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糞尿와 都市 廢棄物과의 混合處理에 대한 硏究 (Ⅰ) : 肥料化를 中心으로한 實驗室的 考察 Experimental study for the fertilization

        金熙鐘,金相烈,金秀生,孫晋彦,金燦國,成周慶,吳英敏 동아대학교 환경문제연구소 1977 硏究報告 Vol.1 No.1

        우리나라에 있어서 都市廢棄物의 主인 糞尿와 固形廢棄物의 太宗인 無煙炭재를 同時에 效果的으로 處理할 수 있고 또한 堆肥化시킬 수 있는 好氣性 酸化方式의 最適條件을 얻기 위하여 生糞尿 및 煉炭재의 理化學的 및 生物學的 數値를 測定하고 이를 基礎로하여 上記 兩者를 混合處理 할수 있는 消化條件(溫度, 糞尿와 煉炭재의 配合比, 기타 固形物의 添加量, 注入되는 空氣量의 變化)에 따른 C.O.D., B.O.D.의 變化, 水分 및 電氣傳導度의 變化, 熱灼減量, N量의 變化 等을 硏究하였으며 이들 사이의 相關關係를 檢討하여 다음과 같은 結論을 얻었다. 1. 生糞尿에 固形廢棄物인 煉炭재나 紙類를 配合시켜 消化시키므로서 케이크속의 질소成分의 量을 增加 시킬수 있다. 2. 煉炭재의 配合은 糞尿의 消化速度를 增加 시킨다. 3. 糞尿의 處理를 위한 反應槽의 溫度는 50℃보다 60℃로 維持 시킬때 消化速度가 크다. 4. 反應槽의 溫度를 一定하게 했을때 空氣의 注入速度는 初期 反應時는 적게하고 後期 反應時는 크게 함이 效果的 이다. For the effective treatment and usable disposal of urban wastes in the area of Busan city, the composition of the nightsoil and anthracite bulky ash which is the main munic ipal solid wastes have been studied on the digestion of the compositive mixtures with the variable conditions that are ratio of compounding between nightsoil and ash, amount of solid additives and volume of air for the effective airation at 50, 65℃. The digestion has been detected by the physico-chemical and biological data; pH, specific gravity, content of moisture, C.O.D., B.O.D., electroconductance of the solution of the results, decrease of nition, and volume of total free nitrogen etc. The results are obtained as follows. 1) The characteristics of domestic nightsoil are different to the foreign data as table 5, but the data of anthracite ash almost are same except the composition of Fe₂O₃ and Al₂O₃. 2) Amount of total free nitrogen are increased by the digestion with the addition of solid waste, as effective absorption, to the nightsoil. 3) The digestion are accelerated by the compounding of ash, but the adding of sulfuric acid to fix the free ammonia reduced reaction. 4) The airation have to proceed slowly at initial step, and then endure enough volume of air at the later step.

      • 폴리에스테르 섬유 감량시스템용 프로세서 타이트레이터 개발

        조진호,이흥락,이종현,김명남,구성모,김무영,진경찬,유병희,강민수,김국진 경북대학교 센서기술연구소 1993 연차보고서 Vol.1993 No.-

        폴리에스테르 섬유 감량시스템의 제어를 위해서는 처리조 내에서 감량되는 섬유가 목표 감량치에 도달했는지를 판단해 주는 장치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가성소다용액의 초농도 및 섬유 감량 정도의 정확한 측정과 감량 종료시간의 산출 및 이에 따른 종료신호를 발생할 수 있는 폴리에스테르 섬유 감량기 전용의 자동적정장치를 개발하였다. To control caustic soda treatment system for the polyester fabric reduction, we need the device to determine that the fabric has been arrived target reduction value. In this study, we develope an automatic process titrator for the caustic soda treatment system. Major functions of the target titrating system are accurate measurements of the caustic soda concentration and then producing the end point signal for caustic soda treatment system.

      • KCI등재

        중증 만성정신질환자 수의 추산 : Through Two Community Surveys 두 지역사회 조사를 중심으로

        홍진표,김윤,배재남,정유진,강영호,양병국,김용익,김병후,이철,조맹제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8 신경정신의학 Vol.37 No.2

