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체계적 측정오차를 포함한 반응변수의 회귀모형 추론

        송주원(Juwon Song) 한국자료분석학회 2021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3 No.6

        회귀분석을 실시할 때 측정된 자료는 오차 없이 정확히 측정되었다고 가정하는 게 일반적이다. 하지만 실제 자료는 정확한 측정이 어려워 오차를 포함하여 측정되는 경우가 발생하며 이를 무시한 채 회귀분석을 실시한다면 회귀계수의 추정량에 편향이 발생할 수 있다. 회귀분석의 경우 설명변수가 오차를 포함하여 측정된 경우를 흔히 가정하지만 반응변수가 오차를 포함하여 측정된 경우에도 이를 보정하는 다양한 방법들이 제안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Nab et al.(2019)이 제안한 측정오차를 포함한 반응변수에 대한 선형 회귀분석에서 회귀계수의 보정 방법을 고려하였다. 특히 반응변수에 대한 체계적 측정오차 모형 하에서 선형 회귀분석의 회귀계수 보정 추정량의 특성을 살펴보았는데 이 추정량은 일치추정량이지만 불편추정량이 아니므로 유한표본에서는 편향이 발생할 수 있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을 파악하기 위하여 모의실험을 실시하였다. 표본의 크기가 커짐에 따라 기울기 계수의 추정량에서 편향이 줄어들 뿐 아니라 분석 모형의 회귀계수값, 체계적 측정오차 모형의 회귀계수값, 분석모형의 결정계수, 체계적 측정오차 모형의 결정계수에 따라 편향 정도가 달라짐을 확인하였다. 또한 보정추정량에 대하여 델타방법을 사용하여 계산한 신뢰구간은 신뢰수준이 매우 높게 나타났다. Regression analysis assumes that variables are measured without errors. However, real data may include measurement errors due to various reasons, and it can cause bias in the estimation of regression parameters. Many researches have been conducted to adjust the bias of the regression parameters when the response variable is measured with errors. In this study, we consider the bias correction method suggested by Nab et al. (2019). Under the systematic measurement error model, it was shown that the bias corrected estimator of the linear regression parameters are consistent but biased. In this study, a simulation was conducted to evaluate performance of the suggested bias corrected estimator under the finite samples. It was found that the bias of the slope parameter was affected by the sample size, the size of the regression parameter in the analysis model, the size of the parameter in the systematic measurement error model, th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in the analysis model as well as in the systematic measurement error model. The coverage of the 95% confidence interval was very high when the delta method was applied for the bias corrected estimator.

      • KCI등재

        차원축소를 통한 결측자료의 군집분석

        송주원(Juwon Song) 한국자료분석학회 2020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2 No.2

        군집분석은 유사한 특성들을 지닌 관측값들을 같은 군집으로, 다른 특성들을 지닌 관측값들은 서로 다른 군집으로 분류하는 분석 기법이다. 많은 변수를 포함한 고차원 자료에서는 일반적인 군집분석 대신 차원축소를 통하여 군집분석을 실시하는 방법들이 제안되어 왔다. 주성분 분석을 통해 차원을 축소한 후 축소된 차원에서 군집분석을 실시하는 직렬분석 방법보다 차원축소와 군집분석을 결합하여 동시에 실시하는 방법들이 더 우수한 성능을 보인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한편, 대부분의 자료는 결측값을 포함하고 있는데 결측값이 포함된 자료에 대하여 군집분석을 실시하는 경우 불완전하게 관측된 자료들은 어느 군집으로도 분류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군집분석을 실시하기 전에 먼저 결측값 대체를 실시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고차원 결측자료에 대하여 차원축소를 통한 k-평균 군집분석을 실시할 때 결측값 대체를 결합하여 실시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 방법은 군집 정보를 이용한 결측값 대체를 통해 정확한 차원축소를 통한 군집분석이 가능하게 하는 장점을 지닌다. 제안된 방법은 모의실험을 통해 성능을 평가하였고 결측값을 대체한 후 대체된 자료에 대하여 차원축소를 통한 군집분석을 실시하는 직렬식 분석방법과 비교하였다. 제안된 방법은 적절한 차원축소를 통한 k-평균 군집분석을 실시한다면 직렬식 분석보다 오분류율이 낮게 나타났다. Cluster analysis classify similar observations into the same cluster and different observations into different clusters. When data include many variables, reduced dimension clustering methods have been suggested instead of the standard clustering methods. The joint analysis of dimension reduction and clustering is known to perform better than tandem analysis that sequentially conducts dimension reduction and clustering. On the other hand, most data include missing values. When cluster analysis is conducted with incomplete data, incomplete observations can not be classified into any group. To avoid this problem, it is common to impute missing values before conducting cluster analysis. In this study, we suggest a method for combining dimension reduction k-means clustering and missing data imputation. The suggested method has an advantage to accurate classify observations through imputation using cluster information. A simulation is conducted to evaluate performance of the suggested method and compare the result with the one based on tandem analysis. The suggested method using an appropriate dimension reduction k-means clustering showed lower misclassification rates than tandem analysis.

