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Improving Applicability of Incident Event and Frequency Analysis for Off-site Risk Assessment and Safety Enhancement in Korea

        Sol Lim Kwak(곽솔림),Jin Seon Lee(이진선),Jung Kon Kim(김정곤),Chuntak Phark(박천탁),Seungho Jung(정승호),Ji Sung Ryu(류지성)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2018 Crisisonomy Vol.14 No.9

        장외영향평가의 위험도 분석기법에는 LOPA(Layer of Protection Analysis)와 OGP(Oil&Gas Producer)가 적용되고 있으나 OGP 방식은 완화장치가 설치되어 있다고 가정되어 있는 빈도이기 때문에 LOPA 방식보다 낮게 산정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현재 장외영향평가에서 적용하고 있는 LOPA의 개시사건의 정의가 명확하지 않고 일부 개시사건은 중복되거나 다른 방법론들에 비교하여 보수적으로 평가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위험도 분석 시 객관적인 근거를 마련하기 위하여 OGP의 사고발생 빈도, LOPA 위험도평가 기법, FRED(Failure Rate of Equipment Data) 빈도 기법, TNO Purple book 위험성평가의 특성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장외영향평가에 적용되는 LOPA의 개시사건 빈도를 조정하였다. 또한, 현재 장외영향평가서에서 적용할 수 있는 완화장치가 제한적이기 때문에 CCPS(Center For Chemical Process Safety) 가이드라인과 FRED, RIVM(Netherlands National Institute for Public Health and the Environment)을 분석하여 적용 가능한 완화장치 10개와 향후 고려해볼 수 있는 완화장치 10개를 제시하였다. Both the Layer of Protection Analysis (LOPA) and the Oil & Gas Producer (OGP) have mainly been used to calculate the incident frequencies in ORA (Off-site Risk Assessment). Because the incident frequencies in OGP are calculated under the assumption of well-equipped safety devices, they are a lot lower than those of LOPA. Furthermore, the definition of incident event is not clear and the incident frequencies of LOPA used in ORA are conservatively evaluated compared to other methods.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we investigated the incident frequencies of FRED (Failure Rate of Equipment Data) and TNO Purple book and compared them with the incident frequencies of the current domestic ORA. Following that, we adjusted the incident events in the domestic method using LOPA incident events to reduce the gap with other methods. In addition, because the currently-used IPLs are limited, we suggested ten IPLs (Independent Protection Layers) for current applications and ten IPLs for future applications based on the analysis of CCPS guidelines, FRED, and RIVM manual.

      • Vorinostat-eluting poly(DL-lactide-co-glycolide) nanofiber-coated stent for inhibition of cholangiocarcinoma cells

        Kwak, Tae Won,Lee, Hye Lim,Song, Yeon Hui,Kim, Chan,Kim, Jungsoo,Seo, Sol-Ji,Jeong, Young-Il,Kang, Dae Hwan Dove Medical Press 2017 INTERNATIONAL JOURNAL OF NANOMEDICINE Vol.12 No.-

        <P><B>Purpose</B></P><P>The aim of this study was to fabricate a vorinostat (Zolinza™)-eluting nanofiber membrane-coated gastrointestinal (GI) stent and to study its antitumor activity against cholangiocarcinoma (CCA) cells in vitro and in vivo.</P><P><B>Methods</B></P><P>Vorinostat and poly(DL-lactide-co-glycolide) dissolved in an organic solvent was sprayed onto a GI stent to make a nanofiber-coated stent using an electro-spinning machine. Intact vorinostat and vorinostat released from nanofibers was used to assess anticancer activity in vitro against various CCA cells. The antitumor activity of the vorinostat-eluting nanofiber membrane-coated stent was evaluated using HuCC-T1 bearing mice.</P><P><B>Results</B></P><P>A vorinostat-incorporated polymer nanofiber membrane wa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GI stent. Vorinostat was continuously released from the nanofiber membrane over 10 days, and its release rate was higher in cell culture media than in phosphate-buffered saline. Released vorinostat showed similar anticancer activity against various CCA cells in vitro compared to that of vorinostat. Like vorinostat, vorinostat released from nanofibers induced acetylation of histone H4 and inhibited histone deacetylases 1⋅3⋅4/5/7 expression in vitro and in vivo. Furthermore, vorinostat nanofibers showed a higher tumor growth inhibition rate in HuCC-T1 bearing mice than vorinostat injections.</P><P><B>Conclusion</B></P><P>Vorinostat-eluting nanofiber membranes showed significant antitumor activity against CCA cells in vitro and in vivo. We suggest the vorinostat nanofiber-coated stent may be a promising candidate for CCA treatment.</P>

