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복합의사소통 장애인을 위한 지역사회 보완대체의사소통(AAC) 마을 만들기 사례 연구

        한경임 ( Kyungim Han ),김경미 ( Kyungmi Kim ) 인문사회 21 2023 인문사회 21 Vol.14 No.1

        연구 목적: 이 연구는 복합의사소통장애인들을 위한 AAC 마을 조성 사례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 연구참여자는 복합의사소통장애인들뿐만 아니라 지역사회 카페, 우체국 등의 직원, 복합의사소통장애인 소속 7개 기관의 담당자 그리고 봉사활동에 참여한 대학생들이었다. 사례 분석을 위해 면담, 참여관찰, 자료 수집에 의한 질적분석을 적용하였다. 연구 내용: 첫째, AAC 마을 만들기 활동에 참여한 대학생들은 이 활동을 통해 AAC에 대한 전공 역량을 함양하고, 자부심을 갖게 되었다. 둘째, AAC 마을 만들기에 참여한 지역사회 기관 직원들은 AAC 의사소통 도움 그림글자판 사용을 통해 장애인에 대한 관점이 바뀌었으며, AAC 마을의 확산을 제안하였다. 셋째, 복합의사소통장애인들은 AAC 마을 활동에 참여하면서 효율적으로 의사소통이 가능해졌으며, 이 프로젝트를 통해 지역사회의 주인이 되는 경험을 할 수 있었다. 넷째, 복합의사소통장애인 소속 기관의 담당자들은 이 활동을 통해 장애인들이 지역사회에 자발적으로 걸어 들어갔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가진다고 하였으며, AAC 마을 조성을 위한 지속적인 노력을 다짐하였다.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AAC 마을 조성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a case on the AAC village project for individuals with complex communication needs (CCN). The participants were university students volunteered, individuals with CCN, community helpers in cafe, post office etc. and staffs of seven institut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To analyze the case, qualitative research was performed through participation observation, interview and data collection. As a result, university students felt self-respect and had major competence about AAC through this project. Next, community helpers reported their perception change about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insisted the need of expansion of AAC village. Third, individuals with CCN had effective communication skills through AAC board and experienced the role of community ownership through this project. Finally, staffs of institutes for individuals with CCN said AAC village project had big mean as that individuals with CCN went to their community and insisted continuous try for AAC village project. This study will provide lots of information about making AAC villages.

      • KCI등재

        청각장애 특수학교 영어교육 및 보조 도구 실태에 관한 연구

        김현숙 ( Hyunsook Kim ),한경임 ( Kyungim Han ) 한국특수아동학회 2014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6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청각장애 특수학교의 영어 교과 운영과 비치된 교육 보조 도구 활용 실태를 조사하고, 청각장애 학생을 위한 영어과 교수·학습 자료에 대한 요구 등을 파악하여 학생들에게 효과적인 영어교육 보조 도구 개발 필요성에 대한 근거 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연구를 위해 전국의 청각장애 특수학교 15개교의 영어교사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에 기초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글로벌 시대에 청각장애 학생들을 위한 영어교육의 필요성은 인식하지만, 학생들의 심한 개인차와 개별 수준에 맞는 교과 내용 및 학습 도구 부족 등이 영어과 교육목표에 미치지 못하는 교과 운영의 이유가 될 수 있다. 둘째, 학생들에게 효율적이라 생각하는 영어교육 보조 도구로 컴퓨터와 스마트기기용 학습 프로그램이며 개발과 제작지원이 필요하다. 셋째, 전체 학생의 69%가 스마트 기기를 보유하고 있으며, 스마트교육의 추진전략의 하나로 국가적 차원에서 학교에 지원하고 있는 스마트기기가 점차 확대되고 있는 현시점에서, 휴대성과 접근성이 높고 시각적 교육 콘텐츠를 구현하기 가장 유용한 스마트기기는 청각장애 학생들의 영어 학습에 가장 적합한 도구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청각장애 학생을 위한 영어교육 모형과 콘텐츠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제언하며, 청각장애 학생들에게 특화된 영어교육을 위해 기존의 사전 기능에 단어를 영어 수화로 표기, 발성을 위한 조음기관 움직임 설명과 화자의 발성 크기와 발음의 정확성을 확인할 수 있는 상호작용 기능 등이 포함된 스마트기기용 영어 학습 교육 콘텐츠가 개발되어야 하겠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nglish curriculum and use of training aid of schools for deaf students, and to find out the needs of teaching and learning of English subject and to examine development of effective English education tools for the students with hearing impairment. First, elementary school,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for deaf children had English curriculum: Even if not only teachers but also students cognized needs of English learning to improve life quality of the students in the era of globalization and to expand job opportunity as well as social activities at various kinds of areas, they had difficulties at shortage of English teaching materials and educational tools and teaching methods. The students were not educated according to educational goal of English subject because of shortage of curriculum and learning tools depending upon much difference of individuals and levels of each student. Educational tools for customized and individual education should be developed to help teachers teach English subject and students learn English effectively. Second, computer was found to be the most effective tool for deaf students, and personal English learning contents and word cards, dictionaries and learning program for smart devices should be prepared. The smart devices for the schools were short of contents, and English education contents for deaf students should be developed to teach English effectively. The students thought that effective English education aid tools were computers and smart devices such as smart phone and tab. English education aid tool with smart devices should be developed to teach deaf students having great individual differences in practical and individual way. Third, the government supported smart classroom environment to promote smart education and to make change of learning devices and education materials quickly and to let more than 69% of students keep smart phones: Thus, smart devices became essential items of citizens in modern society. Smart devices could be useful for voice cognition, play of high capacity multimedia contents, user oriented interface and other visual education contents. Therefore, teaching and learning tools should be developed and used under smart learning environment. The study suggested effective English learning for deaf students:First, an in-depth analysis of inconvenience and problem for hearing-impaired students that have difficulty using English teaching aids for normal is needed to develop the user-optimized educational tool. Second, gathering the opinions about accessibility and need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learners is required prior to develop the English teaching aids and protype based on smart devices for hearing-impaired students. Finally, application of English learning for deaf students should include sign language expression of words in addition to existing dictionary function, movement of articulators for vocalization, and verification of speakers`` size of speech and exactness of pronunciation and other mutual reactions. Development of English learning application for deaf students based on smart devices under progress was likely to make use of it for learning of English, Hangul and other foreign languages.

