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혈관질환 정보관리 시스템

        김동익,김덕경,허세호,이병붕,김용신,김은숙,문지영,도영수,신성욱,김동수,김만태,진재욱,김용신 대한혈관외과학회 2002 Vascular Specialist International Vol.18 No.1

        As medical technology progresses rapidly, there is a rise in the average age along with the Korean dietary lifestyle becoming more westernized, which leads to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vascular disease patients in Korea. Thus, we need to manage the medical information of a disease systematically in order to diagnose and treat constructively. However, since there has been no standardized method of man agement to date, a great deal of information could not be properly utilized nor studied. Therefore, the departments of Cardiology, Radiology and Neurology of Samsung Seoul Hospital recently got together to develop a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called the Vascular Data System. This program was developed to be run on win98 O/S, upper Pentium Ⅲ, and upper 128 MB Memory, and its source code is Dephi 4.0. It was configured for the user to set the configurations as well as do a variety of search and analysis. If this program were to be updated continuously, it may be used extensively as well as in various parts of clinical research activities.

      • KCI등재

        Surgical technique for single-port laparoscopy in huge ovarian tumors: SW Kim`s technique and comparison to laparotomy

        ( Jeong Sook Kim ),( In Ok Lee ),( Kyung Jin Eoh ),( Young Shin Chung ),( Inha Lee ),( Jung-yun Lee ),( Eun Ji Nam ),( Sunghoon Kim ),( Young Tae Kim ),( Sang Wun Kim ) 대한산부인과학회 2017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60 No.2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introduce a method to remove huge ovarian tumors (≥15 cm) intact with single-port laparoscopic surgery (SPLS) using SW Kim`s technique and to compare the surgical outcomes with those of laparotomy. Methods Medical records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for patients who underwent either SPLS (n=21) with SW Kim`s technique using a specially designed 30×30-cm2-sized 3XL LapBag or laparotomy (n=22) for a huge ovarian tumor from December 2008 to May 2016. Perioperative surgical outcomes were compared. Results In 19/21 (90.5%) patients, SPLS was successfully performed without any tumor spillage or conversion to multi-port laparoscopy or laparotom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atient characteristics, including tumor diameter and total operation time, between both groups. The postoperative hospital stay was significantly shorter for the SPLS group than for the laparotomy group (median, 2 [1 to 5] vs. 4 [3 to 17] days; P<0.001). The number of postoperative general diet build-up days was also significantly shorter for the SPLS group (median, 1 [1 to 4] vs. 3 [2 to 16] days; P<0.001). Immediate post-operative pain score was lower in the SPLS group (median, 2.0 [0 to 8] vs. 4.0 [0 to 8]; P=0.045). Patient-controlled anesthesia was used less in the SPLS group (61.9% vs. 100%). Conclusion SPLS was successful in removing most large ovarian tumors without rupture and showed quicker recovery and less immediate post-operative pain in comparison to laparotomy. SPLS using SW Kim`s technique could be a feasible solution to removing huge ovarian tumors.

      • KCI등재후보

        내관지압이 슬관절 전치환술 받은 노인 환자의 오심, 구토 및 통증에 미치는 효과

        유제복 ( Je Bog Yoo ),장희정 ( Hee Jung Jang ),나은희 ( Eun Hee Na ),김선영 ( Sun Young Kim ),신동수 ( Dong Soo Shin ) 경희대학교 동서의학연구소 2011 동서간호학연구지 Vol.17 No.2

