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결정연신법으로 연신한 고밀도 폴리에틸렌 배향물의 비선형 동적 점탄특성 발현 메커니즘

        조남주,이상걸 釜山大學校生産技術硏究所 1997 生産技術硏究所論文集 Vol.53 No.-

        결정연신법으로 연신한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배향물의 피로과정에서의 비선형 점탄특성을 비선형 점탄성 파라미터, NVP(Nonlinear Viscoelastic Parameter)로 평가하였다. NVP는 가해준 변형에 대한 응답 응력파의 기본 응력파(선형적 응답)로 부터의 차이를 직접 측정하여 이를 규격화한 것이다. 피로과정에서의 비선형 점탄특성의 발현은 HDPE 배향물의 피로강도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으며, NVP가 고분자재료의 내피로성을 평가하는 척도로서 사용 가능하다는 사실이 증명되었다. 또한, 피로과정에서의 고차구조 변화와 비선형 점탄특성과의 관계를 조사한 결과, 반복 변형이 HDPE 배향물의 무정형 영역 또는 미결정의 경계면에 집중하면 할수록 NVP 값은 커지고 비선형 점탄특성이 현저해 짐을 알았다. 한편, 주위온도가 HDPE 배향물의 피로과정에서의 비선형 점탄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한 결과, α-₁결정완화영역인 323K에서는 반복 변형이 라멜라간의 무정형 영역뿐만 아니라 mosaic block간에도 인가되어 NVP 값이 실온보다 감소하였으며, crack의 성장원이 되는 mosaic block간에 반복 변형이 가해지므로 피로강도는 실온보다 감소하였다. 또, α-₂결정완화영역인 350K에서는 라멜라 결정이 점탄성적인 거동을 하므로 무정형 영역 및 결정 영역이 함께 변형을 받게 되어 NVP 값은 실온보다 감소하였으며, 피로강도는 반복 변형이 비교적 균일하게 가해지므로 α-₁결정완화영역에서보다 증가하였다. Nonlinear dynamic viscoelasticity under cyclic fatigue for the oriented high-density polyethylene(HDPE) drawing at α₂-crystalline relaxation temperature was discussed in terms of nonlinear viscoelastic parameter(NVP) defined as the contribution of higher harmonics of Fourier expanded stress signal. It was clarified that the appearance of nonlinear viscoelasticity remarkably reduced the fatigue strength of the oriented HDPE. And also, it was confirmed that NVP could be used as an index of fatigue lifetime or fatigue strength for polymeric solids. Also, it could be concluded from the results of higher-order structural change during fatigue process that nonlinear dynamic viscoelasticity of the oriented HDPE originated from the deformation of the amorphous and/or crystallite boundary regions rather than that in the crystalline phase itself. In the case of a cyclic fatigue test at the α₁-crystalline relaxation temperature, since the degree of cyclic strain concentration in the amorphous region decreased because of the deformation in the intermosaic block region, the magnitude of NVP became smaller than that at room temperature. Also, the fatigue strength was lower than those at the other ambient temperatures, because lamellar crystals were decomposed into small mosaic block crystals whose interfaces became the origin of crack growth under cyclic straining. In the case of a cyclic fatigue test at the α₂-crystalline relaxation temperature, because of a more homogeneous sample deformation and the decrease of cyclic strain concentration in the amorphous and/or crystallite boundary regions, the magnitude of NVP became smaller than that at room temperature. The fatigue strength was greater than that at the α₁-crystalline relaxation temperature due to the more homogeneous sample deformation.