      • 고급 렌더링 시스템 설계 및 구현

        이래경(Raekyoung Lee),백경임(Kyungim Baek),한훈(Hoon Han),정원영(Wonyoung Jung),어수만(Suman Eo),임인성(Insung Ihm) 한국정보과학회 1996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3 No.2A

        보다 사실적이고 흥미있는 고급영상에 대한 욕구의 증대와 가상현실에서의 고급 렌더링 기술의 요구 등으로 고급 렌더링 기술을 제공하면서도 사용자에게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렌더링 시스템의 개발이 필요로 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를 위한 고급 렌더링 시스템의 프로토타입을 설계하고 구현한 내용을 기술하였다. 기존의 렌더링 시스템에 비하여 확장성이 용이하고, 다양한 쉐이딩 모델을 제공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고 있으며, 보편적인 렌더링 모듈을 포함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 KCI등재

        Nutritional status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according to their body mass index percentile classification

        Kainat Ahmed,Hyo-Jung Kim,Kyungim Han,Jung-Eun Yim 한국영양학회 2021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54 No.5

        Purpose: Malnutrition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CP) is a significant factor affecting their adequate growth and development. This study aimed at conducting surveys and evaluating the dietary intake of children with CP according to their BMI classification and to thereby highlight the dietary factors affecting the nutritional status of these children. Methods: A total of 16 children were enrolled between the age of four and twelve. These subjects were further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namely underweight, normal and obese, with 6, 8, and 2 children in each group, respectively. The general characteristics, motor disturbances, body composition, feeding problems, eating habits, nutritional intake, dietary variety, and food frequency for children with CP were evaluated. Results: It was observed that motor disturbances tended to increase in underweight children with CP. A significant decrease (p < 0.05) in disturbances related to oral feeding was observed with an increase in obesity. The pattern of eating habits revealed that subjects in the underweight group consumed unbalanced meals, while those in the obese group tended to consume larger meals at a faster pace. The feeding disturbance data revealed that those in the underweight group could not prepare their meals while the obese group had the problem of overeating and consuming an unbalanced diet (p < 0.05). Conclusion: It is necessary for both children with CP, who have a high degree of disability, and their caregivers to take lessons on adequate nutrient intake to prevent malnutrition. Moreover, it is necessary for the caregivers and children with CP having a low degree of disability to take lessons on providing and consuming a balanced diet and to focus on the intake of sufficient calcium in order to prevent obesity.

