.86

        이 글은 근래 새로 발견된 금강경 주석서에 대한 서지적 연구이다. 종래 우리나라에서 간행된 금강경의 주석서로 고려시대에 「천로해」가 수차 간행 보급되었으며, 조선시대에는 「오가해」가 널리 유포되었다. 그런데 최근 새로 발굴된 금강경의 주석서는 「천로해」에 정진의 주석이 추가된 ‘합주본’으로 그 동안 정진의 주석은 전혀 알려져 있지 않았다. 그러나 합주자 정진과 천로의 생애에 대해서는 자세히 알려져 있지 않은데, 단편적 기록을 통해 12세기에 중국 태주에서 활동했던 인물로 보인다. 합주본의 찬자인 정진은 주로 남송의 고종과 효종연간에 중국 태주에서 활동한 인물로 직비각과 숭도관에서 관리로 근무하여 정3품직인 조의대부에 오른 송대 유학자이다. 그는 천로가 금강경에 주해한 것에 대해 별도의 주해를 추가한 합주본을 편찬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이 합주본은 중국에서 남송초기에 간행되었을 것으로 보이나 당시 간행된 송판본은 현전하지 않고 있으나, 우리나라에는 조선 세종 8(1426)년에 경상도 장수산 무주암에서 개판된 판본이 현재 유일하게 전래되고 있다. 경상도 무주암에서 간행된 합주본은 한국은 물론 중국과 일본에도 현전하지 않은 유일한 판본으로 파악되었다. 특히 주목되는 사실은 조선후기에 추사 김정희가 묘향산 보현사를 탐방하였을 무렵에 합주본을 보고 논평을 남긴 제발이 문집에 수록되어 있어 조선시대 합주본의 존재 사실은 확인이 되고 있다. 이에 천로와 정진의 주석 내용을 비교 분석한 결과, 합주본에는 기존의 천로본에 비해 2-3배 분량이 더 많은 정진의 주해가 추가되어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향후 천로의 금강경 주해본 연구에 있어서 난해한 내용들이 새롭게 밝혀질 것으로 기대된다. This research deals with the newly found commentary book of Vajracchedika prajnaparamita Sutra (The Diamond Sutra). As the commentary book of The Diamond Sutra in Korea, Commentaries by Cheon No-hae (川老解) was published many times during the Goryeo Dynasty; also, Commentaries by Five Masters (五家解) was widely circulated during the Joseon Dynasty. However, the newly found commentary book of The Diamond Sutra is a “combined edition” including the annotation of Cheongjin (鄭震) to Commentaries by CheonNohae, which was previously unknown. However, The life of Cheongjin and Cheon No is not known in detail, but it seems to be figures who acted in Taizhou, China, in the 12th century through a fragmentary record. Cheongjin was a Confucian scholar who worked for Jikbigak (直秘閣) and Sungdoguan (崇道觀) as a government high officer in Taizhou, China in the years of King Gaozong and Xiaozong in southern Songs. He seems to have compiled the combined edition with his own annotation on Commentaries by Cheon No-hae. This combined edition is presumed to have been published in China during the early stage of the Southern Song Dynasty (南宋); nonetheless, it was published in Gyeongsang-do, Jansu Mountain, Mujuam (無住菴) during the Joseon Sejong of 8 (1426). It was identified as the only edition that is not present in South Korea as well as China and Japan. It is noteworthy that in the late Joseon Dynasty, Kim Jeong-hui visited the Mt. Myohyang BoHyun Temple (普賢寺) and made his commentation after seeing this combined edition, confirming the existence of book in Joseon Dynasty at leas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 comparative analysis pertaining to annotations of Cheollo and Cheongjin, the number of annotations of Cheongjin in the combined edition was two or three times that of the original edition of Cheollo. It is expected that the unclear part of the commentary of Cheollo will become clearer after further study.

