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륙문학’의 기획과 이기영의 『대지의 아들』

        QIAN CHUNHUA 만주학회 2017 만주연구 Vol.- No.23

        This paper studies the relationship between Lee Gi-young’s The Son of the Earth and ‘continent exploitation literature’, focusing on the fact that the novel was a ‘continent literature’ designed by Chosun Ilbo. Chosun Ilbo proceeded with this plan, which originated from internal and external circumstances of the literary world at a time when total mobilization systems of writers started with the ‘corps of the pen’. It was also labelled ‘continent literature’, despite clear awareness that it represented ‘continent exploitation literature’ that eclipsed the typical continental literature of that time. Therefore, Lee Gi-young’s The Son of the Earth was product sandwiched between external pressure as a ‘planned novel’ and the inner desires of the writer. In turn, such internal-external antipodal relationship presented several gaps in the novel’s composition, presenting several limitations on the novel as a whole. 본고는 <조선일보>에서 ‘대륙문학’으로 기획한 이기영의 <대지의 아들>이 사실은 식민지말기 집중적으로 생성된 ‘대륙개척문학’의 한 양상이었음을 살펴보았다. 비록 ‘대륙문학’이라는 이름으로 기획되었지만 그것은 ‘대륙개척문학’을 지칭하는 또 다른 별칭일 뿐이었다. ‘대륙개척문학’은 ‘생산문학’과 마찬가지로 식민지말기 국책문학의 하위 장르의 하나였고 주로 1938~1942년 ‘농민문학간화회’와 ‘대륙개척문예간화회’의 회원들에 의해 집중적으로 창작되었다. 조선일보가 이와 같은 기획을 진행하였던 것은 당시 ‘펜 부대’를 시작으로 하는 문인총동원체제와 일본에 의해 주도되었던 새로운 만주이민정책의 시행이 시기적으로 조응하면서 새롭게 부각되기 시작했던 ‘만주 개척’에 대한 관심과 불가분의 관계를 가진다. <대지의 아들>은 소재나 구성, 인물형상의 부각 등 몇몇 면에서는 ‘대륙개척문학’의 형식과 요소들을 갖추고 있지만 ‘개척문학’의 중요한 이념이었던 ‘개척정신’과 ‘만주 명랑’을 서사화하는 데에는 실패하고 있다. 이는 작가 이기영이 ‘대륙문학’의 이념을 적극적으로 수용하거나 내면화하는 데에는 협조적이지 않았음을 말해준다. 이렇듯 『대지의 아들』은 ‘기획소설’이라는 외적인 압력과 그 문학적 이념을 적극적으로 수용할 수 없었던 작가의 내적인 갈등 사이에서 길항하면서 생성된 텍스트였다. 동시에 이 작품은 식민지말기 ‘만주 개척’의 의미를 다시 천착해 볼 필요가 있음을, 특히 1940년대 초반에 집중적으로 생성되었던 만주 재현 문학을 ‘개척’이라는 키워드를 중심으로 다시 읽을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후보

        이해조의 『소학령(巢鶴嶺)』에 나타난 연해주(沿海州)의 심상지리

        QIAN CHUNHUA 숭실대학교 한국기독교문화연구원 2022 한국기독교문화연구 Vol.18 No.-

        이 글은 『소학령』에 나타난 연해주의 심상지리를 고찰한 글이다. 『소학령』에서 연해주는 ‘신개척지’, ‘소학령’, ‘추풍’이라는 세 공간을 통해 재현되었고 이 세공간의 재현에 있어서 『소학령』은 실제 이미지를 최대한 반영하고자 노력하는 서사전략을 구사하였다. 다만 이 ‘실제 이미지’라는 것은 정치성이 소거된 일상 공간으로서의 연해주였다는 조건부적인 것이었고 그 소거된 정치성을 대체하고 나선 것은 일본의 세력이었다. 따라서 『소학령』에서 연해주는 여전히 식민의 논리가 반복되는 공간이었고 이는 작가 이해조가 연해주라는 공간의 고유한 특징을 무시한 채 자신이 익숙한 식민의 논리 속에서 연해주를 재단하고 상상하고 있음을 말해준다.

