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The Local Observed Trends and Variability in Rainfall Indices Over the Past Century of the Yom River Basin, Thailand

        Ruetaitip Mama,Kwansue Jung,Butsawan Bidorn,Matharit Namsai,Meiyan Feng 한국방재학회 2018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8 No.4

        강우 패턴의 변화는 홍수나 가뭄과 같은 극한 수문 사상 의발생빈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물 공급이나 홍수관리 등과 관련하여 이해당사자들 간의 분쟁을 초래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과거 90년(1921~2015)의 기간을 대상으로 Yom강유역에 대한 강우량의 변동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13개 수문관측소의 강우 자료를 기반으로 강우와 관련된 다양한 극한 사상들에 대한 장기경향성분석을 Mann-Kendall 방법을 이용하여 신뢰 수준 95%에서 수행하였다. 대상 변수는연 총강수량(PRCPTOT), 연속건조일수(CDD), 연속습윤일수(CWD), 호우일수(R 10 ), 대형호수일수(R 20 ), 일최대강우량 (R max1 ), 5일 최대강우량(R max5 ), 연간총강우일수(R day ) 등이다. 주요한 결과로서 PRCPTOT, R max1 , R max5 는 대상 유역의 서부지역에서 증가추세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CDD지수의 경우 대상유역내 55% 이상의 지역에서 감소추세를 보였다. 한편, CWD는 Yom강유역 하류지역을 제외하고는 유역면적의 약 77%를 차지히여 증가 추세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간 총강우일수는 대상 유역의 남부지역 약 44%에서 감소 경향을 나타냈다. 그러나 호우와 대형 호우의 경우 Yom강유역 하류지역에서 상당한 증가 추세를 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Yom강유역의 서부지역에서 현저한 홍수의 증가 경향을 시사한다. 한편, 대상 유역의 중심부에서는 가뭄의 경향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Yom강유역내 강우 패턴의 변화는 향후 해당지역의 수자원계획과 관리를 위하여 반드시 그 영향을 고려하야 할 것이다. A changing rainfall pattern can directly affect the frequency of occurrence of extreme event such as floods and droughts. These extreme events will cause future political conflicts, especially those dealing with water supply and flood manage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variability of rainfall in the Yom River basin, Thailand, during the past 90 years (1921–2015). Based on rainfall data from 13 hydrological stations, long-term trends inrainfall and various rainfall-related extreme events, which consist of the annual total precipitation (PRCPTOT), consecutive dry days (CDD), consecutive wet days (CWD), number of heavy rainfall days (R 10 ), number of very heavy rainfall days (R 20 ), daily maximum rainfall (R max1 ), five-day maximum rainfall (R max5 ), and annual total rainy day (R day ) in the Yom River basin, were analyzed using the Mann-Kendall method with 95% confident level. The results suggest that for the PRCPTOT, R max1 , and R max5 indices have experienced a significant increase trend in the western part of basin area. In addition, the decreasing trend was observed over 55% of basin considering for the CDD indices. Meanwhile, the CWD was found an increasing trend approximately 77% of the basin area except in the lower Yom River basin. Result of the annual total rainy day reveal significant decrease trend around 44% of the southern part of the basin. However, the analyses of heavy and very heavy rainfall show a significantly increasing trend at the lower part of the Yom river basi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trend of flooding has significantly increased along the western part of the Yom River basin. Meanwhile, the tendency of drought events is increasing in middle portion of the basin. The impacts of changes in rainfall pattern in the Yom River basin should be considered in the future water resources planning and management of the country.

      • The Local Observed Trends and Variability in Rainfall Indices Over the Past Century of the Yom River Basin, Thailand

        Ruetaitip Mama,Kwansue Jung,Butsawan Bidorn,Matharit Namsai,Meiyan Feng 한국방재학회 2018 한국방재학회지 Vol.18 No.4

        강우 패턴의 변화는 홍수나 가뭄과 같은 극한 수문 사상 의발생빈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물 공급이나 홍수관리 등과 관련하여 이해당사자들 간의 분쟁을 초래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과거 90년(1921~2015)의 기간을 대상으로 Yom강유역에 대한 강우량의 변동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13개 수문관측소의 강우 자료를 기반으로 강우와 관련된 다양한 극한 사상들에 대한 장기경향성분석을 Mann-Kendall 방법을 이용하여 신뢰 수준 95%에서 수행하였다. 대상 변수는연 총강수량(PRCPTOT), 연속건조일수(CDD), 연속습윤일수(CWD), 호우일수(R 10 ), 대형호수일수(R 20 ), 일최대강우량 (R max1 ), 5일 최대강우량(R max5 ), 연간총강우일수(R day ) 등이다. 주요한 결과로서 PRCPTOT, R max1 , R max5 는 대상 유역의 서부지역에서 증가추세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CDD지수의 경우 대상유역내 55% 이상의 지역에서 감소추세를 보였다. 한편, CWD는 Yom강유역 하류지역을 제외하고는 유역면적의 약 77%를 차지히여 증가 추세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간 총강우일수는 대상 유역의 남부지역 약 44%에서 감소 경향을 나타냈다. 그러나 호우와 대형 호우의 경우 Yom강유역 하류지역에서 상당한 증가 추세를 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Yom강유역의 서부지역에서 현저한 홍수의 증가 경향을 시사한다. 한편, 대상 유역의 중심부에서는 가뭄의 경향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Yom강유역내 강우 패턴의 변화는 향후 해당지역의 수자원계획과 관리를 위하여 반드시 그 영향을 고려하야 할 것이다. A changing rainfall pattern can directly affect the frequency of occurrence of extreme event such as floods and droughts. These extreme events will cause future political conflicts, especially those dealing with water supply and flood manage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variability of rainfall in the Yom River basin, Thailand, during the past 90 years (1921-2015). Based on rainfall data from 13 hydrological stations, long-term trends inrainfall and various rainfall-related extreme events, which consist of the annual total precipitation (PRCPTOT), consecutive dry days (CDD), consecutive wet days (CWD), number of heavy rainfall days (R 10 ), number of very heavy rainfall days (R 20 ), daily maximum rainfall (R max1 ), five-day maximum rainfall (R max5 ), and annual total rainy day (R day ) in the Yom River basin, were analyzed using the Mann-Kendall method with 95% confident level. The results suggest that for the PRCPTOT, R max1 , and R max5 indices have experienced a significant increase trend in the western part of basin area. In addition, the decreasing trend was observed over 55% of basin considering for the CDD indices. Meanwhile, the CWD was found an increasing trend approximately 77% of the basin area except in the lower Yom River basin. Result of the annual total rainy day reveal significant decrease trend around 44% of the southern part of the basin. However, the analyses of heavy and very heavy rainfall show a significantly increasing trend at the lower part of the Yom river basi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trend of flooding has significantly increased along the western part of the Yom River basin. Meanwhile, the tendency of drought events is increasing in middle portion of the basin. The impacts of changes in rainfall pattern in the Yom River basin should be considered in the future water resources planning and management of the count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