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A Study on the Habitat Use of the Released Red Fox for Daytime

        Seung-Hoon Chae,Dae-Ho Jung,Dong-Ju Song,Seok-Beom Kim,Woo-Jin Jeong,Seung-Jun Jeong,Jin-Seok An,Min Kim,Park Yung Chul 강원대학교 산림과학연구소 2017 강원대학교 산림과학연구소 학술대회 Vol.2017 No.11

        The fox (Vulpes vulpes Linnaeus, 1758) are an animal belonging to Genus Vulpes, Family Canidae, Order Carnivora. In Korea, the fox are currently in danger of extinction. To prevent extinction from 2011, a restoration project has been carried out centered around Sobaeksan National Park.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the successful fox restoration project is the habitat environment of the target speci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be utilized as the data for collecting more data and selecting suitable releasing sites to analyze the environment of the fox released in 2017. A field survey was conducted using the daily coordinates that the fox stayed in the same place for more than 5 days out of the coordinates collected through CDMA attached to the fox during releasing. In the survey area, the daytime habitat environment of released foxes was identified through a site investigation of altitude, slope, incense, topography, land use status, vegetation, shelter type, etc. for a total of 23 coordinate points. However, a food resource survey, which is a major factor affecting foxes’ habitat use, was not performed. As a result of the survey, the use of daily habitat of the fox in 2017 shows they preferred sites of relatively low altitude (100 ~ 300m), gentle slopes (0 ~ 10 °), and sunshine-rich southward directions. It is because the fox seem to have secured their shelter mainly in the villages adjacent to the human houses or roads where vegetable foods and rodents as their main food can be found. This study tried to confirm a habitat utilization pattern of released foxes by investigate the type and their surrounding environment.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choosing the range and habitat of the wildlife is the presence and amount of food resources. To this end, it is necessary to elicit more objective and reliable research results on foxes’ habitat use by conducting a further investigation on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food resources

      • KCI등재

        만성질환자에서 인풀루엔자 예방 접종의 효능 분석 : 후향적 환자-대조군 연구

        박승철,정희진,손장욱,최선주,엄중식,우흥정,천병철,김우주 대한감염학회 2004 감염과 화학요법 Vol.36 No.4

        목적: 인플루엔자는 예방접종을 통하여 효과적으로 예방이 가능한 대표적인 호흡기 감염질환이다. 미국이나 국내의 인플루엔자 예방접종 지침에서 고령인구(50세 또는 65세 이상)와 그 외의 만성질환자들을 인플루엔자 예방접종의 일차 대상자로 정하고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아직까지 만성질환자들에서의 인플루엔자 백신의 효능평가에 대한 연구결과가 없는 실정이며 국내에서의 만성질환의 분포가 외국의 그것과 일치하지 않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만성질환자들에서 인플루엔자 예방접종과 연관된 병원입원율의 차이를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 1999년 11월-2000년 3월(5개월간) 서울 소재 2개 대학병원에 입원한 만성질환자중 발열과 호흡기 증상이 있어 인플루엔자 또는 인플루엔자양 질환이 의심되거나 그로인한 만성질환의 악화로 추정되는 환자군과 이를 배제한 대조군을 중심으로 혈중 인플루엔자 항체가를 조사하였고 인플루엔자 백신접종력을 조사하였다. 결과의 해석은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결과 : 만성질환자를 대상으로한 환자 대조군 연구에서 2개 대학병원에서 1년간 조사한 결과 항체 검사에 기준하여 최종적으로 환자군 64명, 대조군 117명이 포함되었다. 환자군에서는 대부분이 호흡기질환(253%)과 심혈관계질환(313%)였던 반면에 대조군은 암(466%)이 가장 많았고 심혈관계질환과 호흡기계질환은 각각 134%, 60%로 낮았다. 또한 두군간에는 예방접종의 경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이때의 비차비(OR)은 0328로서 인플루엔자 예방접종의 입원 예방효능은 672%이었다. 결론 : 만성질환자, 특히 만성 심폐질환들에서의 인플루엔자 예방접종은 불필요한 입원을 줄이는 효과가 관찰되었다. 따라서 의료인들은 고위험군의 환자들에 대하여 인플루엔자 에방접종을 적극적으로 권장하고 실천하여야 하겠다. Background : Influenza is one of the preventable respiratory disease by annual vaccination. Elderly people and patients with chronic medical disease are the primary target for influenza vaccination according to ACIP (Advisory Committee on Immunization). This study was done to determine whether influenza vaccination affects hospitalization due to influenza like illness or it's related complications among chronic ill patients. Materials and methods : Retrospective, case-control study was conducted for 5 months (Nov. 1999-Mar. 2000). Physicians from two-university hospitals in Korea were instructed to collect clinical data, sera from subjects presenting with a flu-like illness or flu-related exacerbation in patients with chronic underlying diseases. We compared the vaccination history of case patients with contro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calculate the odd ratio and efficacy of influenza vaccination. Results : Hospitalization due to ILI (influenza like illness) or it's related complications were observed more frequently in patients with chronic lung disease (25.3%) and chronic cardiac disease (31.3%) compared to others. Influenza vaccination resulted in fewer hospitalization with ILI or ILI-related acute exacerbation of underlying disease in chronic ill patients (adjusted odd ratio, 0.328 [CI, 0.14 to 0.73]) during influenza seasons. Conclusion : For patients with chronic disease, influenza vaccination is associated with substantial health benefit including fewer hospitalization. Health care providers should take advantage of all opportunities to immunize these high-risk patients.