      • KCI등재

        삼국시대 서적 유통에 관한 연구

        송일기,Song, Il-Gie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13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44 No.1

        This study objected books having been imported from China until the 7th century when unification was made among the three kingdoms together with distributed books by Korean nationals after compiling them, and clarified main characteristics by investing their whole pictures. The three kingdoms had imported books from China from the 5th century, and made them reflect to the enactment of laws and regulations, introduction of educational system, promotion of learning, international diplomacy, and national history compilation etc for settling down the ancient nation. And Buddhism having been transmitted to the Korean Peninsula in the late 4th century was nothing more than simple handing-down Buddhist scriptures in early stage, but teaching and learning developed into levels of forming new sects after the 7th century when the complete collection of Buddhist Sutras was introduced, so the study paid attention to a fact that full-scale compilation of our collection literature was appearing. As the result of analyzing the phenomena of book distributions till the 7th century when the three kingdoms were unified in this way, transmitted books showed concentrating aspects to confusion and Buddhist literature mainly, and books having been compiled by Korean nationals themselves appeared high in history books of the three kingdoms and collection literatures of Buddhism, and also a fact was grasped such like Sohak books required for basic learning and professional ones on science fields were imported from other countries. Most books having been distributed in the three kingdoms at that time were imported from the 6th century really, so majority of them seemed to be supplied with manuscript forms. However, this study considered the possibility of using bamboo scriptures on history books such as Liugi(留記) and Seogi(書記) etc that had been compiled before the 5th century at the three kingdoms. 이 연구는 삼국이 통일을 이룬 7세기까지 중국에서 수입한 서적과 내국인이 편찬하여 유통된 서적을 대상으로 그 전모를 조사하여 주요한 특징을 밝힌 글이다. 삼국은 5세기부터 중국으로부터 서적을 수입하여 고대국가의 정착을 위해 법령의 제정, 교육제도의 도입, 학문의 진흥, 국제 외교, 국사의 편찬 등에 반영하였다. 그리고 4세기 후반 한반도에 전래한 불교는 초기에는 단순히 불경을 전수하는데 불과하였으나, 대장경이 도입된 7세기 이후에는 새로운 종파를 형성할 수준으로 교학이 발전하여 우리 자체의 장소문헌의 찬술이 본격으로 등장하고 있다는 사실에 주목하였다. 이처럼 삼국이 통일된 7세기까지 서적의 유통 현상을 분석한 결과, 전래 서적은 주로 유교와 불교 문헌에 집중된 현상을 보이고, 내국인에 의한 자체적으로 편찬한 서적은 삼국의 역사서와 불교의 장소문헌에서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그 외에도 기초학습에 필요한 소학서와 과학분야의 전문서적이 수입되었던 것으로 파악되었다. 당시 삼국에서 유통된 서적의 경우 대부분 6세기부터 본격적으로 수입되었기 때문에 대부분 필사본 형태로 보급되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삼국에서 5세기 이전에 편찬되었던 "유기(留記)"와 "서기(書記)" 등 역사서적은 죽간으로 제작되었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았다.

      • Clinical Significance of Lactate Clearance for the Development of Early Allograft Dysfunction and Short-Term Prognosis in Deceased Donor Liver Transplantation

        ( Deok Gie Kim ),( Jee Youn Lee ),( Seung Hwan Song ),( Jae Geun Lee ),( Han Dai Hoon ),( Dong Jin Joo ),( Man Ki Ju ),( Gi Hong Choi ),( Jin Sub Choi ),( Myoung Soo Kim ),( Soon Il Kim ) 대한간학회 2017 춘·추계 학술대회 (KASL) Vol.2017 No.1

        Aims: This retrospective study evaluated lactate clearance (LC) as a predictor of early allograft dysfunction (EAD) and short-term outcomes in patients receiving deceased donor liver transplantation. Methods: We performed a retrospective analysis for 181 consecutive deceased donor liver transplantation from January 2011 to May 2016. LCs were calculated at 6, 12, 18 and 24 hours after reperfusion (LC6, LC12, LC18 and LC24). Results: Of 181 transplant recipients, 44 (24.3%) developed EAD and had lower LCs than those who did not develop EAD. A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analysis showed that LC determined at 6 hours showed the highest area under curve value of 0.828 (95% confidence interval [CI]: 0.755-0.990) for predicting the development of EAD at a cutoff value of 25.8% with 76.7% sensitivity and 77.9% specificity. LC values that fell below the cutoff values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EAD in a multivariate analysis, with values at 6 hours having the highest adjusted odds ratio (11.891, 95% CI: 4.469- 31.639). In-hospital and 6-month mortalities were higher in patients with LC values below the cutoffs compared with those above the cutoff values at each time point. Conclusions: LC calculated shortly after reperfusion of an allograft is significantly discriminative for the development of EAD and is associated with short-term prognosis after deceased donor liver transplantation.