      • KCI등재

        ‘용정(龍井) 로컬리티’의 형성과정-용정 공간의 형성과정과 사상․종교의 유입을 중심으로-

        QIAN CHUNHUA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22 한국학연구 Vol.- No.64

        The center of Joseon People’s society in Manchuria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ule period was Gando, and the capital of Gando was Longjing (Yongjung). However the stature of Longjing (Yongjung) hardly gained attention, and it was recognized very limitedly, as study on the end of the Japanese colonial rule period became invigorated in the 2000s. This paper aimed to examine the local characteristics of Longjing (Yongjung) from the aspect of Longjing (Yongjung) locality. In terms of space, Longjing (Yongjung) started to be gradually formed, centered on Longjing (Yongjung) Village and Myongdong Village during the end of the 19C and early 20C. The school construction movement that began in the 1900s reinvigorated Longjing (Yongjung) as the national education hub of Manchuria. Schools not only became the center of nationalism education, but worked as a major channel for acceptance of Christianity. Myongdong School was an important source of acceptance and spread of Christianity in North Gando. Longjing (Yongjung), where national consciousness and Christian thought almost simultaneously flew into by the 1910s, was a space of educational struggle that inspired national independence and a place of national identity. 식민지시기 만주(滿洲) 조선인사회의 중심은 간도(間島)였고, 간도의 서울은 용정(龍井)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용정의 위상은 거의 주목을 받지 못했고 2000년대 들어 식민지말기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지면서야 비로소 극히 제한적으로 인식되었을 뿐이다. 본고는 이러한 용정의 지역적 특성을 ‘용정 로컬리티’의 형성과정이라는 측면에서 고찰하고자 하였다. 공간적으로 용정은 19세기 말~20세기 초 ‘용정촌(龍井村)’과 ‘명동촌(明東村)’을 중심으로 점차 확장되면서 형성되기 시작하였고, 1900년대부터 시작된 학교건설운동은 용정을 만주 민족교육의 중심지로 거듭나게 하였다. 학교는 민족주의 교육의 중심지가 되었을 뿐만 아니라 기독교 수용의 주요 통로로도 작용하였다. 특히 명동학교(明東學校)는 북간도 기독교 수용과 전파의 중요한 근거지이기도 했다. 3.1운동 전까지의 용정은 민족의식과 기독교사상이 거의 동시적으로 유입되었던, 민족의 자주독립을 고취했던 교육․투쟁의 공간이자 민족 정체성의 장소였다.

      • KCI등재

        ‘붉은 용정(龍井)’:1920년대 용정 사회주의 사상의 지리

        QIAN CHUNHUA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23 한국학연구 Vol.- No.68

