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협력적 계획의 실행에 관한 연구: 미국 위스콘신을 사례로

        김륜희,최상희,왕경순,김두환,윤인숙,Kim, Ryoon-Hee,Choi, Sang-Hee,Wang, Kyung-Soon,Kim, Doo-Hwan,Yoon, In-Sook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2014 LHI journal of land, housing, and urban affairs Vol.5 No.2

        도시개발에 따른 외부효과 발생을 최소화하고 개발의 편익을 주변지역으로 확산하고자 하는 사회적 요구가 증가하면서 다양한 협력적 계획방식에 대한 논의가 증가하고 있다. 장기적으로는 협력적 계획을 뒷받침할 수 있는 법규 및 제도정비가 필요한 사항이지만 이에 앞서 미국사례의 협력적 계획이 실행될 수 있는 요소, 절차, 방법론 고찰을 통해 단일 행정구역 뿐만 아니라 여러 지자체에 걸쳐 도시개발이 이루어지는 복합경계신도시 등에 적용 가능한 협력적 계획의 대안과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는 미국 위스콘신주의 사례조사 및 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먼저 다수 지자체 경계 구역 내 공동계획구역을 설정하여 복합경계신도시 등과 같은 특수지역에 협동계획을 위한 구역 설정이 필요하며, 이를 위한 도시 계획적 수단이 마련되어야 한다. 이와 함께 협력계획의 유연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생활권 단위의 계획단위 설정과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제도적 운영체계가 마련되어야 한다. 또한 지역의 성장으로 인하여 발생한 수익은 공동세를 통하여 약정된 비율로 각 지자체에 배분하는 등 소규모 지역에서의 서비스 공유 및 공동세를 운영하는 방안도 협력계획의 실천력을 확보하는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함께 협력적 거버넌스 구축을 위해서 계획단계에서부터의 이해관계자 참여와 중재인을 통한 갈등관리 방안이 마련되어야 하며, 도시기본계획 수준에서 협력계획의 실행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As social needs are increasing to minimize the occurrence of external effect due to urban development and to diffuse the benefits of development to surrounding areas, diverse cooperative planning methods are increasingly being discussed. In the long term, laws and systems need to be refined to support cooperative planning, but prior to such development, elements, procedures, and methodologies wherein cooperative planning in U.S.A cases could be implemented were examined to derive the alternative to and implications of cooperative planning that can apply not only to single administrative districts but also to complex boundary new towns being developed by various local governments. This paper surveyed and analyzed the cases of Wisconsin State of the U.S.A, thereby deriving the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joint planning areas should be established within the boundary area of various local governments to establish cooperative planning areas in special areas such as complex boundary new towns, and to this end, urban planning means should be prepared. Together with such efforts, to boost the flexibility of cooperative planning, life sphere unit-based planning unit should be established, and a well-organized operation system to activate communities should be prepared. Also, revenues, generated through regional growth, should be distributed to individual local governments through joint tax according to the agreed-upon ratios, and as such, measures to share services and operate joint tax in small-size regions should be secured. Together with such efforts, to establish cooperative governance, measures to manage conflicts through the participation by stakeholders and arbitrators should be prepared from the planning stage, and measures for implementing cooperative planning at the level of basic urban planning should be prepared.

      • KCI등재후보

        도시재생사업의 모니터링 및 평가방안 연구: 선도지역을 사례로

        김륜희,이종근,이삼수,Kim, Ryoon-Hee,Lee, Jong-Gun,Lee, Sam-Su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2015 LHI journal of land, housing, and urban affairs Vol.6 No.1