      • KCI등재

        보성선원(寶成禪院) 삼존불(三尊佛)의 복장전적(腹藏典籍) 연구(硏究)

        송일기,Song, Il-Gie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12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43 No.4

        이 연구는 보성선원의 대웅전에 봉안되어 있는 석가불 문수상 보현상 등 삼존불에서 수습된 복장전적에 대해 서지학적 측면에서 분석한 글이다. 보성선원의 대웅전에 봉안되어 있는 삼존불은 1647년 이전에 경상도 거창의 견암사(見巖寺)에서 조성되어 현재의 보성선원으로 이관된 불상이다. 삼존불 중 석가불에서 37책이, 문수상과 보현상에서는 각각 18책이 수습되어 전체 13종 73책에 달하는 복장전적이 수습되었던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 중에는 새로운 3종(화엄경, 금강경, 천태사교의집해)의 불교전적은 처음으로 나타난 것으로 파악되었다. 그리고 보성선원의 복장본의 특성을 분석한 결과, 전체 13종 73책 중 경전류가 6종 65책으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특히 이 중에는 조선시대에 우리나라에서 독자적으로 간행된 5계통의 법화경 46책이 포함되어 있다. 이들 판본은 불상이 조성된 이전에 주로 경상도와 전라도 지역에서 개판된 사실을 분석하였다. This study analyzes the bibli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relics settled from the inside of Buddhist triad - Buddha, Bodhisattva, and Samantabhadra - which is located in the main building of Boseong Temple. This Buddhist triad was made in Gyonam Temple in Geo Chang, Gyongsang-do before 1647 and transferred to Boseong Temple. It is revealed that this Buddhist triad has 13 kinds, 73 volumes altogether including 37 volumes from Buddha and 18 volumes from Bodhisattva and Samantabhadra each. Of these books, three kinds are founded for the first time. Also, by analyzing the features of these sacred books, it is confirmed that most of the books, 6 kinds 65 volumes, are the Sutras. Especially, this study focuses on the fact that there are 5 kinds, 46 volumes in these Sutras which were published by Korea itself. Analysis shows that these publications were revised mostly in Jeolla-do and Gyeongsang-do before the Buddhist triad was made.

      • KCI등재

        소주(蘇州) 서광사탑(瑞光寺塔) 출토(出土) 북송초기(北宋初期)의 불교문헌(佛敎文獻) 연구(硏究)

        송일기,Song, Il-Gie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14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45 No.1