      • 세그먼트 블록 공중합체의 표면 분자 운동성과 항혈전성

        조남주,이영수,이상걸 釜山大學校生産技術硏究所 1998 生産技術硏究所論文集 Vol.54 No.-

        Hard 및 soft segment가 다른 여러 종의 세그먼트 블록 공중합체를 제조하여, 생체모의환경 하에서의 재료의 표면 화학 조성 및 분자 운동성을 X선 광전자 분광기(XPS)와 동적 접촉각 측정으로 평가하였다. 그 결과, 수화상태에서는 물-고체간의 계면 자유 에너지를 최소로 하기 위하여 표면 자유 에너지가 높은 성분이 표면에 석출됨을 알 수 있었다. 특히, polyethylene glycol(PEG)과 같은 친수성의 soft segment를 갖는 세그먼트 블록 공중합체의 경우에는 수화상태에서 PEG 사슬이 표면에 농축되어 표면 자유 에너지가 크게 증가하였다. 이러한 주위환경 변화에 따른 표면 분자 운동성은 bulk의 분자 운동성에 많은 영향을 받았다. 한편, 세그먼트 블록 공중합체의 항혈전성은 물-고체 계면에서의 마이크로 상 분리 상태에 크게 영향을 받았다. Segmented block copolymers with various hard and soft segment components were prepared. The surface characteristics of segmented block copolymers in various environments was investigated by means of 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XPS) and dynamic contact angle measurements. These measurements revealed that in a hydrated state, the higher surface free energy component is enriched on surface in order to minimize the interfacial free energy between water and the solid surface. In particular, segmented block copolymers with hydrophilic soft segment such as polyethylene glycol(PEG) showed a large increase in surface tension in a hydrated state. Also, the surface molecular mobility was strongly correlated with bulk molecular motion. It was clearly marked that the antithrombogenicity of segmented block copolymers was influenced by microphase separation at the surface in a hydrated state.

      • 오매(Fructus Mume)의 항산화물질의 분리 및 특성연구

        황현주,안은미,백남인,조재선,김해영 경희대학교 생명자원과학연구원 1998 硏究論文集 Vol.19 No.-

        천연물로부터 새로운 항산화제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한방에서 사용되는 한약재 중의 하나인 오매(烏梅)의 물 추출물과 메탄을 추출물 및 순차 분획물에 대해 팜유, 우지와 돈지를 기질로하여 유지저아시험, Rancumat method, 전자공여작용 등으로 항산화성을 확인한 결과, EtOAc 분획물에서 강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어 column chromatography, thin layer chromatography를 통하여 활성성분에 관한 연구를 시도하였다. 1. 오매 용매분획물 중 EtOAc 분획물(400 ppm)은 유지저장실험(60℃)에서, 팜유, 우지와 돈지에 모두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특히 우지에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고, BHA(200 ppm)와 α-tocopherol(200 ppm)보다 활성이 높았다. 2. 오매 EtOAc 분획물(400 ppm)은 Rancimat method에서는 팜유, 우지와 돈지에 비교적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우지에서 AI가 4.39로 상당히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3. 오매의 용매분획물 중 EtOAc 분획물이 DPPH라디칼에 대한 강한 소거활성을 나타내었으며, 그 활성은 EtOAc 분획물의 농도에 의존하여 증가하였고, SC_(50)은 21.2μg/ml이었다. 4. 오매 EtOAc 분획물에서 분리한 8개 획분 중 E4에서 SC_(50)이 16.7μg/ml으로 높은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원인 물질은 여러 가지 스펙트럼 측정 결과 수종 물질이 혼합물인 것으로 밝혀져, 보다 순수한 형태로의 분리 후 정확한 동정의 시도가 요구되었다. Fructus Mume is the roasted hits of Prunus mwme and has been used as tradibonal Chmese medicine. The anboxidatwe effect of the extract from Fructus Mume was measured using different methodsn such as, electron donating abdihes(EDA), Rancimat and oven tests. The methanol extract obtained from the Fructus Mume was solvent-fractionated with ethyl acetate, n-butanol and water, respectively. The ethyl acetate fraction showed the highest antioxidative activity among them. To identify the compounds with antioxidative activity, the isolates from thm layer chromatography were studied further.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Fructus Mume might be useful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disorders associated with oxidative damage.