        본 연구는 도시재생사업이 본격적으로 추진됨에 따라 도시재생전략계획 수립, 도시재생활성화지역 지정, 그리고 도시재생활성화계획 수립에 필요한 기초 DB 구축 및 도시재생사업의 평가 모니터링 방안 도출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과정은 13개 선도지역의 공모제안서 및 13개 선도지역 중 도시재생활성화계획을 수립하고 있는 4개 지역(서울, 창원, 부산, 영주)의 도시재생활성화계획(안)을 토대로 기초 DB 및 평가 모니터링 지표를 검토하였다. 연구결과 선도지역 도시재생사업의 평가모니터링을 위해서 다음과 같은 방안이 도출되었다. 첫째, 도시재생사업의 원활한 추진을 위한 재생전략 활성화계획 수립을 지원하고, 나아가 재생 활성화 사업과 각종 도시재생사업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종합정보체계가 필요하다. 둘째, 도시재생사업 진행에 대한 모니터링이 보다 제도화되어야 한다. 셋째, 전략계획 및 활성화계획의 수립과정에서 도시 또는 군기본계획 관리계획과 연계성 확보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상향식(Bottom-up) 도시재생사업에 적합한 모듈화 계획의 도입과 평가가 필요하다. This study is significant by suggesting the plan of urban regeneration strategy, selection of vitalization area and build basic DB for establishing a plan of urban regeneration vitalization and draw measures to evaluate and monitor as urban regeneration project is promoted in earnest. For the process of study, basic DB and evaluation monitoring index were examined based on collaboration proposal of 13 leading areas and (the agenda of) the plan of urban regeneration vitalization in 4 areas(Seoul, Changwon, Busan, Yeongju). This study can be concluded as follows; First, general information system which can support regeneration strategy vitalization plans for smooth promotion of the project and manage regeneration vitalization project and all kinds of city maintenance projects systematically are necessary. Second, monitoring of regeneration project should be firstly institutionalized. thrid, it's necessary to secure that city or county foundational management plan and the relations during the establishment of strategic vitalization plan. Finally, it's necessary to introduce and evaluate modularized plan suitable for Bottom-up regeneration project.

      • Institutional Characteristics of Regional Innovation System in Korea

        Kim Ryoon-Hee(김륜희) 한국도시행정학회 2006 한국도시행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 No.-

        This study analyzes the institutional characteristics of regional innovation systems in Korea. So,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a regional innovation systems approach and how this approach has been institutionalized in Korea. First, the theoretical backgrounds and the practical conditions of regional innovation systems have been examined simply. Then, some characteristics drawn out from the institutionalization process of regional innovation systems in Korea have been identified. Here, the institutionalization means that the institutions that have a powerful influence on the actors in regions are made and put into practice. That is to say, the institutionalization includes how regional innovation systems in western societies have been adapted in Korea and through what institutions they have been implemented.

      • 지역혁신체계 접근방법의 실행조건

        김륜희(Kim, Ryoon-Hee) 한국공간환경학회 2006 공간과 사회 Vol.26 No.-

        1990년대 말부터 지역혁신체계 접근방법은 새로운 지역발전전략으로서 주목을 받았다. 그런데 이를 실행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조건들이 고려되어야 한다. 첫째, 지역혁신체계 접근방법은 지역적 수준에서 제도적 맥락을 중시하는 데 이는 지역의 거버넌스 수준에 따라 달라진다. 둘째, 지역혁신체계 접근방법은 공간적 근접성을 강조하지만 공간적 근접성이 존재한다고 해서 모든 지역에서 체계적 혁신이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므로 관계적 근접성의 개념을 고려하여야 한다. 셋째, 지역혁신체계는 폐쇄성과 고착의 문제를 야기할 수 있으므로 지역 외부의 자원을 잘 이용할 수 있는 다층적 거버넌스가 필요하다. Regional innovation systems has absorbed public attentions as a new regional development strategy, but several conditions should be considered for the implementation of such strategies. First, the institutional context of a region is very important but it depends on the level of the local governance. So, the level of local governance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s. Second, in regional innovation systems, the spatial proximity is very important but it doesn’t inevitably result in the systematical innovation. So, The concept of ‘relational’ proximity should be introduced. Third, regional innovation systems can bring about the problem of closeness and lock-in. So, the ‘multi-level’ governance is needed to use resources of the outside of the region.

