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저고도 전리권 관측을 위한 사운딩 로켓 실험용 IAMMAP(Ionospheric Anomaly Monitoring by Magnetometer And Plasma-Probe)의 과학적 목표와 임무 설계

        Jimin Hong,Yoon Shin,Sebum Chun,Sangwoo Youk,Jinkyu Kim,Wonho Cha,Seongog Park,Seunguk Lee1,Suhwan Park,Jeong-Heon Kim,KWANG-SUN RYU 한국우주과학회 2024 우주기술과 응용 Vol.4 No.2

        Sounding rockets are cost-effective and rapidly deployable tools for directly exploring the ionosphere and microgravity environments. These rockets achieve their target altitudes quickly and are equipped with various scientific instruments to collect real-time data. Perigee Aerospace plans its inaugural test launch in the first half of 2024, followed by a second performance test launch in January 2025. The second launch, scheduled off the coast of Jeju Island, aims to reach an altitude of approximately 150 km with a payload of 30 kg, conducting various experiments in the suborbital region. Particularly in mid-latitude regions, the ionosphere sporadically exhibits increased electron densities in the sporadic E layers and magnetic fluctuations caused by the equatorial electrojet. To measure these phenomena, the sounding rocket version of ionospheric anomaly monitoring by magnetometer and plasma-probe (IAMMAP), currently under development at the KAIST Satellite Research Center, will be onboard. This study focuses on enhancing our understanding of the mid-latitude ionosphere and designing observable missions for the forthcoming performance tests. 사운딩 로켓은 저렴한 비용과 빠른 개발 기간을 통해 전리권이나 무중력 환경을 직접 탐사하는 유용한 도구이다. 이러한 로켓은 목표 고도에 신속하게 도달하며, 다양한 과학적 장비를 탑재하여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할 수 있다. 페리지에어로스페이스㈜는 2024년 상반기에 첫 시험 발사를 진행한 뒤, 2025년 1월경에는 2차 성능시험 사운딩 로켓을 발사할 예정이다. 이 로켓은 제주 해상에서 발사될 예정이며, 약 150 km의 목표 고도에 총 30 kg의 탑재체를 싣고, 준궤도 영역에서 다양한 실험을 수행할 것이다. 특히, 중위도 지역의 전리권에서는 간헐적으로 전자 밀도가 증가하는 스포라딕 E층과 적도 전기제트에 의한 자기장의 미세변화를 관측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관측을 위해 KAIST 인공위성연구소에서 개발 중인 탑재체 IAMMAP(ionospheric anomaly monitoring by magnetometer and plasma-probe)의 사운딩로켓 버전이 발사체에 실릴 예정이다. 본 연구는 중위도 지역의 전리권에 대해서 이해하고, 2차 성능시험에서의 관측 가능한 임무 설계에 중점을 두고자 한다.

      • Graphene–nanowire hybrid structures for high-performance photoconductive devices

        Lee, Hyungwoo,Heo, Kwang,Park, Jaesung,Park, Yongju,Noh, Seunguk,Kim, Kwang S.,Lee, Changhee,Hong, Byung Hee,Jian, Jikang,Hong, Seunghun The Royal Society of Chemistry 2012 Journal of materials chemistry Vol.22 No.17

        <P>Graphene–CdS nanowire (NW) hybrid structures with high-speed photoconductivity were developed. The hybrid structure was comprised of CdS NWs which were selectively grown in specific regions on a single-layer graphene sheet. The photoconductive channels based on graphene–CdS NW hybrid structures exhibited much larger photocurrents than graphene-based channels and much faster recovery speed than CdS NW network-based ones. Our graphene–CdS NW structures can be useful because they were much faster than commercial CdS film-based photodetectors and had photocurrents large enough for practical applications.</P> <P>Graphic Abstract</P><P>We have developed a photoconductive channel based on graphene–CdS nanowire hybrid structures which exhibited large photocurrent and fast recovery speed. <IMG SRC='http://pubs.rsc.org/services/images/RSCpubs.ePlatform.Service.FreeContent.ImageService.svc/ImageService/image/GA?id=c2jm16565a'> </P>