      • 세그멘트 폴리우레탄 우레아에 기초한 순수 고체전해질의 이온 전도성

        이상걸,조남주 부산대학교 생산기술연구소 2000 生産技術硏究所論文集 Vol.59 No.-

        4,4'-methylene - bis(phenyl isocyanate), ethylene diamine과 poly(ethylene oxide)(PEO)/poly( propylene oxide)(PPO)(Mw~1000, 2440, 3400)의 공중합체로 세그멘트 폴리우레탄 우레아(SPUU)를 하였다. 전해질은 용액 법으로 필름을 형성시켜 제조하였다. 고분자전해질 필름의 이온 전도도는 Pt 전극을 사용하여 교류 임피던스로 측정하였다. 이들 고분자전해질은 실온에서 높은 전도도를 보였으며, lithium perchlorate를 약 20%(w/w) 함유한 고분자전해질이 가장 우수하여 실온에서 3.1×10-5s/cm 가 나왔다. 이들 복합체의 이온 전도도는 온도에 대해 Arrhenius형태를 따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는 용매가 포함되지 않는 고분자 전해질로서 SPUU의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Various types of segmented poly(urethane urea)s(SPUUs) were synthesized from 4,4-metylene-bis(phenyl isocyanate), ethylene diamine, and poly(ethylene oxide) (PEO)/poly(polypropylene oxide) (PPO) copolymer with molecular weights of 1000, 2440 and 3400. The films of electrolyte were prepared by the solution casting method. Ionic conductivity measurements were carried out on thin film of the polymer electrolytes that had been contacted with Pt electrode assembly using conventional AC impedance spectroscopy. These polymer electrolytes showed inherently high ionic conductivity at room temperature. The optimum concentration of lithium perchlorate was about 20%(w/w). resulting in an ionic conductivity of about 3.1 × 10-5S/cm at room temperature. The ionic conductivity of these complexe was found to show the Arrhenius tripe temperature dependenc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prepared SPUUs electrolytes are promising candidates for the development of polymeric solvent-free electrolyte.

      • 메칠트리에톡시실란과 페닐트리에톡시실란으로 만들어진 콜로이드상 실리카 코팅의 표면 및 광학적 성질

        이만성,조남주 부산대학교 생산기술연구소 2000 生産技術硏究所論文集 Vol.59 No.-

        투명 플라스틱의 내 마모성을 향상시키고 특히 소재와의 굴절률의 차이에 기인한 간섭 현상 등을 최소화하여 보다 우수한 광학적 특성을 가진 하드 코팅제를 제조하기 위하여 유기물로서 methyl triethoxy silane(MTES)과 phenyl triethoxy silane(PTES)을 병용하고 무기물로서 colloidal silica를 사용하며 유-무기 복합 코팅제를 sol-gel 법에 의해 합성하였으며, polymethyl methacrylate (PMMA)판에 코팅된 도막의 표면 및 광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무기 실리카에 MTES와 PTES를 결합시킨 경우 도막 표면의 거칠기가 현저히 감소하였다. 코팅된 PMMA 판의 내 마모성은 유기 실란의 양이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굴절율은 PTES의 양이 증가할수록 서서히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사용된 경화 촉매인 tetramethyl ammoniumformate는 소재와 코팅 도막을 매우 효율적으로 결합시켜 좋은 접착력을 나타내었다. Polymethyl methacrylate(PMMA) sheets were coated with silica coatings by the sol-gel method, and their abrasion resistance, optical and surface characteristics were evaluated. Methyl triethoxy silane (MTES), phenyl triethoxy silane(PTES) and colloidal silica were used for the rotating agent. The addition of MTES and PTES to colloidal silica enabled the formation of coatings with very smooth surface. The abrasion resistance of PMMA sheet coated with silica coaling agent increased PMMA sheet slightly increased with the increase with the ratio of PTES. The addition of a curing catalyst, tetramethylammoniumformate, was found to be very effective to increase the adhesion strength of the foaling agent to the substrates.