      • KCI등재

        Estimating R-Value of Facility Using Hazardous Chemical for Industries Submitting the Small-Scale Off-site Risk Assessment Reports

        Jin Hee Jung,Hyeong Jun Lim,Ji Eun Lee,Sol Lim Kwak,Woo Soo Choi,Tae Kwon Ryu,Jung Kon Kim,Ji Sung Ryu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2018 Crisisonomy Vol.14 No.12

        「화학물질관리법」 시행 이후, 2015년부터 2017년까지 제출된 장외영향평가서는 점차적으로 소규모 수준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소규모 사업장에서 제출된 장외영향평가서의 업종을 15개 분류로 구분하여 확인하였다. 그 결과, 표면처리(도금)(166건), 인쇄(그라비아)(36건) 등으로 분석되었다. 이 에 따라, 동일한 공간에 두 대 이상의 취급설비가 위치한 경우에는 R값 적용이 필히 고려되어야 한다. 개별 취급시설은 소량기준 미만을 만족하더라도 R값이 1 이상이면 안전성 확보방안 및 관리적 대책이 추가된 장외영향평가서를 표준 수준으로 제출해야한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소규모 수준 장외영향평가서의 다빈도 업종인 인쇄(그라비아)공정과 표면처리(도금)공정 R값을 산정하였 고, 이를 바탕으로 사각지대에 있는 소규모 및 영세 사업장의 화학 사고를 예방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Since the implementation of the Act on Chemical Substance Management, the number of the small-scale Off-site Risk Assessment (ORA) reports submitted has been gradually increasing from 2015 to 2017. Classifying industrial categories of the ORA reports submitted by small business sites into 15 processes, 166 were found to be surface treatment (plating) and 36 were printing (gravia). When more than 2 facilities are located in the same space, the R value must be applied. If the R value is greater than 1 even if the individual facility meets the small-quantity criteria, the level-2 ORA report should be submitted to the government in addition to safety and administrative measures. Thus, this study determined R values for printing (gravia) and surface treatment (plating) processes, which are the industries that mainly submit a small-scale ORA report.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are expected to help prevent chemical accidents in small businesses in blind spots.

      • 모바일 기반 파킨슨 환자의 측정 및 평가 어플리케이션 개발

        송기호(Ki Ho Song),이태기(Tae Ki Lee),곽재희(Jae Hee Kwak),임한솔(Han Sol Lim),조하연(Ha Yeon Cho),김억(Eok Kim) 한국HCI학회 2019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9 No.2

        파킨슨 질환은 신경전달물질인 도파민의 분비가 줄어들어 발생하는 신경퇴행성질환으로 파킨슨 증후의 관찰 및 진행정도를 파악하는 일은 진단의에게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최신 임상진단기준인 MDS-UPDRS 평가 척도중 운동성 검사부분에 초점을 맞추고, 검사에 간편한 손의 운동 동작인 Tremor, Tapping, Spiral Drawing 을 스마트폰의 동작센서를 통해 입력 받아 그 결과를 정량화 및 시각화 할 수 있는 Pre-Screening App 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App 은 진단의가 환자의 동작관찰을 시도함에 있어서 스마트폰을 통해 간편하게 정량적인 데이터를 빠르게 제공하므로 파킨슨증후의 감별 및 객관적 소견 작성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정확한 분석을 돕기 위한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알고리즘이 추가된다면 파킨슨 진단-치료 과정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