      • KCI등재후보

        참여정부 국가균형발전전략의 제도적 특성

        김륜희(Kim, Ryoon Hee) 한국공간환경학회 2007 공간과 사회 Vol.27 No.-

        참여정부는 국가균형발전을 이루는 주요한 정책적 수단으로 지역혁신체계의 구축을 제시했다. 이러한 국가균형발전전략의 제도화 과정은 이론적으로 지역혁신체계 접근방법과 연결되어 있으나 이전 제도적 배열(발전국가 등)의 영향으로 실질적인 제도적 전환을 이루지 못했다. 또한 국가균형발전전략의 제도화 과정은 시민참여의 부재, 광역자치단체의 권능 강화, 수도권 대 지방의 대립양상, 재원확보 부족 등의 문제들을 내포함으로써 새로 형성된 제도의 실효성 측면에서 도 한계를 보였다. In Korea, the regions didn’t form as the result of the socio-cultural identification process, but as the institutional arrangement to support the economic growth of the developmental state. 2. Regional innovation systems has not been introduced as a endogenous development strategy of region, but as one of the national Agenda. 3. Even though the necessities of participation of civil society were increased, the institutionalization process in Korea didn’t guarantee the civil participation. 4. The institutional changes resulted in the increase of the power of regional governments in Korea. 5. In institutionalization process, the conflict between the Greater Seoul Metropolitan Area and other regions has been revealed.

      • KCI등재후보

        위례신도시 기반시설 통합관리 우선순위에 관한 연구

        최상희,김륜희,김두환,Choi, Sang-Hee,Kim, Ryoon-Hee,Kim, Doo-Hwan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2017 LHI journal of land, housing, and urban affairs Vol.8 No.3

        Wirye New Town is constructed as a new complex city with three municipalities. Infrastructure must be managed by administrative districts, but integrated management is also needed when considering the planned identity and efficient management and operation aspects of a new tow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why the integrated management of infrastructure is needed, to form a consensus of stakeholders and to set priorities of integrated management considering characteristics of each facility. This thesis analyzes the order of priorities for integrated management of the infrastructures in Wirye New Town. The study includes an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survey that asked 95 local city officials and experts in city planning about important values to consider, such as efficiency, equity, and identity, for the integrated management of infrastructures in Wirye New Town. Another survey requested these same people to identify the priorities for integrated management in terms of different infrastructure typ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ose who were surveyed considered efficiency(0.442) to be the most important value for integrated management. Equity was deemed to be the next most important(0.369), followed by identity(0.190). The second step in the AHP survey revealed that "efficiency of management governance" (0.202) was considered to be the most important, then "equity of infrastructure quality among the sub-regions" (0.155), and finally "efficiency for improvement of quality and quantity of services" (0.133). The results of the survey about the priority for integrated management among infrastructure types and AHP shows that 'specialized facilities', 'Space facilities located in more than two municipalities', and 'linear facilities located in more than two municipalities.' are important.

      • KCI등재후보

        도시관리계획에 의한 대규모 도시지역 확장의 실태와 시사점

        윤정중,김륜희,최상희,Yoon, Jeong-Joong,Kim, Ryoon-Hee,Choi, Sang-Hee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2010 LHI journal of land, housing, and urban affairs Vol.1 No.1