        이 논문은 지난 1978년 서광탑의 수리를 위한 조사과정에서 3층 탑심부의 천궁에서 다량의 불교문화재를 수습하였다. 당시 수습한 문화재에는 당대에서 북송초기에 조성된 귀중한 불교문헌 123점이 포함되어 있다. 소주 서광사는 적조(赤鳥) 4(241)년에 오나라 첫 번째 왕이었던 손권(孫權)이 강거국에서 온 승려 성강(性康)을 맞이하기 위해서 세워진 사찰이며, 창건 당시에는 보제선원(普濟禪院)으로 부르다가 북송 초기 원희 연간에 와서 대대적으로 중창하고 지금의 서광사(瑞光寺)로 개명하였다. 서광탑은 서광사가 완공된 직후인 적조(赤鳥) 10(247)년에 손권이 모친의 극락왕생과 국태민안을 기원하기 위해 사찰 내에 13층탑을 세웠으며, 이후 오랜 세월이 지나 이 탑이 크게 파손되어 천희(天禧) 1 (1017)년에 새로 중건하고 이름을 다보탑(多寶塔)이라 하였다. 서광탑에서 출토된 불교문헌은 크게 다라니류 3건 107점과 전적류 5종 16권 등 모두 123점으로 파악되었다. 특히 전적류 가운데 법화경사경은 당대에 감지에 금자로 조성된 것으로 전 7권이 비교적 완전한 상태이며, 동아시아 국가에 현존하는 감지금자사경 가운데 최선본으로 평가할 만하다. 또한 북송초기에 간행된 목판본이 6권이나 완전한 상태로 발견되었다. 그동안 일본학자 나가자와(長澤)가 이와 동일본인 중촌본(中村本)을 초당본(初唐本)으로 잘 못 소개한 이후 모든 개설서에 그대로 반영하고 있는데, 이 연구를 통해 오류를 수정할 계기가 되었다는 점이 의미가 있다. In 1978, there was an investigation before the repair of the pagoda in Suzhou Ruiguangsi (蘇州 瑞光寺) and many Buddhist literatures were found in the center of pagoda's 3rd floor. This study is the analysis of the forms and values of the literatures. Since there were 123 ea of precious literatures made from Tang (唐) period to early North Sung (北宋) period among the found Buddhist literatures, they have very important meaning in the bibliography for the time. Suzhou Reiguangsi (蘇州 瑞光寺) was built by the first king of Wu (吳), Sun Quan (孫權). He built this Buddhist temple to meet Monk Xingkang (性康) from Kangjuguo (康居國). When it had been first built, it had been called Puji Chanyuan (普濟禪院) and it was renamed as current Ruiguangsi (瑞光寺) after the major expansion in the early period of North Sung (北宋). The Ruiguangta (瑞光塔) was built by Sun Quan (孫權) in A.D. 247 immediately after the temple had been built. Sun Quan built this pagoda as a 13-floor pagoda to pray for the easy passage into eternity of his mother, national prosperity and welfare of the people. As time passed by, the pagoda was largely damaged and it was newly built in A.D. 1017 (天禧 1) of early North Sung (北宋) period; while it was named as Duobaota (多寶塔). The literatures found in Ruiguangta consist of 107 ea of 3 sets dharani (陀羅尼) scripture and 16 volumes of 5 books, total 123 ea. Especially, there were 7 books of full set transcript of Lotus Sutra (法華經) in relatively complete form. This sutra written in gilt lettering on dark blue paper was made in Middle Tang (中唐) period and it is believed to be the only one existing in East Asia as a scripture written in gilt lettering on dark blue paper (紺紙金字寫經). There were also 6 books of small letter edition of Lotus Sutra (法華經) in complete form, which was published during the early North Sung (北宋) period. This specific edition is incorrectly stated in most general reference books published in China as having been engraved in early Tang period (初唐) since a Japanese scholar wrongly introduced it as having been engraved together with Nakamura edition (中村本). It is meaningful that this error can be corrected by the finding of this study.

      • KCI등재

        새로 발견된 호남판(湖南板) <부모은중경언해(父母恩重經諺解)> 4종의 서지적(書誌的) 연구(硏究)

        송일기,박민희,Song, Il-Gie,Park, Min-Hee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10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41 No.2

        이 논문은 호남지역에서 개판된 은중경 언해본 4종을 새로 발굴하여 학계에 소개하기 위한 글이다. 은중경언해본은 새로 소개하는 4종을 포함하여 현재 모두 36종에 이르고 있는데, 이 중 14종이 호남지역에서 개판된 판본이다. 새로 소개한 4종 중 3종에는 <십법계송>과 <십팔지옥>이 부록되어 있는 점이 특이하다. 이러한 부록형식은 1563년에 전라도 순천 송광사에서 개판된 판본에서 시작되었던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4종 가운데 백암사본(1628년)과 내장사본(1653년)에는 동일한 부록이 수록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송광사본을 저본으로 복각한 것으로 추정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troduce 4 different Jeolla-do editions of Bumoeunjungkyeongeonhae(父母恩重經諺解) which were newly found recently. Editions of Eunjungkyeong(恩重經) translated in Korean reach 36 editions including these 4 editions. Among 36 editions, 14 editions were published in Jeolla-do. 3 editions of these newly found editions have attachments of 'Sipbeopgyesong(十法界頌)' and 'Sippaljiok(十八地獄)'. The feature of these attachments' form was started since 1563 edition of Songgwangsa in Jeolla-do. In particular, 1628 edition of Baegamsa and 1653 edition of Naejangsa have same attachments. Therefore it is presumed that these 2 editions were copied and engraved based on Songgwangsa edition.