      • KCI등재

        고급 렌더링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이래경,백경임,한훈,정원영,정효성,임권혁,박민식,임인성(Rae-Kyoung Lee),Kyungim Baek,Hoon Han,Won-Young Jung,Hyo-Sung Jung,Kwon-Hyuck Im,Min-Sik Park,Insung Ihm 한국정보과학회 1998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Vol.4 No.5

        컴퓨터 그래픽스의 핵심 기술중인 하나인 그래픽스 랜더링 툴킷 기술은 현실감 있는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렌더링 기술과 일반 사용자들이 그러한 렌더링 기능을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주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술을 포함한다. 본 연구에서는 3차원 그래픽스 기술을 사용하여 손쉽게 고급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고급 렌더링 시스템인 SGRT (SoGang Rendering Toolkit)를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SGRT 시스템은 C/C++, X, Motif, OpenGL, SGI 환경에서 약 3년여에 걸쳐 개발되어 왔는데 현재 약 6만 5천 라인의 C/C++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계속하여 그 기능을 확장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고급 렌더링 시스템으로서의 SGRT의 구조 및 기능들을 기술한다. 또한 방대한 양의 계산 시간을 요하는 렌더링 작업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주는 분산처리 기능과, 다수의 사용자들이 하나의 환경을 공유하여 편집 작업을 공동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주는 협력작업 기능에 대하여 설명한다. The rendering toolkit technique, one of the most important parts in computer graphics, includes rendering techniques for producing photo-realistic images, and user interface methods which help users explore such techniques effectively In this research, we have developed an advanced rendering system, called SGRT (SoGang Rendering Toolkit), designed for generating high-quality 3D rendered pictures. It has been developed for about three years in the environment of C/C++, X, Motif, and OpenGL, SGI, and amounts to roughly 65,000 lines of source codes. This paper describes the structures and functions of SGRT as an advanced rendering system. Then we explain how it has been extended to deal with distributed rendering and multi-user collaboration.

      • KCI등재

        코로나19 상황에서 특수학급 장애 학생 학부모가 경험한 원격수업의 실태와 인식 연구

        한경임 ( Han¸ Kyung-im ),권상희 ( Kwon¸ Sang-hee ) 한국특수아동학회 2021 특수아동교육연구 Vol.23 No.3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19로 인해 장애 학생 학부모가 경험한 원격수업의 실태와 원격수업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는 것이었다. 연구방법: 연구참여자는 K시에서 일반 학교 특수학급에 재학 중인 초, 중등 장애 학생을 양육하며 2020년 1년간 원격수업을 경험한 초등 장애 학생 학부모 6명과 중등 장애 학생 학부모 5명이었다. 연구방법은 반구조화된 면담 형식의 초점 집단 면담을 통해 수행되었으며 자료 분석은 질적 자료 분석 방법인 주제분석 방법에 따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갑작스럽게 시작된 원격수업은 가정에 부담이 되었다. 교과별 원격수업의 형태는 실시간 화상 수업, 과제물 수업, 녹화된 동영상 수업 등 다양하게 이루어졌다. 둘째, 학부모들은 코로나 19 상황에서 원격수업의 한계와 어려운 점과 불만족뿐만 아니라 효과성과 만족감에 대해서 다양하게 보고하였다. 셋째, 초, 중등 특수학급 장애 학생 학부모들은 원격수업의 다양화와 개별화, 교사의 역할 변화, 학부모의 역할 변화, 행정가의 역할 변화 측면에서 원격수업의 개선 의견을 제시하였다. 결론: 이상의 결과를 통해 나타난 원격수업의 실태와 경험 그리고 개선점은 향후 장애 학생들의 질 높은 원격수업이 이루어지기 위한 중요한 시사점과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on-line based classes experiences of parents with disabled students in the special classroom in COVID-19 situation. Method: This study was based on the focus group interview. The participants were 6 parents with disabled students on the elementary school and 5 parents with disabled students on the secondary school in Gyeongnam. Their age was over 40 years and under 50 years. The type of disability of their children was seven autism, three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one deaf. Results: First, the sudden beginning of on-line based class increased burden to parents. The type of on-line based classes was carried out variously using real time on-line classes, home assignment and recorded audiovisual teaching materials. Second, the parents told some limits, difficulties, dissatisfaction, and demerits of on-line based classes, and some effects and satisfaction and merits of on-line based classes in COVID-19 situation. Third, the parents suggested some improvement points including diversification of on-line based classes and individualization, the role change of teachers, parents and administrators.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provide lots of information on the on-line based class management in the special education fiel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