      • 세그멘트 폴리우레탄 우레아에 기초한 블렌드계 고체전해질의 분자운동성과 이온 전도성

        이상걸,이갑열,조남주 부산대학교 생산기술연구소 2000 生産技術硏究所論文集 Vol.59 No.-

        순수 고체 전해질과 겔형 고분자 전해질의 장점을 취합한 새로운 형태의 블렌드계 고체 전해질을 제조할 목적으로, 현재 유기 가소제로 널리 쓰이는 ethylene carbonate(EC), propylene carbonate(PC) 대신 실온에서 휘발성이 낮은 저분자량의 polyethylene g1ycol(PEG) 및 polyethylene glycol dimethylether(PEGDME)를 사용하였다. 또한, 고분자 매트릭스로는 지지체 역할 뿐만 아니라 염과의 복합체를 형성할 수 있도록 soft segment에 PEO/PPO 공중합체를, hard segment urea기를 도입한 세그멘트 폴리우레탄 우레아(segmented polyurethane urea, SPUU)를 사용하였다. 제조된 SPUU팀에 휘발성이 낮은 저분자량의 PEC 및 PEGDME와 리튬염을 부가하여 solution casting법으로 블렌드계 고체 전해질을 제조한 다음 교류 임피던스법으로 이온 전도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이온 전도도는 PEO 및 PEGDME의 분자량 및 함량에 의존함을 관찰할 수 있었다. In order to prepare a new blend-type electrolyte possessing the merits of both an intrinsic polymer electrolyte and gel-electrolyte, we report on a class of nonvolatile (dry) polymer electrolyte, prepared by plasticizing a segmented polyurethaneurea (SPUU) with solution of lithium salt in oligomeric poly(ethylene glycol) (PEG) and poly(ethylene glycol) dimethyl ethers (PEGDME). SPUU having PEO/PPO copo1ymer in soft segment and urethanerurea group in hard segment was used in order to prepare a mechanically stable blend-type electrolyte for for improving the affinity between PEC or PEGDME and matrix. and the ionic conductivity was measured by AC impedance spectroscopy. As a result, it was observed that the ionic conductivity depended on the molecular weight and contents of PEC and PEGDME.

      • SCOPUS
      • SCISCIESCOPUS

        The influence of the cations of salts on the electrochemical stability of a solid polymer electrolyte based on segmented poly(ether urethane)

        Jo, Nam-Ju,Kim, Min-Kyung,Kang, Sung-Won,Ryu, Kwang-Sun Royal Swedish Academy of Sciences 2010 Physica scripta Vol.2010 No.t139

        <P>Solid polymer electrolytes (SPEs) based on segmented poly(ether urethane) (SPEU) and lithium perchlorate or magnesium perchlorate (LiClO<SUB>4</SUB> or Mg(ClO<SUB>4</SUB>)<SUB>2</SUB>) were prepared. By analyzing the Fourier-transform infrared (FT-IR) spectrum of the SPE, it was confirmed that the interaction of the magnesium ion with the oxygen of the polyether chain was stronger than that of the lithium ion. The highest ionic conductivities of 1.5×10<SUP>−5</SUP> and 4.5×10<SUP>−6</SUP> S cm<SUP>−1</SUP> were obtained at room temperature for the SPEs containing LiClO<SUB>4</SUB> and Mg(ClO<SUB>4</SUB>)<SUB>2</SUB>, respectively. The results of linear sweep voltammetry (LSV) show that an SPE consisting of SPEU and magnesium salt has good electrochemical stability up to the working voltage of 1.9 V at [O]/[Mg<SUP>2+</SUP>]=50.</P>

      • KCI등재

        New records of the genus Chroomonas and two Chroomonas species (Cryptomonadales, Cryptophyceae) from Korean freshwater

        Hyeon Ju Nam,Miran Kim,Seok Won Jang,Bok Yeon Jo,Eunyoung Moon,Seung Won Nam 한국환경생물학회 2021 환경생물 : 환경생물학회지 Vol.39 No.4

        The genus Chroomonas is a group of blue-green colored cryptomonads. This study describes two freshwater Chroomonas species for the first time in South Korea: Chroomonas nordstedtii Hansgirg and Chroomonas coerulea (Geitler) Skuja. We examined the morphology and ultrastructure of these species by light microscopy,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and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hese two Chroomonas species were blue-green colored and ovate to oval-shaped. Chroomonas nordstedtii was characterized by two Maupas ovals with hexagonal periplast plates, whereas C. coerulea was characterized by one eyespot with rectangular periplast plates. A molecular phylogeny with data from nuclear SSU rRNA and chloroplast rbcL genes revealed that Korean C. nordstedtii formed a distinct clade with NIES-708, NIES-1004 from Japan, and UTEX 2779 from Colorado, USA, while C. coerulea formed a clade with ACOI 1366 from Portuga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