        지압은 수직압, 지속압, 조화압으로 경혈을 찾은 다음 치료하는 사람의 체중을 실어서 위에서 아래로 누르는 방법으로 어깨에 불필요한 힘을 뺀 상태에서 자연스럽게 상체의 체중을 손가락에 집중을 시켜 수직으로 경혈을 보통 3-4초 정도 지속적으로 눌러 주는것을 말한다(East-west nursing research institute, 2000; Kim, 1999). 내관지압의 오심· 구토 경감 효과를 검증한 연구를 살펴보면, Alsaid 등(1997)이 수술 후 오심· 구토 감소에 효과가 있다고 보고하였고, Ming 등(2002)은 기능적 내시경 부비동 수술에 지압이 효과가 있다고 하였으며, Apfel 등(1999)은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유방암 환자에게 지압이 오심과 구토에 유의한 차이가 있다고 보고하였다. Kim. 2003). Kim (2003)의 연구결과 내관지압이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폐암 환자의 오심· 구토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 결과, 실험군에서 제2일과 3일에 오심 정도를 감소시키는 효과를 검증한 바 있다. 수술 환자의 자가 통증 조절기 사용은 최근 널리 적용되고 있는 통증완화를 위한 방법으로 자가 통증 조절기는 통증 완화를 위한 치료 효과는 높지만 오심· 구토는 대부분의 수술 후 자가 통증 조절기를 사용하는 환자들이 경험하는 심각한 불편감으로, 자가 통증조절기(PCA) 사용을 중단하게 되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Lee, 2006). 수술 후 오심, 구토는 통증보다 더욱 힘든 것으로 보고되고 있어, 이를 경감시켜 주기 위한 다양한 간호중재 전략의 개발이 요구된다Song & Shin, 1988). 본 연구는 슬관절 수술 환자의 자가 통증 조절기 사용 후 오심· 구토의 완화를 위해 내관지압을 적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함으로써 비 침습적이고 독자적인 간호중재로서 발전시키기 위해 시도되었다. 본 연구 결과에서 내관지압 제공 후 24시간에 구토영역과 오심·구토 전체 영역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이는 Lee (2008)의 중이수술 대상자에게 손목밴드 내관지압을 적용한 결과 마취 종료후 24시간에 오심· 구토의 전체영역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는 결과와 일치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오심 영역은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못하여 Kim (2003)의 연구에서 항암화학요법주기 제2일 오심불편감이 실험군과 대조군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는 결과와 일치하지 않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는 대상자의 차이에 의한 것으로 수술 환자와 항암요법대상자의 차이에서 비롯된 것으로 본다. Shin (2002)의 연구에서는 지압교육실험군에서 항암화학요법제투여 2일, 3일, 4일, 5일째 오심· 구토 정도가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내관지압 제공 후 12시간에서 유의미하게 구토영역에서 감소를 나타내기 시작하였다. 이는 대상자가 다르기 때문으로 판단되며 항암요법을 실시하고 있는 대상자보다 고관절치환술 후자가통증조절기를 보유하고 있는 대상자의 오심· 구토 정도가 상대적으로 항암 환자보다 낮은 정도이기 때문으로 본다. Lee (2002)의 연구결과 오심 정도는 제3일째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나 구토정 도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와는 차이를 나타내었다. 역시 항암요법을 받는 난소암 환자가 대상자이기 때문에 대상자의 차이로 인한 결과라고 본다. 따라서 앞으로 연구 시에는 동일대상자에 대한 반복연구가 필요함을 시사할 뿐 아니라 최초 효과발현 시기에 대해 다양한 대상자별 반복연구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 내관지압 제공 후 24시간 시점에서 두 군 간의 오심· 구토 전체 점수는 유의미하게 낮았고 특히 구토 횟수, 구토불편감, 구토 양은 통계적으로 낮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그러나 Lee (2008)의 연구에서는 마취종료 후 24시간에 오심· 구토 전체 점수에서 유의미하게 차이가 났다는 결과와는 일치하였으나 세부 하위영역에서 유의미한 영역은 차이가 있다. 즉, Lee (2008)는 특히 오심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어 본 연구결과와 일치하지는 않았다. 이는 대상자의 수술의 심각성 정도에 따라 차이를 나타낸 것으로 보인다. Shin (2002)의 연구에서 항암화학요법을 받은 위암 환자에게 내관지압이 하위영역 구토 횟수 감소에 유의한 효과를 나타냈다는 결과와는 일치하였으며 Kim 등(2007)의 연구와도 일치하였다. 이는 지압 제공 후 12시간보다는 24시간에 효과가 큰 것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지압의 효과가 축적되어 나타나는 것이라 본다. Kwon(2011)의 결과 갑상선절제술 환자에게 손목밴드를 이용한 내관지압을 적용하였을 때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오심· 구토 점수가 감소하였다는 결과가 있었고 Kim 등(2010)의 결과에서는 시간에 따라 오심감소가 유의미하게 있었으므로 앞으로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오심· 구토의 감소효과를 계속해서 연구할 필요가 있다. Aidah 등(2002)의 연구결과 24-48시간에 구토의 부작용이 가장 심하게 나타난다는 연구결과가 있었는데 이때 지압을 통해 구토영역이 유의미하게 낮은 점수를 나타낸 것은 대조군은 구토의 부작용이 지속되지만 실험군은 지압의 효과로 구토의 부작용을 최소화하였기 때문이라 볼 수 있다. 