      • KCI등재후보

        인간 타액선세포 및 선암종세포주의 분화 유도시 Transglutaminase발현과 고정의존성 성장과의 관계

        박대열,이선경,이화정,장현주,민승기,김은철 大韓顎顔面成形再建外科學會 2003 Maxillofacial Plastic Reconstructive Surgery Vol.25 No.2

        Transglutaminase(TGase) catalyzes the Ca^2+ dependent acyl transfer reaction to from γ-glutamyl lysine cross-links between substrate proteins. we have examined the expression of TGase 1 and TGase 2 enzyme activity and protein expression in differentiation induced salivary gland cells(HSG), and human salivary adenocarcinoma cell lines(SGT)in reation to anchorage independent growth. The TGase1 and TGase 2 activity in SGT was higher than in HSG, and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Gase 2 and TGase1 cells. HSG cells showed no increase in TGase 1 and TGase 2 upon reaching post confluence and in 1.8mM Ca^2+. Expression of the TGase 1 and TGase 2 was induced by high cell density or by high calcium in SGT. No induction of TGase 1 & 2 protein was observed in postconfiuent HSG cells, but there was notable increases in TGase 1 & 2 protein in post confiuent SGT cells. This pattern of TGase 1 & 2 protein expression correlates with the pattern of particulate activity. SGT cells showed more colony size and colony forming activity in soft agar rather than HSG cells. The ability of SGT cells, containing high levels of TGase 2 and TGase1,to form colonies in soft agar suggests a role for this enzyme in anchorage independence.