      • KCI등재

        "좌리원종공신녹권(佐理原從功臣錄券)"의 서지적(書誌的) 연구(硏究)

        송일기,진나영,Song, Il-Gie,Jin, Na-Young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09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40 No.4

        "좌리원종공신녹권(佐理原從功臣錄券)"은 성종이 1571년 성종이 왕위에 오르는 일에 공을 세운 신하들을 좌리원종공신으로 책봉한 후 반사(頒賜)한 책이다. 이 연구는 성암고서박물관에 유일하게 현존하는 것으로 조사된 "좌리원종공신녹권" 1책을 대상으로, 녹권이 반사된 사유 및 경위를 알아본다. 녹권의 형태와 그 체제를 자세히 분석하여, 이를 바탕으로 녹권에 기재된 공신들을 각 등급별로 나누어 책봉된 공신들의 직함과 성씨 및 신분에 대한 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좌리원종공신녹권"은 을해자(乙亥字)의 금속활자본으로 크게 권수(卷首) 본문(本文) 권말(卷末)의 3부분의 체계로 구성되었다. 또한 513개의 직함에 모두 1,059명(1등 64명, 2등 272명, 3등 723명)이 기재되어 있었으며, 직함이 비교적 자세하게 기술되었으며 1등원종공신 직함의 품계가 2등과 3등에 비해 높았다. 그리고 원종공신들의 성명에 기술된 성씨(姓氏)를 기준으로 분석한 결과, 다양한 성씨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특히 이(李)씨가 약 21%와 김(金)씨가 약 15%로, 원종공신의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었음이 확인되었다. Jwa-lee Wonjong Gongsin-Nokgwon(佐理原從功臣錄券) is a book which recorded the titles of position and the names of retainers who made Sung-jong into Chosun dynasty's king. This study aims to research into existing only 1 books of Jua-ik Wonjong Gongsin-Nokgwon, which were to analyze the reasons of grant, structure and forms, the characteristics of meritorious retainers' official positions and social status. As the result, Jwa-lee Wonjong Gongsin-Nokgwon is the metal typologic book which was made up Eul-hae(乙亥) letter type. The structure of the Jwa-lee Wonjong Gongsin-Nokgwon was composed of the beginning(卷首) the body(本文) the end(卷末). Jwa-lee Wonjong meritorious retainers formed the total of 1,059 persons(1st grade : 64 persons, 2nd grade : 272 persons, 3rd grade : 723 persons) with 513 official titles. Also an analysis of their family name confirmed that 1,059 persons were "Lee" which constituted the largest group(21%), "Kim" were second group(15%).

      • KCI등재

        조선시대 금속활자본 불교서적의 서지적 연구

        송일기,정왕근,Song, Il-Gie,Jung, Wang-Kun 한국문헌정보학회 2015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49 No.1

        This study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Buddhist books printed using metal type during the Joseon Dynasty period from a bibliographical perspective. It was found that there are 36 kinds of Buddhist books published using metal type during the Joseon Dynasty period that currently exist. In terms of the types used for publication, there were 9 kinds of printed editions by Gapinja, 13 kinds of printed editions by Eulhaeja, 2 kinds of printed editions by Jeongchukja, 3 kinds of printed editions by Eulyuja and 9 kinds of printed editions by Jeonsaja. Among them, The Buddhist books printed using Eulhaeja were 36 % of total with the highest quantity of 13 kinds. In terms of periods of publication, it was found that 27 kinds and 9 kinds of Buddhists books were published respectively in the first and latter parts of Joseon Dynasty periods. Among them, there were 19 kinds of metal type book editions published during the King Sejo period that occupied 70% of total. It appears that such phenomenon was a result of King Sejo's abnormal enthronement and Buddhism-friendly tendency. 이 연구는 조선시대 금속활자로 간인한 불교서적에 대해서 서지학적 측면에서 그 특징을 고찰한 것이다. 조선시대 금속활자로 간행한 불교서적은 모두 36종이 현전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를 간행에 사용한 활자별로 분석해 보면, 갑인자본이 9종, 을해자본이 13종, 정축자본이 2종, 을유자본이 3종, 그리고 전사자본이 9종으로 밝혀졌다. 그 가운데 을해자로 간인된 불서가 13종으로 가장 많은 수량을 보이고 있어 전체 36%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이를 간행시기로 분석한 결과, 조선전기에는 모두 27종이, 조선후기에는 모두 9종의 불교서적이 간행된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 중 세조대에 간행된 금속활자본은 19종으로 조사되어 전체 70%를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세조의 비정상적 즉위와 더불어 호불적 성향과 깊은 영향관계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조선시대에 간행된 간지본 대학의 간년추정에 관한 연구