        이 글의 목적은 도시관리계획 변경을 통한 대규모 도시지역 확장의 현황과 문제점을 살펴보고 향후 계획수립 시 고려할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 글에서는 양주시, 김포시, 화성시 등 3개 시를 사례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도시 지역의 적절한 규모를 선정하기 위해서는 도시기본계획 수립단계에서부터 합리적인 인구계획과 공간구조 및 토지이용계획이 수립되어야 한다. 또한, 개발욕구에 따른 무리한 확산 및 비계획적 개발을 방지하기 위해 도시관리계획 수립 시 도시성장관리방안이 함께 검토되어야 한다. 둘째, 경계설정에 대한 불필요한 논란을 줄이기 위해서는 계획 입안 시 또는 계획결정과정에서 일반적으로 거론되고 있는 경계설정과 용도지역관리 등의 기준들을 관련지침에 명시하여 제시할 필요가 있다. 셋째, 도시지역으로 새로 편입되는 지역의 난개발 방지대책의 수립은 도시의 건전한 발전과 관리를 위해서 매우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한다. 또한 비도시지역의 경우 시가화예정용지 또는 제2종지구단위계획 물량을 활용하여 기존공장 및 신규입지를 집단화하도록 유도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e paper is to research issues and implications on a large-scale enlargement of urban area in city management plan. This study investigated laws and regulations in force and carried out case study for three cities such as Yangju-si, Gimpo-si, Whaseong-si. As a result of analysis, three points at issue were abstracted and improvement ideas for each of them were suggested as follows. First, to set up adequate size of urban area, it is necessary to consider resonable planning for population, spatial structure, zone of life and land use in city comprehensive plan and city management plan. Second, to decrease arguments about scope and bounds of urban area, it is important to make general and specific guidelines to set up them. Third, to manage new urban area and its surroundings efficiently, it is necessary to subdivide zoning of non-urban area strictly, to restraint individual location of factories or cattle sheds, to make a proper infrastructure plan in advance, to administer strongly the permission of development behavior and to control strictly consecutive and joining development in non-urban area.

      • KCI등재

        광역경제권 거버넌스 발전을 위한 제언

        김두환(Kim, Doo-Hwan),김륜희(Kim, Ryoon-Hee) 한국공간환경학회 2010 공간과 사회 Vol.33 No.-

        MB government introduced a strategy of 5+2 Economic Regions for the new regional development policy replacing the last government’s the Balanced National Development policy. The main programs of the new regional development strategy are implementing key infrastructure projects, building institutional bases for the key infrastructure projects, and establishing governance systems for the Economic Regional Development. This study proposed a developmental direction of governance of the Economic Regions focused on the Capital Economic Region: critically reviewed the status, participants, scope of agenda, and management style of the governance and suggested some preliminary proposals for improving that. 이명박 정부는 참여정부의 국가균형발전전략을 대체하는 지역발전전략으로서5+2 광역경제권을 제시하였다. 5+2 광역경제권의 추진전략은 관련 기반 구축,선도 프로젝트 추진, 추진체계 확립이며 이중 추진체계 확립을 위해서 광역경제 발전위원회를 설치하고 광역경제권발전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본 연구는 수도권광역경제발전위원회를 사례로 광역경제권 거버넌스의 발전방향을 제시한 연구다.거버넌스의 위상, 참여 주체와 의제 범위, 운영방식 측면에서 문제와 대안을 제시하고, 향후 논의사항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후보

        복합경계 신도시의 협력적 관리 방안에 관한 연구: 위례신도시를 사례로

        최상희,김두환,김륜희,윤인숙,Choi, Sang-Hee,Kim, Doo-Hwan,Kim, Ryoon-Hee,Yoon, In-Sook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2013 LHI journal of land, housing, and urban affairs Vol.4 No.4