그래서 본 연구의 실험군에서도 24시간에 가장 구토영역의 유의미하게 낮은 점수를 나타낸 것으로 본다. 본 연구결과는 24시간 시점에서 집중적으로 오심· 구토를 중재할 수 있는 간호 중재의 요구도가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증거라고 본다. 그러므로 앞으로는 내관(P6)지압을 24시간 이후 48시간에도 계속 적용한 후 오심· 구토 정도를 확인하는 반복 연구가 필요하다. 내관지압의 통증감소효과에 대한 가설을 세웠으나 본 연구결과 통증에는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음을 보였다. 지압이 통증 감소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와 일치하지 않는 것을 보였다. Ju (2010)의 연구결과 경혈지압마사지가 요통 환자의 통증감소에 효과적이었다고 보고하였으나 이는 8주간의 장시간을 두고 효과를 검증한 것이었다. Shin (2004)은 자궁 적출술 환자의 통증 자가조절교육과 함께 내관지압을 실시한 실험군에서 통증감소효과가 있었다고 보고한 것과도 일치하지 않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는 본 연구에서 이미 대상자 스스로 통증치료를 위해 PCEA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통증에 대해서는 스스로 조절을 하는 부분이 더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본다. 그러나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PCEA를 착용하고 있으므로 이를 통한 통증약물 사용량을 함께 측정함으로써 통증 정도를 좀 더 정확하고 광범위하게 측정하여 통증 정도의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본다. 이상에서 논의한 바와 같이 본 연구는 수술 후 자가 통증 조절기사용 환자의 오심 및 구토, 통증 완화에 지압을 이용한 간호중재가 부분적으로 오심· 구토 감소에 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을 검증하였으므로 임상에서 내관(P6)지압을 간호중재의 하나로서 적극 활용할 것을 제안한다. Purpose: Patient-controlled epidural analgesia (PCEA) is an effective method for controlling post surgical pain. However, it is associated with adverse drug reactions such as nausea and vomiting. In this, study we tested the effects of Nei-Guan (P6) acupressure on PCEA-associated nausea, vomiting, and pain in geriatric patients after total knee replacement arthroplasty (TKRA). Methods: Ninety-nine patients who had TKRA for the first time were randomly assigned to either, experiment group (n=50) or control groups (n=49). All patients received PCEA immediately after surgery, but acupressure on Nei-Guan (P6) point was applied to experiment group only. Ten minutes of finger acupressure on Nei-Guan (P6) acupressure point was applied twice with 15 minute-interval in the experiment group. The incidence of nausea, vomiting, and retching as well as pain intensity were assessed at 12 and 24 hours after surgery. Nausea, and vomiting were assessed by Index of Nausea, Vomiting and Retching (INVR) questionnaire. Pain intensity was measured with frequency of analgesics. Results: Vomiting both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wo groups at 12 hours (t=-2.18, p=0.03) and 24 hours (t=-2.64, p=0.01) after surgery. Total scores of nausea, vomiting and retching in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control group 24hours after surgery (t=- 2.18, p=0.03). However, pain was not different between two groups. Conclusion: Nei-Guan (P6) acupressure may be considered as an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 to decrease PCEA-associated nausea and vomiting in older patients after TKRA.