      • SCIESCOPUSKCI등재

        Relationship between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 in the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amma Gene and Fatty Acid Composition in Korean Native Cattle

        Lee, Jea-young,Ha, Jae-jung,Park, Yong-soo,Yi, Jun-koo,Lee, Seunguk,Mun, Seyoung,Han, Kyudong,Kim, J.-J.,Kim, Hyun-Ji,Oh, Dong-yep Asian Australasian Association of Animal Productio 2016 Animal Bioscience Vol.29 No.2

        The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amma ($PPAR{\gamma}$) gene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biosynthesis process controlled by a number of fatty acid transcription factor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s between 130 single-nucleotide polymorphisms (SNPs) in the $PPAR{\gamma}$ gene and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muscle fat in the commercial population of Korean native cattle. We identified 38 SNPs and verified relationships between 3 SNPs (g.1159-71208 A>G, g.42555-29812 G>A, and g.72362 G>T) and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commercial Korean native cattle (n = 513). Cattle with the AA genotype of g.1159-71208 A>G and the GG genotype of g.42555-29812 G>A and g.72362 G>T had higher levels of monounsaturated fatty acids and carcass traits (p<0.05).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3 identified SNPs in the $PPAR{\gamma}$ gene affected fatty acid composition and carcass traits, suggesting that these 3 SNPs may improve the flavor and quality of beef in commercial Korean native cattle.

      • 자연수계에서 남조류 제거를 위한 차세대 조류제거선의 개발 및 적용 - 낙동강 함안보

        이승욱 ( Seunguk Lee ),한무영 ( Mooyoung Han ),김흥순 ( Heungsun Kim ),김충일 ( Tschung-il Kim ) 한국물환경학회 2020 한국물환경학회·대한상하수도학회 공동 춘계학술발표회 Vol.2020 No.-

        본 연구에서는 대규모 자연수계에 적용 가능한 조류제거선을 개발하기 위해 기존의 부상제거 방법의 스컴 수거기법을 평가하고 혁신적인 수거기법을 개발하여 현장에 적용하였다. 현재까지 개발되고 적용된 scraper(chain flight or drum type) 및 suction pump를 통한 스컴 수거방법의 문제점은 스컴 수거에 시간이 오래 걸리고 하천과 같이 유속이 존재하는 곳에서는 효율이 낮고, 수거된 스컴의 함수율이 높아 후처리 비용이 많이 들어간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스컴의 발생 및 수거를 한 개의 프로세스로 운영하다보니 한 장소에 약 30분 정도 정지하고도 배의 표면적과 같은 아주 한정적인 공간만을 처리하기 때문에 대규모 자연수계에 대한 적용성이 매우 낮은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프로세스를 2단계로 나누어 조류를 제거하도록 하였다. 첫 번째 단계에서는 수역 전체에 미세기포를 분사하여 스컴을 형성시키기만 하고 수거하지는 않도록 하였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형성된 스컴을 수거하는 단계로 기포는 분사하지 않고, 형성된 스컴만 수거하여 기존 조류제거선이 한 장소에서 기포 발생-부상-수거하는 방식보다 기포의 부상시간 및 scraper 이동시간 등을 혁신적으로 단축시켜 대규모 자연수계에 적용이 가능하게 하였다. 형성된 대량의 스컴은 3가지 수거방법을 개발하여 낮은 함수율로 신속하게 수거할 수 있도록 고안하였다. ① 펜스를 이용한 스컴수거 부상된 스컴 주위에 펜스를 설치해서 펜스를 당김으로서 수거하는 원형 펜스법과 유속이 존재하는 곳에서 펜스를 설치하여 한쪽으로 스컴이 모일 수 있는 선형펜스법을 고안하였다. 두 방법 모두 낮은 함수율로 스컴의 깨짐 없이 신속하게 스컴을 수거할 수 있었다. ② 선수개폐를 이용한 스컴수거 배의 선수를 열어 부상된 스컴을 선박 안쪽으로 이동시켜 수거하는 방법으로 수역이 넓지 않거나, 장애물이 많아 펜스를 활용하기 어려운 수역에서 효과적이었다. 기포를 분사시킬 때는 선수를 닫아 배의 운항속도를 높여 신속하게 스컴을 형성시킬 수 있었다. ③ 수류유도장치를 이용한 스컴수거 녹조가 가장 많이 형성되지만 접근하기 어려운 하안이나, 수심이 낮은 수역에 발생한 스컴을 선박 앞쪽으로 수류로 이동시켜 스컴을 수거하도록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조류제거선을 낙동강 함안보에 적용한 결과 Chlorophyll-A 및 남조류의 제거효율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었을 뿐만 아니라 신속하게 대량으로 제거가 가능하여 대규모 자연수계에 대한 적용성을 높일 수 있었다.