        Socialist thought started to rapidly spread in Gando region, since Longjing (Yongjung) March 13 Anti-Japanese Demonstration and Kyungsin Catastrophe. The Gando Communist Party Incident in Longjing(Yongjung) in 1927 was recorded as a massive incident heralding the frustration of socialist movement. This study examined the acceptance and diffusion path of socialist thought in Longjing(Yongjung) region by paying attention to Religious Rejection Movement, Dongyang Hakwon Incident, and May 30 Riot not known well until now. The Religious Rejection Movement that started, centered on schools in Longjing(Yongjung) in the mid-1920s, was a movement opposing religion by the students affected by socialist thought. Their socialist thought acceptance path was confirmed to be the Korean Communist Party’s affiliation based on Maritime Province of Siberia. The Dongyang Hakwon Incident in 1923 was propelled by the Communist Party based in Seoul, which can be positively evaluated in that propaganda and diffusion of socialist thought was promoted through school education unlike in the past. Longjing(Yongjung) May 30 Riot was an incident gaining attention that it was cooperation activity between the Chinese Communist Party and the Chosun Communist Party. As seen in above, Longjing(Yongjung) in the 1920s was a region where various socialist organizations came into. Above all, Longjing(Yongjung) in the 1920s was a region with a potential that could successfully lead cooperation activities with the Chinese Community Party. In the 1920s, it is said that Longjing(Yongjung) was “Red Longjing(Yongjung)” and that it was an era of socialist ideology. 용정 3.13반일시위와 경신참변 이후 간도지역에서는 사회주의 사상이 급속하게 전파되기시작하였고, 1927년 용정에서 발생한 간도공산당사건은 사회주의 운동의 좌절을 알리는 사건으로 기록되었다. 본고는 지금까지 잘 알려지지 않은 ‘종교배척운동’과 ‘동양학원사건’, 그리고 1930년의 ‘5.30 폭동’에 주목하여 용정 지역 사회주의 사상의 수용과 전파 경로를 고찰하였다. 1920년대 중반 용정의 중학교들을 중심으로 전개되기 시작한 ‘종교배척운동’은사회주의 사상의 영향을 받은 학생들이 종교를 반대하고 나선 운동이었고, 이들의 사회주의사상의 수용 경로는 주로 연해주에 근거지를 두고 있는 고려공산당 계열이었음을 확인하였다. 1923년 발생한 ‘동양학원사건’은 서울파 공산당에 의해 추진된 사업이었고, 이 사건은기존과는 다르게 학교 교육을 통한 사회주의 사상의 선전과 전파를 도모하였다는 점에서 긍정적으로 평가될 의미가 있다. 마지막으로 용정 ‘5.30 폭동’은 중국공산당과 조선공산당의성공적인 협력 활동이었다는 점이 무엇보다도 주목되는 사건이었다. 이에서 알 수 있듯이1920년대 용정은 다양한 계열의 사회주의 단체들이 유입되었던 지역이었고 무엇보다도 중국공산당과의 협력 활동까지도 성공적으로 이끌 수 있었던 잠재력을 가진 공간이었다. 용정의 1920년대는 말 그대로 사회주의 이념의 시대였고, 그 시기 용정은 ‘붉은 도시’였다.

      • KCI등재

        신경(新京)의 도시 건설과 ‘대동아(大東亞)’의 이념 —이효석과 유진오의 ‘신경’ 기록

        QIAN CHUNHUA 한국현대문학회 2024 한국현대문학연구 Vol.- No.73

        이 글은 식민지말기 이효석과 유진오의 신경(新京) 기록을 비교 고찰한 것이다. 주지하는바 이효석은 1939년과 40년에 연이어 만주 하얼빈을 방문했고, 그 체험을 바탕으로 장편 『벽공무한』과 단편 「하르빈」, 그리고 여러 편의 수필을 함께 남겼다. 지금까지 이효석의 만주 체험은 ‘하얼빈 체험’으로 특화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대부분의 만주 관련 연구가 하얼빈에 집중되어있다. 그러나 이효석은 하얼빈만이 아닌 신경에 대해서도 소중한 기록을 남기고 있다. 수필 「새로운 것과 낡은 것」은 만주국 수도 신경에 대한 많지 않은 기록 중의 한 편이다. 식민지 도시 신경은 제국의 수도(首都)라는 위상을 높이기 위해 처음부터 계획적으로 건설되었던 계획도시였고, 그 중요한 표징이 바로 흥아식(興亞式) 건축물로 대변된 ‘대동아’의 이념이었다. ‘대동아’의 위상은 건축물을 통해 대변되었을 뿐만 아니라 국도(國都) 신경의 부상을 통해서도 부각되었다. 만주국의 수도로 건설되면서 신경은 모든 정치, 경제, 문화의 중심지로 거듭났고, 만주국의 명실상부한 중심으로 새롭게 부상했다. 이효석과 유진오는 비슷한 시기에 이와 같은 제국의 수도를 경험했으며, 그들은 각각 다르게 ‘대동아’로 대변되는 제국의 이념을 비판하거나 전유했다. 유진오의 신경 기록은 단편 「신경」과 수필 「신경을 여행하고(新京に旅して)」를 통해 문학적인 글쓰기와 정치적인 글쓰기로 대별되었으며, 이효석의 신경은 새로울 것 하나 없는 모방의 공간으로 재현되었다. 유진오에게 있어서 신경 표상이 식민지말기 지식인의 내적 모순의 체현이었다면 이효석에게 있어서 신경은 전통과 문화를 빙자한 이데올로기 비판으로 이어지는 지점이었다. This article compares and examines the records of Shinkyoung by Lee Hyo-seok and Yu Jin-o during the late colonial period. As is well known, Lee Hyo-seok visited Harbin, Manchuria in 1939 and 1940, and based on his experiences, he wrote the novel Endless Blue Sky, the short story Harbin, and several essays. It would not be an exaggeration to say that Lee Hyo-seok's Manchurian experience has been specialized in the Harbin experience, as most research on Manchuria has focused on Harbin. However, Lee Hyo-seok has also left valuable records on not only Harbin but also Shinkyoung. The essay The New and the Old is one of the few records of the Manchukuo capital, Shinkyoung. The colonial city of Shinkyoung that they recorded was a planned city built from the beginning to elevate its status as the capital of the Manchurian Empire, and its important symbol was the ideology of ‘Greater East Asia’ represented by the architecture of Imperial Crown Style(興亞式). The status of ‘Greater East Asia’ was not only represented by the architecture, but also highlighted through the rise of the national capital Shinkyung. With its construction as the capital of Manchukuo, Shinyo was reborn as the center of all politics, economy, and culture, and emerged as the de facto center of Manchukuo. Lee Hyo-seok and Yu Jin-oh experienced the imperial capital at a similar time, and they each criticized or interpreted the imperial ideology represented by ‘Greater East Asia’ in different ways.Eugene Oh's Shinkyoung records are divided into literary writing and political writing through the short story Shinkyoung and the essay Traveling to Shinkyoung(新京に旅して). Lee Hyo-seok's Shinkyoung were reproduced as a space of imitation where there is nothing new. If for Yoo Jin-oh, the representation of Shinkyoung was the embodiment of the internal contradictions of intellectuals in the late colonial period, for Lee Hyo-seok, Shinkyoung was the point where ideological criticism based on tradition and culture began.