        최근 도청 이전 신도시, 위례신도시 등 두 개 이상 지자체를 포함하는 신도시(복합경계신도시) 개발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현행 도시개발제도는 단일 지자체 신도시를 대상으로 하고 있어, 복합경계 신도시의 개발과 관리를 위한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 다층적 거버넌스(Multi-level governance) 개념은 광역지자체와 기초지자체가 포함된 위례신도시에서 갈등이슈를 파악하고, 개발사업자와 주민까지 참여하는 협력 대안을 모색하는데 유리한 개념틀을 제공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위례신도시를 사례로 다층적 거버넌스(Multi-level governance)의 개념틀을 활용하여 복합경계신도시의 개발과 관리 운영 과정에서 발생하는 갈등이슈를 파악하고, 협력적 관리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관련자 및 전문가 인터뷰, 문헌연구, 전문가 포럼 등을 진행하였으며, 도시개발 관련 선행연구와 경제자유구역 등 유사사례로부터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위례신도시 개발 관리의 주요 부문을 학교 학군, 행정서비스, 공급처리시설, 도시기반시설로 구분하고, 각 부문별 갈등이슈를 분석하여 갈등구조를 파악하였다. 둘째, 위례신도시는 복합경계 신도시로서 행정구역 별 분리 관리와 통합 관리간의 대립, 광역적 관리 대 국지적 관리가 갈등의 기본축을 형성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위례신도시의 협력적 관리를 위해서는 최소한 지자체 행정협의회, 지자체조합, 전문관리기구의 세 가지 차원에서 Multi-level governance를 구성하여야 한다는 점을 향후 관리방안으로 제시하였다. Recently new town development projects are increasing including more than one local government such as provincial government new town and Wirye new town. Institution improvement for the development and management of complex boundary new town is necessary because present urban development institution is based on the new town of single local government. The concept of multi-level governance provide good conceptual frame in recognizing conflict issues and searching for a collaborative solution in Wirye new tow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recognizing the conflict issues in the process of development and management and providing the collaborative management method using the conceptual frame of multi-level governance in Wirye new town. For this, we did interviews for the related persons and experts, reference research and professional forum. We drew some implications from the references about urban development and similar cases such as free economic zone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is as in the following. First, we categorised the main conflicts in the development and management in Wirye into 4 sectors, such school, administrative service, utility facilities and urban infrastructures. Then, we analysed the conflict issues of each categories and composed a conflict-structure of Wirye new town. Second, the structure of conflict in Wirye new town is composed of the confrontations between separated management and integrated management and between wide area management and local management. Third, for the cooperative management of Wiyre, we should construct multi-level governance in three dimensions of administrative council, local government association, and special management organization.

      • KCI등재

        녹색도시 조성을 위한 법,제도 개선방안

        이미홍 ( Mi Hong Lee ),김륜희 ( Ryoon Hee Kim ) 한국환경법학회 2011 環境法 硏究 Vol.33 No.2

        집중적인 에너지 소비처로써 기후변화의 원인이 되고, 다양한 성장 동력을 보유한 도시는 녹색성장 정책에서 가장 중요한 분야 중 하나이다. 이 논문의 목적은 녹색도시 조성과 관련하여 그간 활발히 논의되지 못한 제도적 측면에서 현행 존재하는 법제도의 현황을 파악·분석하고 제도개선 방향을 도출하는 것이다. 연구 결과 자기 영역만을 규율하는 법제도, 분산되고 다기화된 주무관청, 계획요소별 개별법령 중심의 법제, 인센티브 제공 미흡, 지방의 자율적인 권한 미비 등이 주요한 문제점으로 도출되었다. 제도개선 방안으로는 저탄소 녹색성장기본법의 개정(녹색도시 추가), 국토계획법 중심의 녹색법제 통합, 개별법의 녹색성 강화, 녹색도시 조성의 실행력을 높이기 위한 인센티브의 확보 등을 제시하였다. Urban planning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ields in green growth policies because citizens consume huge amount of energy and there are various dynamic forces for green growth in cities at the same time. Accordingly, this study does not only aim at analyzing current legal situation but also presenting alternatives in terms of institutional framework. The results show several problems: fragmented law and authorities, poor incentives, and inadequate sovereignty of local governments. Several alternatives are suggested. The concept of ``green urban planning`` should be included in the Green Growth Act. ``A Greenness`` should be also integrated to National Land Planning Act and reinforced in each acts. In addition, national government needs to provide local governments and private entities with various incentives to enhance institutional feasibility.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national government to propose act amendments for green urban planning and provide local government with various types of incentiv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