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궁외 임신의 MTX 복강경하 국소보존치료 및 전신적인 보존치료의 임상비교

        허창규,이헌수,최기숙,심재화,류상철 대한산부인과학회 1995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8 No.5

        1993년 6월부터 1994년 6월까지 대구 가톨릭대학병원 산부인과에서 진단된 자궁외임신 82명 의 환자중 비파열형 난관임신으로 확인된 3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복강경을 통한 MTX 국소 주사 및 전신주사에 의한 보존요법실시 결과 각각의 성공률은 100%, 95.5%였으며 B-HCG 정상화기간은 국소요법에서 23일, 전신요법에서 26.2일로 비슷하였다. 국소요법군의 평균입 원 기간은 3일이었으며 두 그룹 모두에서 특별한 부작용은 없었다. Thirty-one cases of unruptured tubal pregnancies from June 1993 to June 1994 were treated with systemic and local laparoscopic MTX injection. Initial serum B-human chorionic gonadotropic level before treatment were 130-29800 mIU/ml (mean 3669.6+-6628.1) in systemic injection group and 769-12,700 mIU/ml(mean 4064.2+-4935.3) in local MTX injection group. No side effects were observed in both group. In one patients a laparotomy was performed because persisting abdominal pain and vaginal spotting.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resolution time between local and systemic MTX treatment group (p$gt;0.1). The median resolution time were 12 to 45 days (mean 26.2+-8.89) and 15 to 31 days (mean 23+-5.78) in systemic and local MTX treatment, respectively. The successful rate were 100% in local MTX treatment and 95.5% in systemic MTX treatment .

      • KCI등재

        자궁경부상피내 종양처치에 있어서 질확대경 조준하 원추형생검의 효용성

        유희석(HS Ryu),박찬규(CK Park) 대한산부인과학회 1986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29 No.3

        1977년 1월 1일부터 1985년 6월 30일까지 9년 6개월간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부속 세브란스병원 산부인과에서 자궁경부 상피내 종양으로 진단되어 치료를 받은 165예의 임상기록부를 대상으로 진단 및 치료에 관여하는 여러인자를 임상 통계학적으로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조절편 생검을 시행한 102예중 원추형 생겸과 조직학적 차이를 보인 경우는 11예(10.8%)이었고, 이중 질확대경조준하 원추형 생검을 시행한 28예에서는 1예(3.5%), 그리고 육안에 의한 원추형 생검을 시행한 74예에서는 10예(13.5%)가 조직학적 진단의 차이를 보였고, 2. 치료방법은 146예에서 전자궁 적출술 이상의 수술을 하였는데 이중 원추형 생검으로 수술전 자궁경부상피내 종양으로 진단되어 치료목적으로 시행한 경우가 135예이었다. 3. 원추형 생검후 전자궁 적출술을 시행한 135예중 열이환율을 보인 경우는 29예(21%)이었으며, 시간간격과의 관계를 보면 48시간이내와 42일 이후에서 이환율의 빈도가 낮았다. 4. 원추형 생검을 시행한 109예의 상피내 암중 병소가 잔류한 경우는 30예(27.6%)이었으며 이중 질확대경 조준하 원추형 생검을 시행하였던 30예중에서는 5예(16.7%), 육안적 원추형 생검을 하였던 79예중에서는 25예(31.6%)에서 상피내암이 잔류하였다. 5. 치료후 추후관찰이 가능했던 경우는 72예(53.3%)이었으며 이중 원추형 생검 2년후에 질세포진 검사상 재발을 보인 경우가 1예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서 자궁경부 상피내 종양의 정확한 진단을 위하여 원추형 생검을 실시할 때 질확대경 조준하에 가능한 전병소를 제거하면 병소의 잔류빈도를 낮출 수 있있으며, 이때 추후관찰이 가능하면 질확대경 조준하 원추형 생검만으로 처치를 할 수도 있다고 사료된다. 한편 추가치료로서 전자궁 적출술을 시행한 경우엔 48시간이내거나 42일이후에 실시하면 수술합병증을 낮출 수 있다고 생각되며, 치료후 추후관찰이 가장 중요하다고 사료된다. Upon reviewing the medical records of 165 patients with cervical intraepithelial neoplasia, a number of factors that might have had contributed in establishing their diagnosis and treatment plans were analyzed statistically and the followint observations were made. Conization, performed under the guidance of either colposcopy-directed-conization or direct visualization(naked-eye-conization) in 135 patients, who had their punch biopsies taken previously, revealed histopathological discrepancies in 11 patients. These 11 patients were constituted by 1 patient(3.5%) from the colposcopy-directed-conization group(28 patients), and 10 patients(13.5%) from the naked-eye-conization group(74 patients). As for their therapeutic measures, 146 patients received operation more extensive than total abdominal hysterectomy. 29(21.5%) of 135 patients who underwent total abdominal hysterectomy after conization showed febrile morbidity and the incidence of overall morbidity after conization was lower within 48 hours, or after 42 days. Among 109 patients with cervical intraepithelial neoplasia, in which their colposcopy-directed-conization or naked-eye-conization was performed, 30 patients(27.6%) were found to have residual lesions. These patients were distributed in such a way that the colposcopy-directed-conization performed on 30 patients resulted in 5 cases(16.7%) of residual lesions, whereas the naked-eye-conization performed on 79 patients resulted in 25 cases(31.6%) of residual lesions. Postconization cytological recurrence was seen after 2 years, 1 of 72 patients in whom the follow-up was possible.

      • KCI등재

        만삭임산부에서 TLU (Translabial Utrasonogram) 를 이용한 자궁경부 길이 측정

        한치동,허창규,황순구,류상철 대한산부인과학회 1995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8 No.12

        대구 가톨릭대학병원 산부인과에서는 만삭 산모 117명을 대상으로 TLU를 이용한 자궁경부 관찰이 분만에 어떤 의미가 있는지를 관찰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만삭 자궁경부의 길이는 초산모군 81예에서 2.2+or-0.5cm, 경산모 36예에서 2.6+or-0.7cm으로 두 집단간에는 의미있는 차이를 나타내었다(p$lt;0.05). 2. 만삭 자궁경부 길이와 임신주수와는 상관관계가 없었다(p$lt;0.05). 3. 자궁경부의 길이는 분만개시일과 분만까지 소요시간과 별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관찰되었다(p$gt;0.1). In a prospecive study of 117 pregnancies, at 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Taegu Catholic University Hospital, cervical lengths were documented by TLU (translabial ultrasonography) during antenatal period after 36 completed weeks of gestation, except PROM, spontaneous labor and cesarean sec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Mean cervical length of promigravidsa were 2.2 +or- 0.5 cm, and those of multigravidas were 2.6 +or- 0.7 cm,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p$lt;0.05). 2. A relationship was not found between cervical length and different gestational age in fullterm gravidas(p$gt;0.1). 3.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cervical length and labor onset and cervical length and duration of labor(p$gt;0.1).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