      • KCI등재

        만주국 국경 도시 도문(圖們)과 현경준의 ‘유맹(流氓)’의 서사

        QIAN CHUNHUA 구보학회 2017 구보학보 Vol.0 No.17

        This paper studies the relationship between Hyun Kyung-jun's works during his years in Manchuria, and the representations of Tumen(圖們), which had been neglected from previous researches on Hyun Kyung-jun. Tumen in Manchuria was originally an unnamed deserted village(寒村), until it surged as a center of trade in Manchuria surpassing Longjing(龍井) in 1933, when the Tumen railroad bridge(圖們鐵橋) was constructed and the longitude line(京圖線) together with the Tumen line(圖們線) were connected. Such upsurge of Tumen naturally became a national sensation of the times, which was recorded by many figures who visited Manchuria. Meanwhile, in 1937, writer Hyun Kyung-jun moved to Tumen in Manchuria and stayed until liberation, where he created works using Tumen directly as the background or taking anecdotes of Tumen as writing materials. Such representations of Tumen provide a good reference to look deeply into his sense of place towards Tumen (Manchuria). For this purpose, analysis of this paper is attempted based on three levels, of which are travelogue, novel, and essay. In travelogues that represents the traveler’s viewpoint, Tumen is recognized as Joseon instead of as a foreign country, also as a place with a reputation of a smuggling city. However, in novels of Hyun Kyung-jun, who was a resident of Tumen, Tumen is the subject of topophobia that constantly makes attempts for escapes, or is the representation of the space of Yumaeng, where he cannot obtain an ‘authentic sense of place’. On the other hand, his essays representing the 'conscious authentic sense of place' reveal his ardent Topophilia about Manchuria. 본 논문은 그동안 현경준 연구에서 간과되어 왔던 도문(圖們) 체험과 그의 창작의 관계를 장소 경험과 관련하여 고찰한 글이다. 만주의 도문은 원래 이름 없는 寒村에 불과했는데 1933년 圖們鐵橋가 건설되고 京圖線, 圖們線이 연결되면서 龍井을 제치고 일약 만주의 무역중심지로 부상하였다. 이와 같은 도문의 궐기는 자연스럽게 당시의 화제가 되었고 이는 만주를 방문했던 많은 인사들에 의해 기록되었다. 한편 작가 현경준은 1937년 만주 도문으로 이주하여 해방이 될 때까지 줄곧 도문에 거주하면서 본격적인 창작활동을 벌였던 작가로 그의 대부분의 작품들은 도문을 재현하는 데에 심혈을 기울여 왔다. 하지만 그의 도문 표상은 일반 여행기와는 변별점을 보였다. 여행자의 시선에서 도문은 외국이 아닌 조선으로 인식되었지만 도문의 거주자였던 현경준의 소설에서 도문은 ‘진정한 장소감’을 획득할 수 없는 ‘유맹’의 공간으로 표상된다. 대부분의 조선인들에게 있어서 도문은 그들의 방랑의 기착지의 하나일 뿐이었다. 이에 반해 만주를 희망과 가능성의 공간으로 인식했던 주의자들에게 있어서 만주는 그들을 ‘유맹’으로 전락시키는 토포포비아의 대상이었다. 따라서 현경준에게 있어서 ‘유맹’은 만주 이주 조선인 군상에 대한 전반적인 표상인 셈이다. 거기에는 생계를 위해 방랑하는 조선인들이 있는가하면 이념의 실현 불가능성에서 스스로를 ‘유맹화’하는 주의자들도 있다. 이와 같은 결과는 만주(도문, 간도)에 대한 ‘진정한 장소감’을 형성하지 못하는 데에서 기인하는 것이며 이는 자연스럽게 방랑으로 이어지는 것이다. 이처럼 현경준의 ‘유맹’의 서사는 만주에 대한 ‘진정한 장소감’을 형성할 수 없었던 데에서 기인하는 결과임과 동시에 역으로 그것은 ‘의식적인 장소감’ 형성을 통해 드러나는 ‘뿌리 내리기’에의 또 다른 욕망의 표현이었던 것이다.