      • 자연수계에서 남조류 제거를 위한 차세대 조류제거선의 개발 및 적용 - 낙동강 함안보

        이승욱 ( Seunguk Lee ),한무영 ( Mooyoung Han ),김흥순 ( Heungsun Kim ),김충일 ( Tschung-il Kim ) 한국물환경학회 2020 한국물환경학회·대한상하수도학회 공동 춘계학술발표회 Vol.2020 No.-

        본 연구에서는 대규모 자연수계에 적용 가능한 조류제거선을 개발하기 위해 기존의 부상제거 방법의 스컴 수거기법을 평가하고 혁신적인 수거기법을 개발하여 현장에 적용하였다. 현재까지 개발되고 적용된 scraper(chain flight or drum type) 및 suction pump를 통한 스컴 수거방법의 문제점은 스컴 수거에 시간이 오래 걸리고 하천과 같이 유속이 존재하는 곳에서는 효율이 낮고, 수거된 스컴의 함수율이 높아 후처리 비용이 많이 들어간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스컴의 발생 및 수거를 한 개의 프로세스로 운영하다보니 한 장소에 약 30분 정도 정지하고도 배의 표면적과 같은 아주 한정적인 공간만을 처리하기 때문에 대규모 자연수계에 대한 적용성이 매우 낮은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프로세스를 2단계로 나누어 조류를 제거하도록 하였다. 첫 번째 단계에서는 수역 전체에 미세기포를 분사하여 스컴을 형성시키기만 하고 수거하지는 않도록 하였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형성된 스컴을 수거하는 단계로 기포는 분사하지 않고, 형성된 스컴만 수거하여 기존 조류제거선이 한 장소에서 기포 발생-부상-수거하는 방식보다 기포의 부상시간 및 scraper 이동시간 등을 혁신적으로 단축시켜 대규모 자연수계에 적용이 가능하게 하였다. 형성된 대량의 스컴은 3가지 수거방법을 개발하여 낮은 함수율로 신속하게 수거할 수 있도록 고안하였다. ① 펜스를 이용한 스컴수거 부상된 스컴 주위에 펜스를 설치해서 펜스를 당김으로서 수거하는 원형 펜스법과 유속이 존재하는 곳에서 펜스를 설치하여 한쪽으로 스컴이 모일 수 있는 선형펜스법을 고안하였다. 두 방법 모두 낮은 함수율로 스컴의 깨짐 없이 신속하게 스컴을 수거할 수 있었다. ② 선수개폐를 이용한 스컴수거 배의 선수를 열어 부상된 스컴을 선박 안쪽으로 이동시켜 수거하는 방법으로 수역이 넓지 않거나, 장애물이 많아 펜스를 활용하기 어려운 수역에서 효과적이었다. 기포를 분사시킬 때는 선수를 닫아 배의 운항속도를 높여 신속하게 스컴을 형성시킬 수 있었다. ③ 수류유도장치를 이용한 스컴수거 녹조가 가장 많이 형성되지만 접근하기 어려운 하안이나, 수심이 낮은 수역에 발생한 스컴을 선박 앞쪽으로 수류로 이동시켜 스컴을 수거하도록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조류제거선을 낙동강 함안보에 적용한 결과 Chlorophyll-A 및 남조류의 제거효율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었을 뿐만 아니라 신속하게 대량으로 제거가 가능하여 대규모 자연수계에 대한 적용성을 높일 수 있었다.