      • 여대생들의 SNS와 소통 : 서울여자대학교 재학생의 Twitter 및 Facebook 활용을 중심으로

        박미현,전유리,김유솔,신윤지,노승용 서울여자대학교 2010 여성연구논총 Vol.25 No.-

        This study focuses on the characteristics of communication by such social network service (SNS) as Twitter and Facebook. In order to achieve the goal of this study, interview to students in Seoul Women's University was introduced to figure out such communicative behavior using SNS as frequency, motivation, purposes, and effects of SNS. The interview results show that students in Seoul Women's University have strong desire to communicate each other and SNS is one of digital mechanism to enhance their communication. Also, the results point out that interviewees communicative behavior using SNS can be categorized into two types of communication, network- oriented communication to promote friendship and fact-oriented communication to collect and share information. Moreover, interviewees indicate that SNS has both positive and negative (for example, privacy and security, time-consuming, false information, and addiction) aspects, as a results, users' self-control and digital competency should be improved. 소통은 인간 사회의 핵심 가운데 하나이다. 인간은 다른 사람들과 소통하고 싶어 한다. 즉, 상대방에 대해 알고 싶어 하는 동시에 자신을 알리고 싶어 하는 욕구를 가지고 있다. 인간의 소통에 대한 욕구를 충족시키는 방법은 시대의 발전에 따라 변화해왔다. 수천년 전부터 인류는 직접 만나서 언어로서 서로의 감정을 표현하고 정보를 교환하며 지내왔다. 즉, 이 시기에는 소통에서의 시간적․공간적 제약이 존재하였다. 그러나, 문자와 종이가 발명되면서 인류는 소통에서의 시간적․공간적 제약을 극복하기 시작하였다. 인류의 소통은 전화의 발명으로 한발 더 나아가게 되었으며, 디지털 혁명은 인간에게 시간적․공간적 제약을 뛰어넘는 소통을 가능하게 해 주었다. Bill Gates가 “PC는 인간이 만든 도구 중 인간에게 가장 많은 권한을 부여하는 도구라고 자신있게 말할 수 있다. PC는 소통의 도구, 창의력의 도구이며 사용자가 직접 만들어 나갈 수 있다(I think it's fair to say that personal computers have become the most empowering tool we've ever created. They're tools of communication, they're tools of creativity, and they can be shaped by their user.)”라고 주장한 바와 같이, PC와 인터넷의 급속한 발전으로 시발된 디지털 혁명은 인간의 소통에도 20세기 후반에는 상상도 할 수 없었던 큰 변화를 가져왔다. 소위 제 3의 물결(Toeffler, 1980)이라 불리는 정보화 시대의 물결을 타고 현대인들의 소통에 대한 욕구를 더욱 더 편리하게 발현 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의 변화를 가져왔다. 현 시대의 사람들이 행하는 소통의 행태는 전통적인 소통의 방법과 디지털 네트워크의 소통방법이 함께 어우러져 행해지는 모습을 보이고 있고, 이와 더불어 인터넷 등을 통한 가상 커뮤니케이션의 방법으로도 이루어지고 있다. 그리고 디지털 네트워크 기술 발전에 따른 해당 시스템의 이용자가 증가하고 있으며, 관련 시스템이나 모바일 어플리케이션도 지속적으로 개발되어 유통되고 있다. 이러한 디지털 네트워크 발전 속에서 Social Network Service(이하 SNS)가 새롭게 등장했다. 정보기기와 해당 시스템의 발전으로, 면대면 형식의 소통을 벗어나 SNS를 통한 온라인상의 소통이 가능하게 되었고, 이는 다른 소통의 방법보다 상대적으로 편리함을 제공하여 SNS 이용자들에게 폭발적인 반응을 불러일으켰다. 2010년 초 미국에서 처음 쓰이기 시작한 신조어로 ‘TGIF’가 있다. ‘TGIF’는 트위터, 구글, 아이폰, 페이스북 등 스마트 열풍의 진원지라 할 수 있는 네 가지 서비스를 통칭하는 표현이다. TGIF가 급속히 확산된 지난 2년간 세계인들은 정치․경제․사회․문화 모든 면에서 큰 변화를 겪었다. 2008년 당선된 미국의 오바마 대통령은 세계 최초의 트위터 대통령이라 할만하며, 2011년 초에 발생한 튀니지의 ‘재스민 혁명’과 이집트의 ‘키파야 혁명’ 또한 ‘TGIF’의 소산이었다. 오바마 대통령의 당선 이후 유튜브 정치(YouTube Politics)란 용어가 탄생하였고, 2011년 1월 26일 미국 오바마 대통령의 연두교서는 유튜브를 통해 세계에 생중계 되었다. 이러한 정치 분야에서의 소통 뿐만 아니라 기업이 직접 SNS계정을 만들어 네트워크상에서 자신의 고객과의 소통을 하는 기업이라는 조직 대 개인의 소통도 증가하고 있다. KT나 삼성 등의 대기업 등은 SNS를 이용한 고객과의 소통을 통해 기업이미지 제고와 고객과의 친밀함을 시도하고 있는 것은 이미 주위에서 많이 볼 수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소아에서 외상성 질식 증후군에 대한 임상적 고찰

        박승현,최승필,나병호,황주일,나석주,전해명,김세경 大韓應急醫學會 1996 대한응급의학회지 Vol.7 No.1

        Traumatic asphyxia has often been described as a rare clinical syndrome characterized by cervicofacial cyanosis and edema, multiple petechiae, and subconjunctival hemorrhage after a severe crush injury of the thorax or upper part of the abdomen. The pathogenesis of traumatic asphyxia is that after compression of the chest or upper abdomen, intrathoracic pressure increased suddenly. Blood is forced out of the right atrium through the valveless innominate and jugular veins into the head and neck. This sudden increased thoracic pressure in small venules and capillaries causes rapid dilation and minute hemorrhages producing the petechiae often seen. Treatment is supportive and should be focused on the associated injuries. The prognosis for traumatic asphyxia is very good despite the alarming initial physical appearance. If the patient survives the initial insult, the prognosis is excellent. Neurologic sequale may be permernant. We experienced five case of the traumatic asphyxia, and its clinical and pathophysiologic features are discussed. Increased awareness of this syndrome by emergency physicians will result in better reporting ad understanding of its clinical implications.