      • KCI등재

        만주국의 기원 만들기와 ‘건국신화’의 창출 원리-최남선의 『만몽문화』를 중심으로

        천춘화(Qian Chunhua) 한국현대소설학회 2020 현대소설연구 Vol.- No.79

        Contemporary context takes an very important role in studying the texts of late colonial period, especially the works with the background of Manchukuo. In this thesis, Man-Mongol Culture can be seen as another text that confirms the importance of context. On Apr. 30, 1938, Choi Nam-sun was appointed as the only Korean professor of the Kenkoku university in Manchuria. He worked in the History Study Group and Cultural Study Group of the Institute of Education and Culture and taught Man-Mongol Culture course. Man-Mongol Culture was the lecture notes during that time. The Manchurian Kenkoku university was the best school to nurture the talents who advocated the founding spirit of Manchukuo and served the ideology of it. The research institutes of the university are trying to provide a rational and academic basis for such ideology, system and policy. Taking Pu Yis visit to Japan as an opportunity, Manchukuo which was established on the concept of “Five-Race Harmony” and “Kingly Way” advocated the Emperor Politics and then emphasized Shinto and regarded Amaterasu-ōmikami as the founding god in late colonial period. Therefore, the Manchuria needed a new origin and it had to be done through cultural studies. Choi Nam-suns Man-Mongol Culture was born in the context like this. In Man-Mongol Culture, Choi Nam-sun focused on culture and considered the myth as the cultural origin. According to him, the origin myth of Northeast China was the founding myth of Buyeo. Such argument actually considered the Manchurian region as the origin of Northeast Asia including China, Korea and Japan. However, the emphasis on the myth of Buyeo which was considered as the cultural origin seemed to emphasize that Korea was the origin of Japan. It successfully reproduced the origin of Manchukuo, and at the same time, highlighted the presence of the Koreans people. Like this, it was a coexistence of cooperation and resistance.