      • KCI등재후보

        양식산 터봇, Scophthalmus maximus에서의 Irido-like virus 감염

        김위식,김기홍,김춘섭,김영진,정성주,정태성,신이치, 키타무라,마모루, 요시미즈,오명주 한국어병학회 2003 한국어병학회지 Vol.16 No.3

        본 연구는 병리조직학적 및 전자현미경적 방법을 통해 양식산 turbot에서 발생하는 irido-like virus의 감염증을 소개하고자 한 것이다. 2003년 6월 전북 고창 소재 육상수조에서 양식중인 turbot치어에서 50∼70%의 대량폐사가 발생하였다. 병어는 사료섭취가 저하되고 힘없이 유영하다 폐사되었으며, 죽기 직전의 어류는 복부가 팽만되고 안구가 돌출되며 체색이 옅어지는 증상을 보였다. 해부학적 조사 결과, 아가미 빈혈과 간이 퇴색되어 있었으며, 특히 비장조직이 심하게 비대되어 있었다. 병어에 대한 조직학적 검사에서 비대 세포를 특징으로 하는 특이 병변이 주로 신장과 비장의 조혈조직에서 관찰되었으며, 아가미, 심장, 위, 장, 간, 췌장, 지방 조직에서도 관찰되었다. 그리고 전자현미경적 관찰 결과, 비대 세포의 세포질내에서 육각형의 지름이 136∼159 ㎚인 Irido-like virus를 관찰할 수 있었다. The high mortality of cultured juvenile turbot, Scophthalmus maximus occurred in Gochang on June, 2003. The diseased fish was lethargic with reduced feed intake. Grossly, these fish showed pale body, abdominal extension and exophthalmia. The dominant internal gross features of diseased fish were severely enlarged spleen, pale gills and or liver. Diseased fish histologically showed basophilic enlarged cells in the kidney, spleen, gill, heart, stomach, intestine, liver, pancreas and adipose tissue.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EM) reveled hexagonal virions in the cytoplasm of necrotic cells. The viral particles lead a central electron-dense core and an electron translucent zone, and were 136-159 nm in diamet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virus belonging to the iridoviridae was responsible for the mortality of cultured juvenile turbot.

      • KCI등재

        신경회로망에 의한 용접 결함 종류의 정량적인 자동인식 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김재열,김영석,김병현,유신,김훈조,정진홍 한국공작기계학회 1997 한국생산제조학회지 Vol.6 No.1

        A neural network approach has been developed to determine the depth of a surface breaking crack in a steel plate from ultrasonic backscattering data. The network is trained by the use of feedforward three-layered network together with a back-scattering algorithm for error correction. The signal used for crack insonification is a mode converted 70˚ transverse wave. A numerical analysis of back scattered field is carried out based on elastic wave theory, by the use of the boundary element method. The numerical data are calibrated by comparison with experimental data. The numerical analysis provides synthetic data for the training of the network. The training data have been calculated for cracks with specified increments of the crack depth. The performance of the network has been tested on other synthetic data and experimental data which are different form the training data.

      • Polycaprolactone(PCL)/탄산칼슘 복합체의 물성 및 내후성 연구

        김영진,신창호,신부영 영남대학교 공업기술연구소 1999 工業技術硏究所論文集 Vol.27 No.2

        Polycaprolactone(PCL)/Master Batch(MB) composite was made by blending PCL and MB. The major component of MB is calcium carbonate(CaCO3). Wheatherability, thermal properties, mechanical properties and water absorption were investigated in PCL/MB composite. Stress and strain at break were decreased but Young's modulus was comparatively maintained as the time of outdoor exposure was increased.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PCL/MB composite were decreased as the content of MB was increased and the parallel samples were better than transverse samples in stress at break, strain at break and Young's modulus. The melting temperature of PCL/MB composite was about 57℃. The water absorption of PCL/MB was higher than PCL. but the change of water absorption by the content of MB could be ignored because the total water absorption of PCL/MB composite was not reached at 1%.