        국내 중증 만성정신질환자 수를 추정하기 위하여 일 농촌 및 대도시 지역의 지역의료보험 및 의료보호 대상자 중 1993년 1년간 의료기관에서 정신증 상병(ICD-9 code 상 290-299) 및 알콜 남용/중독, 성격장애 및 정신박약 진단하에 치료를 받은 적이 있는 사람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자들이 개발한 진단도구를 이용하여 진단을 평가하고, Strauss-Carpenter scale 등을 이용하여 기능 장애를 평가하고 유병기간 등을 조사하였다.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진단평가상 정신분열병군(61.1%)이 가장 많았으며, 정동장애군(23.7%), 알콜장애군(11.2%), 기질성 정신장애군(4.0%)의 순서이었다. 2) 직업활동정도는 진단군별로 차이가 많았다. 지난 1년간 직업활동이 6개월 미만이거나 전혀 없는 환자 비율이 정신분열병군은 67.2%, 알콜장애군 52.0%, 정동장애20.8%의 순으로 정신분열병군이 가장 불량하였다. 3) 사회활동도 진단군별로 차이가 많아서 지난 1년간 의도적, 사회활동이 없는 비율이 정신분열병군이 가장 높았고(72.3%), 알콜장애군(32.0%), 정동장애군(20.7%)의 순이었다. 4) 국내 의료보험 및 사회복지시설 이용 자료 등을 토대로 본 조사 결과를 적용한 결과 국내중증 만성 정신질환자의 수는 약 8만 7천명으로 추산되었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imate the number of serious and persistent mentally ill patients in Korea. Methods : Study populations were recruited from medical insurance data of two district areas ; one rural and the other urban areas. Subject were all mentally ill who had ever visited any hospital in 1993 and were diagnosed as having psychosis, personality disorder and drug abuse. We conducted a home visiting survey applying semi-structured diagnostic interview, assessing the level of social adjustment with Strauss-Carpenter Scale, and past psychiatric history by the trained researchers, in October and November,1994. Results : According to diagnostic assessment schizophrenic patients constituted the major portion(61.1%) of study subjects. The distribution of occupational functions and social contacts was variable according to diagnosis. Most schizophrenic patients were unemployed or worked less than 6 months in the previous year(67.2%), and showed poor social contact(72.3%). But affective disorder patients were relatively independent in job maintenance and social relationship. Alcoholic patients lay between those of schizophrenic and affective disorder groups. It was estimated that about 87,000 adult Koreans were suffering from chronic mental disorders which seriously interfere with their daily life. Conclusions : Serious and persistent mentally ill patients were common in Korea. Community support program should be provided for them.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 SCOPUSSCIEKCI등재
      • KCI등재

        농업용수 수질기준의 문제점 및 개선대책 : 외국사례와의 비교를 통해

        김진호,이종식,정구복,윤순강,고문환,심재천,권순국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 2003 韓國國際農業開發學會誌 Vol.15 No.3

        우리나라 농업용수 수질기준과 다른 국가 또는 농업관련 국제기구의 수질기준에 대한 비교분석을 통해 우리나라 농업용수 수질기준의 문제점 도출과 해결방안을 모색코자 본 연구를 수행하게 되었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우리나라 농업용수 수질기준은 관개용수 수질기준이 아니고, 수원보호측면의 수질기준이라 할 수 있다. 2. 우리나라 수질기준중 유기물지표가 하천과 호소에 따라 BOD와 COD로 이원화되어 있고, 특히 COD의 경우 산화제로 KMnO4를 사용함으로써 효과적인 유기물지표로 활용할 수 없는 실정이다. 농업용수로의 활용측면에서는 K₂Cr₂O_(7)을 이용한 COD를 기준으로 도입하는 것이 유기물 분해능 및 수중의 유기물지표로 활용하고 있는 국제적 데이터 일치를 위해서도 타당하다. 3. 우리나라 농업용수 수질기준은 캐나다와 FAO에서 제시하고 있는 염류에 대한 기준은 거의 없는 실정이다. 또한 양이온에 대한 기준도 없다. 염류의 기준이 모든 이온 존재의 가능성을 의미하므로, 실험치 및 외국문헌에 의한 1.0dS/m수준을 한계농도로 선정해야 한다. 4. FAO와 캐나다에서 사용하고 있는 축산용수에 대한 수질기준이 없다. 5. 관개용 농업용수가 농업(작물)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수원별로 수질기준이 다른 것이 큰 모순이다. 따라서 관계부처에서는 부처간의 이해를 떠난 수질기준을 설정해야 한다. 6. 우리나라 농업용수 수질기준의 모순점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농업의 안전성확보측면 위해 관개용수 수질기준과 축산용수 수질기준을 조속히 제정해야 할 것이다. Present problems and possible solutions on the Water Quality Standards for Agriculture in Korea, were identified in the study. Because the Ministry of Environment made the laws and standards without consulting the agri-scientists, among others, the water quality standards formulated were not suitable standards of FAO, Japan, Canada, and the likes. The BOD and COD are the organic materials indicators. In case of rivers, BOD are set for the indicator. And at reservoirs. COD are set. Especially. COD was analysed using KMnO₄It is not suitable oxidizing agent for COD. Because the oxidic capacity is very low. So, in most developed country, K₂Cr₂O_(7) is usually used to analyze COD. And the salts and cations are not belonged to the Korean Water Quality Standards for Agriculture. The water quality standards for agriculture have big differences among lakes, rivers and groundwater. To apply different standards by resources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water and crops is conflicting. So, to overcome the these problems, the suitable water quality standards for irrigation and livestock should be set.

      • KCI등재

        과학자에 대한 초등학교 일반 학생과 과학 영재반 학생의 인식 비교 분석

        김소형,박재일,정진수,이혜정,권용주,박국태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005 초등과학교육 Vol.24 No.1

        This study was designed to compare the understanding of ordinary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about scientists. 473 fourth, fifth, and sixth graders in ordinary elementary schools and 40 students attending scientific educational institutions for the gifted were studied with the help of questionnaires and interviews. The survey showed tha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subject groups in relation to the external images of scientists. The subjects turned out to have four fixed external images. The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had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internal images of scientists than ordinary elementary school students. Both the subject groups turned out to be influenced by the press media and off-campus education, thinking that scientists served as inventors producing something useful in daily life rather than as researchers studying natural phenomena or laws. It was found out that both groups admired Edison. The ordinary students respected Einstein and Jang Yeong-Sil whereas the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respected Curie, Jang Yeong-Sil, and Nobel. The subjects admired them because of their achievements instead of their backgrounds or individual characteristic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