      • KCI등재

        ‘국민문학’의 기획과 ‘신지방주의’론 - 김종한, 최재서를 중심으로

        천춘화(Qian Chunhua) 한국현대소설학회 2020 현대소설연구 Vol.- No.78

        This study aims at examining the new localism theory of Kukmin-Munhak (natinal literature). New localism was raised by Kim Jong-han for the first time, and a person who actively accepted it was Choi Jae-seo. New localism theory has been called Kim Jong-han’s new localism or the new localism theory of Kukmin-Munhak thus far, and both has not been classified. However, this study tried to identify that a new concept of “local” was raised by Kim Jong-han in terms of the new localism of Kukmin-Munhak, and that the concept of “local” was substituted to Joseon literature by Choi Jae-seo and was developed into new localism literature theory; namely it was formed step-by-step. Although debate on Kim Jong-han’s new localism was conducted, centered on Ethics of One Branch (Kukmin-Munhak, Mar. 1042), the writing that completed the debate of his new localism was “Discussion on Proper Attitude (1~4): Design of New Localism Culture (1~40). The theoretic foundation, based on which such a debate could be developed, was the geopolitical recognition on the Greater East Asia Co-Prosperity Sphere. Choi Jae-seo’s Kukmin-Munhak theory that built up some achievements was new localism literature theory in reality, and the core of it was Joseon style originality. This was the essence of Joseon literature that intellectuals of Joseon insisted at the end of the Japanese colonial rule period, but the assertion could not be connected to a unified view, while repetitive battle was waged with Japanese intellectuals. The development of the new localism theory of Kukmin-Munhak at the end of the colonial rule period was a crisis that Kukmin-Munhak faced, and it was also the aporia of Kukmin-Munhak.

      • KCI등재

        이민(移民)에서 이산(離散)으로의 여정-김창걸의 해방 후 작품을 중심으로-

        천춘화 ( Qian Chunhua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9 한국학연구 Vol.0 No.54

        본고는 김창걸의 해방 후 작품을 대상으로 국공내전과 중화인민공화국의 건국, 한국전쟁을 거치면서 중국의 동북지역에 남아 있던 만주의 조선인들이 어떻게 新중국 조선족으로서의 정체성을 획득하여 가는지를 고찰하였다. 김창걸은 중국 조선족문학의 개척자이자 선구자로 평가받는 작가이다. 재만조선인문학과 중국 조선족문학 양쪽 모두에 걸쳐있으면서 중국조선족문학의 연속성을 가능하게 하는 중요한 존재이기 때문이다. 그는 해방 전에 『만선일보』를 통해 등단하였고, 한동안 『만선일보』 지면을 통해 창작활동을 진행하지만 1943년 절필을 선언한다. 김창걸이 다시 창작을 재개한 것은 중화인민공화국이 건국되고 나서인 1950년 1월이다. 『동북조선인민보』의 1950년 신춘문예 당선작인 「새로운 마을」은 새 나라 새정부의 지도 밑에 互助合作 사업을 성공적으로 전개시켜 나가는 모범 농촌의 전형을 보여주었다. 이어 내놓은 「마을의 사람들」(1951), 「마을의 승리」(1951) 두 작품은 외적으로는 반혁명분자 색출이라는 당시 범국가적으로 전개되었던 활동을 소설화한 것으로 보이지만 실질적으로는 한국전쟁 발발 당시 동북지역 조선족사회의 반향과 그들의 한국전쟁에 대한 인식을 엿볼 수 있는 중요한 작품이다. 당시 중국 조선족에게 있어서 한국전쟁은 미국과 이승만의 북한 침략을 막기 위한 전쟁이었고 그것은 곧 북한의 사회주의 혁명의 승리를 위한 길이었다. 중국의 조선족들에게 있어서 이 시기는 민족적인 정체성보다는 중국 국민이라는 자각과 함께 이념적인 측면이 훨씬 강하게 작용하고 있었던 시기였다. 이에 반해 「행복을 아는 사람들」은 개인의 욕망이 국가 건설이라는 대의 앞에서 소거되는 모습을 보여준다. 신중국 건설시기 조선족 젊은이들은 중국조선족이라는 민족적 정체성을 형성하기에 앞서 중국 국민으로서의 정체성을 요구 받았고 그것은 모택동이라는 우상과의 조우를 통해 달성되는 모습이다. 이처럼 김창걸의 광복 후 작품은 역동적인 시기를 거치면서 변화해가는 중국 조선족의 운명과 그에 상응하게 변화 발전하는 그들의 정체성, 그리고 소수민족이면서 중국 국민으로 살아가야 하는 한민족의 이산의 삶을 그대로 보여준다. This thesis tried to find how the Manchurian Koreans who had experienced Chinese civil war, the establishment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the Korean War and remained in the Northeast China got their identity as a Korean Chinese. Kim Chang-keol is an important writer who is regarded as a founder and pioneer of Korean Chinese literature. This is because he joined in both Korean literature of Manchuria and Korean Chinese literature in China and enabled the continuity of Korean-Chinese literature. He started from Man-sun Daily before liberation, then did literary creation in Man-sun Daily. However, in 1943, he declared that he would stop writing and broke his writing brush. It was January 1950, after the establishement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that Kim Chang-keol restarted writing. The New Village which was awarded in Sinchoon Literary Contest of East-North Korean People’s Press in 1950 showed a typical model of rural area that well developed by mutual cooperation under the leadership of the new country’s new government. The following two works, The People of the Village(1951) and The Victory of the Village(1951) seem to be the novels about National Counter-revolutionary movement, but are the important works that gave a glimpse of the Korean War, the repercussions of the Korean-Chinese community in Northeast China and their perceptions of the Korean War. These two works indicated that the Korean War was to prevent the invasion of North Korea by the U. S. Army and Syngman Rhee’s government, and called on Korean Chinese to join the war for the victory of North Korea’s socialist revolution. In addition, for the Korean Chinese in China, this period was the time that the ideological tendency played a more important part than ethnic identity. On the other hand, People Who Know Happiness showed that the desire of the individual should be erased in front of the significance of nation building and indicated that it’s possible to be realized by treating Mao Zedong as an idol. During the New China’s construction period, the Korean-Chinese youth, not only the national identity but also formed a personal identity as Chinese citizen. In this way, Kim Chang-keol’s Works After Liberation showed the fate of the Korean Chinese, the change and development of their identity and the diaspora living of the Korean people who are a minority and Chinese citizens.