        송일기,정왕근,Song, Il-Gie,Jung, Wang-Kun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04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35 No.4

        이 연구는 조선시대 간행된 대학의 판본 중에 간지로 간기가 기재된 현존본을 대상으로 그 간행연도를 추정하는데 목적을 두고있다. 조사대상은 한문본 13종과 언해본 5종으로 모두 18종의 판본을 선정하였으며, 이를 지역, 판종, 간행처, 간지, 추정연도로 분석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not only printed books of Great Learn(大學) published in Chosun dynasty but also existing records concerned with it as well as analyze them typically and systematically. totally 18 kinds of book of Great Learn still remain. Among them 13 kinds of book are written in Chinese(漢文本) and 5 kinds of book are written In Korean(諺解本).

      • KCI등재

        "광국원종공신녹권(光國原從功臣錄券)"의 서지적(書誌的) 연구(硏究)

        송일기,진나영,Song, Il-Gie,Jin, Na-Young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10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41 No.4

        "광국원종공신녹권(光國原從功臣錄券)"은 선조가 1591년 조선 왕실의 종계변무(宗系辨誣)에 공을 세운 신하들을 광국원종공신으로 책봉한 후 반사(頒賜)한 책이다. 이 연구는 현존하는 재주갑인자(再鑄甲寅字)인 경진자(庚辰字)로 인출된 "광국원종공신녹권" 4책을 대상으로, 녹권이 반사된 사유 및 경위를 알아본다. 녹권의 형태와 그 체제를 자세히 분석하여, 이를 바탕으로 녹권에 기재된 공신들을 각 등급별로 나누어 책봉된 공신들의 직함과 그들의 신분에 대한 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광국원종공신녹권"은 경진자로 찍은 금속활자본으로 크게 권수(卷首) 본문(本文) 권말(卷末)의 3부분의 체계로 구성되었다. 또한 354개의 직함에 모두 872명(1등 137명, 2등 136명, 3등 599명)이 기재되어 있었으며, 직함이 비교적 자세하게 기술되었으며 1등원종공신 직함의 품계가 2등과 3등에 비해 높았다. 문관이 무관에 비해 많았다. 그리고 원종공신들을 4개의 신분(身分)으로 분석한 결과, 다양한 신분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양반 748명, 중인 103명, 양인 13명, 천인 8명 등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양반이 원종공신의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었음이 확인되었다. Gwang-Kuk Wonjong Gongsin-Nokgwon(光國原從功臣錄券) is a book which recorded the titles of position and the names of retainers who corrected the Chosun dynasty's genealogy. This study aims to research into existing 4 books of Gwang-Kuk Wonjong Gongsin-Nokgwon, which were to analyze the reasons of grant, structure and forms, the characteristics of meritorious retainers' official positions and social status. As the result, Gwang-Kuk Wonjong Gongsin-Nokgwon is the metal typologic book which was made up Jaeju-Gapin(再鑄甲寅) letter type. The structure of the Gwang-Kuk Wonjong Gongsin-Nokgwon was composed of the beginning(卷首) the body(本文) the end(卷末). Gwang-Kuk Wonjong meritorious retainers formed the total of 872 persons(1st grade: 137 persons, 2nd grade: 136 persons, 3rd grade: 599 persons) with 354 official titles. Also an analysis of their social status confirmed that 872 persons were "Yang-ban(兩班)" which constituted the largest group(748 persons : 85.8%), "Jung-in(中人)" were second group(103 persons : 11.8%), "Yang-in(良人)" were 13 persons(1.5%) and "Chun-in(賤人)" were 8 persons(0.9%).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