      • 자연수계에서 남조류 제거를 위한 차세대 조류제거선의 개발 및 적용 - 낙동강 함안보

        이승욱 ( Seunguk Lee ),한무영 ( Mooyoung Han ),김흥순 ( Heungsun Kim ),김충일 ( Tschung-il Kim ) 한국물환경학회 2020 한국물환경학회·대한상하수도학회 공동 춘계학술발표회 Vol.2020 No.-

        본 연구에서는 대규모 자연수계에 적용 가능한 조류제거선을 개발하기 위해 기존의 부상제거 방법의 스컴 수거기법을 평가하고 혁신적인 수거기법을 개발하여 현장에 적용하였다. 현재까지 개발되고 적용된 scraper(chain flight or drum type) 및 suction pump를 통한 스컴 수거방법의 문제점은 스컴 수거에 시간이 오래 걸리고 하천과 같이 유속이 존재하는 곳에서는 효율이 낮고, 수거된 스컴의 함수율이 높아 후처리 비용이 많이 들어간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스컴의 발생 및 수거를 한 개의 프로세스로 운영하다보니 한 장소에 약 30분 정도 정지하고도 배의 표면적과 같은 아주 한정적인 공간만을 처리하기 때문에 대규모 자연수계에 대한 적용성이 매우 낮은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프로세스를 2단계로 나누어 조류를 제거하도록 하였다. 첫 번째 단계에서는 수역 전체에 미세기포를 분사하여 스컴을 형성시키기만 하고 수거하지는 않도록 하였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형성된 스컴을 수거하는 단계로 기포는 분사하지 않고, 형성된 스컴만 수거하여 기존 조류제거선이 한 장소에서 기포 발생-부상-수거하는 방식보다 기포의 부상시간 및 scraper 이동시간 등을 혁신적으로 단축시켜 대규모 자연수계에 적용이 가능하게 하였다. 형성된 대량의 스컴은 3가지 수거방법을 개발하여 낮은 함수율로 신속하게 수거할 수 있도록 고안하였다. ① 펜스를 이용한 스컴수거 부상된 스컴 주위에 펜스를 설치해서 펜스를 당김으로서 수거하는 원형 펜스법과 유속이 존재하는 곳에서 펜스를 설치하여 한쪽으로 스컴이 모일 수 있는 선형펜스법을 고안하였다. 두 방법 모두 낮은 함수율로 스컴의 깨짐 없이 신속하게 스컴을 수거할 수 있었다. ② 선수개폐를 이용한 스컴수거 배의 선수를 열어 부상된 스컴을 선박 안쪽으로 이동시켜 수거하는 방법으로 수역이 넓지 않거나, 장애물이 많아 펜스를 활용하기 어려운 수역에서 효과적이었다. 기포를 분사시킬 때는 선수를 닫아 배의 운항속도를 높여 신속하게 스컴을 형성시킬 수 있었다. ③ 수류유도장치를 이용한 스컴수거 녹조가 가장 많이 형성되지만 접근하기 어려운 하안이나, 수심이 낮은 수역에 발생한 스컴을 선박 앞쪽으로 수류로 이동시켜 스컴을 수거하도록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조류제거선을 낙동강 함안보에 적용한 결과 Chlorophyll-A 및 남조류의 제거효율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었을 뿐만 아니라 신속하게 대량으로 제거가 가능하여 대규모 자연수계에 대한 적용성을 높일 수 있었다.

      • KCI등재
      • 디젤기관 연료필터용 여지 수분리 시험에 관한 연구

        박승욱(SeungUk Park),나병철(ByungChul Na),김진용(JinYong Kim),서준호(JoonHo Seo),이영민(YoungMin Lee),김현철(HyunChul Kim),이봉현(BongHyun Lee) 한국자동차공학회 2006 한국자동차공학회 춘 추계 학술대회 논문집 Vol.- No.-

        Water separating performance of fuel filter for common rail(CR) diesel engine is very important. Water in fuel bring problem to precision fuel supply components of engine. At the point of view of domestic vehicle market, CR diesel engine is spreaded so widely but almost of fuel filter paper for CR diesel engine is imported because water separation ability is very important characteristic and it is difficult to satisfy required performance. Method for water separation ability of fuel filter was performed using filter finished product. This method was difficult to understand paper own water separating characteristic and required assembled filter. An aim of this research is creating new water separation test method for paper itself and evaluating validity of developed test meth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