      • KCI등재

        김유정 소설의 폭력의 기억과 서사적 재현

        천춘화 ( Qian Chunhua )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8 人文論叢 Vol.75 No.1

        김유정 문학에서 폭력은 반복적으로 등장하는 중요한 모티프 중의 하나이다. 폭력의 양상은 여러 가지 변이된 모습으로 반복적으로 서사화 되고 있으며, 폭력에 대한 무감각은 독자들을 아연하게 하기도 한다. 이는 해학과 유머의 작가로 알려져 있는 김유정과는 사뭇 대조되는 부분이다. 하지만 김유정의 생애를 자세히 들여다보노라면 그에게 있어서 가정폭력은 하나의 트라우마였음을 알 수 있다. 실질적으로도 그에게는 ‘말 더듬’과 ‘우울증’, ‘대인기피증’을 비롯한 여러 신경증적 후유증이 남아있었고, 이는 그를 오랫동안 괴롭혔다. 이 논문은 이와 같은 인식에서 출발하여 김유정의 문학을 트라우마 기억과 관련된 특징들에 기대어 살펴보았다. 결과 그의 문학의 도처에 산재해 있는 폭력의 양상들은 그의 트라우마의 변형된 재현이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그의 문학은 외상의 흔적을 텍스트를 통해 무의식적으로 드러내는 하나의 징후였다. 이런 의미에서 김유정의 글쓰기는 본인이 고백했던 바와 같이 치유의 한 과정이기도 했다. 하지만 무엇보다도 이와 같은 과정에서 확인할 수 있었던 것은 그의 문학은 감당하기 어려운 정서적 고통 위에 세워진 상처의 보루였다는 사실이었다. Violence is one of the important motifs that repetitively appear in Kim Yu-jeong’s literature. Violence is repetitively used in diversified forms, and insensitivity to violence may make readers stunned. This is quite opposite to the writer of wit and humor. However, reviewing his life carefully has revealed that family violence was traumatic to him. In practice, trauma caused by violence had serious aftereffects, including depression and social phobia. Starting with such awareness, this study reviewed Kim Yu-jeong’s literature on the basis of the traumatic characteristics. The aspects of violence prevalent in his literature were found to be the transformed representations of his trauma, and his literature was a course to reveal his traumatic traces unconsciously through texts. During this course, he was able to be cured by facing his ego deep inside him; in this sense, his writing was a self-curing process as well as the greatest prop that supports his last days. Diverse in-depth approaches were made to violence in terms of offenders, victims, and observers, as a form of conversation with the ego.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