      • KCI등재

        초기 성공적인 심폐소생술후 혈청 Interleukin-6 농도의 발현양상

        박규남,박승현,황두영,김형국,이환,최경호,이원재,정욱성,김학주,김세경 大韓應急醫學會 1998 대한응급의학회지 Vol.9 No.4

        Objective : To investgate patterns of serial serum interleukin-6(IL-6) concentrations after initial successful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nd to access differences in serum IL-6 concentrations in patients with Cerebral Performance Category(CPC, 1-2) and CPC(3-5) at the 5th day after cardiacpulmonary resuscitation(CPR). Methods : We studied prospectively 12 patients with spontaneous circulation afte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Venous blood samples were taken 2, 4, 12, 24, 48 and 72 hours after restoration of spontaneous circulation to measure serum IL-6 levels by the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Results : Serum IL-6 concentrations in the severe neurolgically disabled group(CPC, 3-5)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t 2, 24 and 48 hours after restoration of spontaneous circulation compared with the less neurolgically disabled group. Also, serum IL-6 concentrations in the severe neurolgic disabled group showed dual peak at 4 and 24 hours. Conclusion : Our study demonstrates significant increase of serum IL-6 in patients with CPC(3-5) after successful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nd the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early increase of serum IL-6 and poor neurologic outcome. It suggests that early increase of serum IL-6 can be used as a prognostic marker after successful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 중증 근무력증 52례에 대한 임상적 고찰

        박건주,하정상,이준,도현철,박승권,서상덕,기병수,김진국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1996 Yeungnam University Journal of Medicine Vol.13 No.1

        1985년 8월부터 1996년 1월까지 중증근무력증으로 진단받은 환자 52례에 대한 임상적 고찰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전체 환자 중 남자가 19례(35.8%), 여자가 33례(64.2%)이넜고 11세에서 20세 사이가 12례(23%)로 가장 높은 빈도를 보였다. 2. 환자의 초기증상으로는 안검하수, 복시 등의 안구증상이 37례(71.2%)로 가장 많았고 modified Osserman의 분류에 따라서도 가장 증상이 가볍고 약물치료에 잘 반응하는 1군이 36례(69.3%)로 가장 많았다. 3. 환자가 호소하는 증상의 비특이성과 회복과 재발을 거듭하는 질병의 특성으로 인해 발병이후 진단될 때까지의 시간은 비교적 오래 걸렸고 1년이상 경과하며 진단된 경우도 16례(30.8%)나 되었다. 4. 자가면역질환이 7.6%에서 동반되었는데 갑상선기능 항진증이 2례(3.8), 인슐린의존형 당뇨 2례(3.8%)였고 종격동 전산화 단층촬영소견에서 흉선의 비대가 의심되었던 환자는 6례(11.5%), 흉선종이 발견 되었던 경우는 3례였다. 5. 환자의 치료는 대부분 항콜린에스테라제나 부신피질호르몬을 병용하는 내과적 치료를 하였으며 약물의 치료에 반응이 미비하거나 악화되는 경우 혹은 종격동 전산화 단층촬영상에서 흉선의 이상 소견이 보인 경우에 2례(3.9%)에서는 흉선절제술이, 1례(1.9%)에서는 혈장여과요법이 추가 되었고 흉선절제술과 혈장여과요법이 같이 병합 치료된 경우도 3례(5.9%)있었다. 6. 전체 환자중 2명에서 자연치유의 경과를 보였으며 이들은 모두 1군이였다. 그리고 흉선절제술과 부신피질 호르몬 투여로 완치된 예가 1례있었다. The authors experienced 52 patients with myasthenia gravis who were diagnosed at the Department of Neurology, Yeungnam University Hospital from August 1985 to January 1996.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through diagnostic evaluation and treatment. 1. The ratio of male to female was 1:1.7 and the most prevalent age group was second decade. 2. The most common initial presentation symptom was ocular(71.2%) and the peak incidence group was stage I(69.3%) according to the modified Osserman's classification. 3. In 16 patients(30.8%), it took more than a year to diagnose due to symptoms which were relapsed and remitting. 4. Of 52 patients, 2 cases were associated with thyroid disease(3.8%) and 2 with insulin-dependent diabetes mellitus(3.8%). 5. All of those who received anticholinesterase and corticosteroid therapy were improved with the exception of 5 cases which were improved after thymectomy and/or plasmapheresis. 6. Spontaneous remission was occured in 2 cases(3.8%) of ocular myasthenia gravis. And 1 case of group II was cured through thymectomy and long-term corticosteroid therapy.

