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동아시아학 속의 한국학-미국 UC 버클리의 사례를 중심으로-

        장재용,Rachel Min Park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22 한국학연구 Vol.- No.67

        While the discipline of Korean Studies has grown increasingly popular and widespread in recent years, there is often an assumed homogeneity between the “Korean Studies” practiced across different countries, eliding the specific sociohistorical contexts that led to its various disciplinary formations. In particular, there is a need to distinguish between the Korean Studies as practiced in South Korea proper and the United States. This article examines how the development of Korean Studies in the United States was inextricably linked to the broader context of East Asian Studies, using the specific case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to consider how early research institutions (such as the Institute of Pacific Relations), global events such as World War II and the Vietnam War, and federal-level education policies influenced the direction and tenor of research on Korea within the United States. By reassessing the genealogy of Korean Studies in the United States and demonstrating its sociohistorical differences with its development in South Korea, this article ultimately aims to provide a productive framework in reconsidering research methodologies, promoting cross-country exchange in terms of scholarship, and future promising directions for the framing of Korean 최근 몇 년 동안 세계 각국에서 한국학의 성장세는 뚜렷하지만, 한국 안에서의 한국학과한국 밖, 특히 미국의 한국학은 구분할 필요가 있다. 이 논문은 미국에서 한국학의 발전이동아시아 연구라는 좀 더 넓은 맥락과 어떤 불가분의 관계가 있었는지를 미국 UC 버클리대학교의 사례를 통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UC 버클리대학교 한국학의 성장은 미국이 참가하였던두 차례의 국제전, 태평양 전쟁과 베트남 전쟁 수행과정에서 연방정부의 지역 전문가의 육성차원애서 이루어졌다. 또한 이 글은 궁극적으로는 한국학의 연구 방법론을 재고하고 학문적 차원에서 국가 간 교류를 촉진하여 한국학 연구의 생산적인 틀을 새롭게 제시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