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Child Care Directors‘ Perspectives on Accreditation in South Korea: Challenged Professionalism

        Jin Hee Lee,Robert E Stake 한국유아교육학회 2014 INTERNATIONAL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Vol.20 No.2

        This study aimed at illuminating 6 Directors‘ perceptions of and experiences with child care center accreditation in South Korea, through in-depth interviews. Weighing costs and benefits of accreditation, we paid particular attention to the morale and professionalism of child care practitioners. Three issues emerged: a) is child care accreditation for compliance monitoring or quality understanding/ improvement?, b) are accreditation criteria standard-setting for the field or suppressing good practices?, and c) is the disclosure of accreditation results functioning for public right or disconcerting and demoralizing practitioners? The findings indicated that high-stakes accreditation, just as high-stakes testing, could homogenize practice and constrain practitioners, although sometimes needed. We warn that as reviews amplify and accreditation standards move higher, administrators and practitioners could become too stressed out and distracted from what they do best.

      • KCI등재

        반응적 평가(Responsive Evaluation)란 무엇인가?

        이원석(Wonsuk Lee),Robert E. Stake 한국교육평가학회 2010 교육평가연구 Vol.23 No.3

        본 논문은 평가에 대한 새로운 시각과 이론을 제시하고자 반응적 평가(responsive evaluation)의 개념과 핵심적 관점을 소개하고 현장 적용 방식 등을 논의한다. 반응적 평가는 표준화된 준거와 기준 위주의 이른바 기준-기반 평가(standards-based evaluation)와는 달리, 이해관계인들(stakeholders)의 경험과 활동에 대한 인식, 이해관계인들이 가지고 있는 이슈(issues), 세밀한 묘사를 통한 간접적 경험(vicarious experience), 맥락(context), 자료의 주관성, 다원성 등을 중시한다. 이를 통해 반응적 평가는 평가 대상(evaluand)인 프로그램에 대한 경험적 이해(experiential understanding)를 추구하며 프로그램의 질(quality)을 판단하고 프로그램의 개선을 목적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에서는 반응적 평가에 대한 현장 적용의 이해를 높이기 위해 입학사정관제에 대한 반응적 평가 계획을 제시한다. This article introduces the concept and the core perspectives of responsive evaluation and discusses how to apply it in practice. Contrary to standards-based evaluation, responsive evaluation values stakeholders' perceptions of experiences and activities, issues, vicarious experience by portrayals of evaluand, contexts, subjectivity, and pluralism. Responsive evaluation pursues experiential understanding of a program as evaluand, judgments of program quality, and the improvement of the program. Finally, a plan for a responsive evaluation on the Korean college admissions officer program is presented for better understanding of the application of responsive evaluation in practi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