      • KCI등재

        연마방법에 따른 탄성의치의 표면거칠기와 Candida albicans의 부착율 변화

        오주원,서재민,안승근,박주미,강철균,송광엽 대한치과보철학회 2012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50 No.2

        연구 목적: 본 연구는 탄성의치 제작 시 주로 사용되는 polyamide를 수종의 연마방법을 사용하여 처리 후 Candida albicans의 부착정도와 표면거칠기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25×15×2 mm 크기의 polyamide 시편을 4군으로 나누어 연마재를 사용하여 기공용 lathe 연마하는 방법(기공실내 연마방법)과 각기 다른 2종의 실리콘 포인트로 진료실내 연마하는 방법, 그리고 실리콘포인트 연마 후 pumice로 연마하는 방법으로 처리하였다. C. albicans의 부착성을 평가하기 위해 5×106 CFU/ml의 C. albicans 현탁액에 시편을 2시간 동안 침적하였고 5회 수세처리 후 한천배지에서 배양하였다. 그리고 주사전자 현미경(JSM-5900, JEOL LTd., Tokyo, Japan) 촬영을 시행하였다. Profilometer (Surf-pak; Kawasaki, Japan)를 이용하여 표면거칠기를 측정하였고 통계처리를 위하여 SPS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일원변량분석으로 비교 분석하였고 사후검증은 C. albicans의 부착성 검증을 위해 Scheffe test를 시행하였으며 표면조도검증을 위해 Tamhane’s T2 test를 시행하였다(α=.01). 결과: 최대 거칠기 값을 보인 군은 2단계의 연마용 버를 사용한 것으로 0.32 ㎛±0.10 값을 나타냈으며, 가장 낮은 거칠기 값을 보인 것은 tungsten carbide를 사용하지 않고 기공용 lathe로만 연마를 한 군으로 0.02 ㎛±0.00의 거칠기 값을 나타냈다. C. albicans 부착 실험에서는 기공용 lathe만을 이용한 연마방법이 가장 적은 부착수를 보였으며 다른 세 군과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었다(P<.01). 결론: 표면거칠기 및 미생물 부착능 실험 결과 기공실 연마만을 시행한 경우 유의하게 낮은 거칠기 값과 부착율을 보였다. Pumice로 추가 연마한 군은 진료실연마를 시행한 군에 비해 낮은 거칠기 값을 보였으나 C. albicans 부착에 있어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ffect of 3 chairside polishing methods and laboratory polishing methods on surface roughness and C. albicans adhesion of polyamide denture base. Materials and methods: Using contact profilometer, the surface of polyamide specimens (25×15×2 mm) was studied after conventional polishing without finishing and after chiarside polishing with 2 chiarside polishing kits and chairside-pumice polishing following finishing with tungsten carbide bur. To evaluate the adhesion of C. albicans, C. albicans suspension was overlayed on the test specimen. And the specimens were incubated for 2 hours. Imprint culture method was achieved and counted the colony on the agar plate. Polished polyamide were evaluated using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The statistics were conducted using one-way ANOVA and in case of difference, Scheffe test and Tamhane’s T2 test were used. Results: Surface roughness (Ra) of surfaces polished with 2 chairside polishing kits had higher than conventional polishing and pumice polishing. The highest roughness value was 0.32 ± 0.10 ㎛, and the lowest was 0.02 ± 0.00 ㎛. The adhesion of C. albicans on the specimens polished with chairside polishing group and pumice polishing group were increased than conventional polishing group (P<.01). Conclusion: Conventional laboratory polishing was found to produce the smoothest surface and the lowest adhesion of C. albicans. Two groups polished with Chairside polishing kits were similar with respect to surface roughness. Surface of the specimen polished with pumice is significantly smoother than 2 chairside polishing groups, but the result of C. albicans adhesion is that group polished with pumice was similar with 2 chairside polishing groups (P>.01).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