      • SCOPUSKCI등재

        Impact of lifestyle factors on trends in lipid profiles among Korean adolescents: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s study, 1998 and 2010 Shin-Hye

        Kim, Shin-Hye,Song, Young-Hwan,Park, Sangshin,Park, Mi-Jung The Korean Pediatric Society 2016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59 No.2

        Purpose: Only a few studies have explored nationwide trends in lipid profiles among Asian adolescents. We aimed to assess trends in lipid profiles and the associated lifestyle factors among Korean children. Methods: We analyzed data for 2,094 adolescents who were aged 10-18 years and had participated in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s in 1998 and 2010. Results: During 1998-2010, the prevalence of obesity significantly increased in boys, but no changes were observed in girls. Over this period, there was a small but significant decrease in the mean lowdensity lipoprotein (LDL)-cholesterol level in boys (1998, 87.5 mg/dL; 2010, 83.6 mg/dL; P=0.019) and mean triglyceride levels in girls (1998, 90.8 mg/dL; 2010, 85.8 mg/dL; P=0.020). There were no significant changes in the prevalence of dyslipidemia in boys, but a modest decrease was noted in girls (1998, 25.1%; 2010, 18.3%; P=0.052). During the study period, the prevalence of breakfast skipping decreased, whereas that of regular exercise increased in both groups. Daily total energy intake did not change between these years. In multivariable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breakfast skipping was associated with increased risk of hyper-LDL-cholesterolemia in boys (odds ratio [OR], 5.77) and hypertriglyceridemia (OR, 2.27) in girls. Regular exercise was associated with decreased risk of hypo-HDL-cholesterolemia (OR, 0.40) in boys. Conclusion: Although the prevalence of obesity in boys increased, favorable or constant trends in lipid profiles were observed among Korean adolescents during 1998-2010. Decrease in breakfast skipping and increase in regular exercise may have contributed to these trends.

      • 만성 견비통에 대한 동씨침 치료의 무작위 대조군의 임상 연구

        김찬영,권나현,신예지,남동우,김건형,김종인,최도영,이윤호,이재동 WHO COLLABORATING CENTRE FOR TRADITIONAL MEDICINE 2007 東西醫學硏究所 論文集 Vol.2007 No.-

        Objectives : To observe the effect of acupuncture treatment in chronic shoulder pain patients. Methods : 36 voluntary patie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an acupuncture treatment group(E GrouP, n=18) and a control group(C GrouP, n=18). The E Group patients received acupuncture treatment on LI_(15), TE_(14), GB_(21) and Master Dong's acupuncture points, Shin-gwan and Gyun-joong, twice a week for four weeks. The C Group patients received no treatment. All patients in both groups were instructed to practise self exercise in their daily lives. Evaluations were made at baseline and after four weeks of study. The Constant Shoulder Assessment(CSA), Shoulder Pain and Disability Index(SPADI) and the patient's subjective pain was measured by Visual Analogue Scale(VAS). The obtained data was analyzed. Results '. The E Group showed significant(p<0.05) improvement in CSA, SPADI and VAS after four weeks of treatment. The C Group showed significant(p<0.05) improvement in CSA, but the change of SPADI and VAS was insignificant(P>0.05). CSA and SPADI of E Group significantly(p<0.05) improved compared to the C GrouP, but the difference of VAS change in the two groups was insignificant(p>0.05). Conclusions : Four weeks of acupuncture treatment significantly improved CSA, SPADI and VAS. The improvement of CSA and SPADI was significant(p<0.05) compared to untreated pati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