      • KCI등재

        측정오차로 인한 불완전한 측정 하에서의 결측값 대체

        송주원(Juwon Song) 한국자료분석학회 2021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3 No.5

        실제 자료는 여러 가지 원인으로 인하여 결측이 종종 발생하는데 결측값을 잘 예측할 수 있는 정보가 존재한다면 이를 활용하여 대체를 실시하는 게 바람직하다. 대규모 설문조사에서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내용을 조사하는 여러 문항들이 사용되는 경우가 있고 동일한 정보를 측정한 행정자료나 다른 조사가 존재하기도 한다. 동일한 정보를 얻은 자료가 존재할 때 결측값 대체에서는 단순히 이 자료의 값으로 대체를 실시하는 게 일반적이지만 실제로 두 값은 정확히 동일하지 않은 경우가 많다. 본 연구에서는 결측이 발생한 관심 변수와 동일한 내용을 측정한 변수의 값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를 측정오차를 포함한 관심변수의 불완전한 측정값이라 가정하고 이를 보정하는 대체 방법을 제안한다. 예제로 노동패널조사 22차 자료의 개인 작년 총근로소득에 결측이 발생하는 경우 작년에 응답한 월평균 근로소득으로부터 유추한 총근로소득으로 대체하는데 이 두 값들 사이에 차이가 존재하는 지 살펴보고 유추한 총근로소득을 조사에서 응답한 총근로소득에 대한 측정오차로 인한 불완전한 측정이라는 가정 하에 측정오차 모형을 사용해 보정하여 대체하였다. 모의실험을 통해 유추한 값으로 단순히 대체하는 경우와 측정오차를 고려한 보정을 실시하여 대체하는 경우를 비교하였는데 측정오차를 보정한 경우 평균 추정량의 편향이 더 작아지고 각 결측값을 더 정확히 대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Real data often include missing values. When there exists information that can well predict missing values, it is recommended to conduct imputation using this information. In large scale surveys, there may be multiple questions that measure the same concepts. Under this circumstance, it is usual to impute missing values with this information. However, in reality, the variable to be imputed may not exactly match with information given by other variable or other resources. In this study, it is assumed that information from other variables or resources is incomplete measurement of the variable to be imputed due to measurement errors, and we suggest an imputation technique under the measurement error model. As an example, annual incomes of the last year in 22nd wave KLIPS data are compared with the predicted annual income using monthly income and the duration of jobs from the job history data. Differences between two values are observed, and Imputation was conducted with an adjustment of measurement errors when the predicted values are considered as values with measurement errors. Simulation was conducted to evaluate bias in the mean estimate and RMSE in the individual imputed values. It showed that imputation under the measurement error model performed better than naive imputation of the predicted values.

      • KCI등재

        An Experimental Study of Resultative Constructions with X-key

        Juwon Lee,Eunjeong Oh,Sanghoun Song 한국중원언어학회 2018 언어학연구 Vol.0 No.49

        In this article we present experimental evidence supporting the two syntactic hypotheses regarding Korean resultative constructions with X-key proposed in Lee (2016): (i) the resultative predicate, X-key, is syntactically an adverb (not an adjective), and (ii) X-key or the result phrase headed by X-key is a complement of the main verb in a resultative sentence. First, we provide a set of experimental results about resultative constructions with Adj(ective)-key with respect to the two syntactic properties, and then those about resultative constructions with V(erb)-key. In the current study, we conducted the acceptability judgment testing on a comprehensive scale using the 5-point Likert scale task and the binary Yes/No task. 264 university-level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current experiment (132 for each experimental task). We analyzed the experimental results using the statistical techniques in a quantitative way, including the T-test, ANOVA, and Fisher Yates Exact test. We argue that the experimental results empirically support the adverbial complement analysis of Korean resultative constructions with X-key.

      • KCI등재

        A Clausal Analysis of Resultative Constructions with X-key : Evidence from Corpus and Experiments

        ( Juwon Lee ),( Eunjeong Oh ),( Sanghoun Song ) 서강대학교 언어정보연구소 2018 언어와 정보 사회 Vol.35 No.-

        Quite a few prior studies have classified the Korean resultative constructions into predicative resultatives and clausal resultatives. However, the current study argues that all the resultative constructions with X-key belong to the category of clausal resultative construction. This implies that X-key forms a fully saturated clause (not object control), in which the nominative subject of the secondary predicate can be omitted since Korean is a pro-drop language. We present corpus data and experimental results to reveal the existence of pro-drop in the resultative constructions. The linguistic findings are also consistent with the prediction of the pro-drop analysis: various kinds of resultative predicates can appear in the resultative constructions.

      • SCOPUSKCI등재

        Revisiting the persuade-constructions in Korean with empirical evidence

        Juwon Lee,Sanghoun Song 경희대학교 언어정보연구소 2020 언어연구 Vol.37 No.1

        Using the data-based methods of language research, this article addresses whether the seltukha-constructions (persuade-constructions) in Korean indeed undergo a control phenomenon as generally assumed and argued in the literature. As is well known, there are two essential properties of controls across languages; (i) the controllee should be co-indexed with another element in the sentence and (ii) the controllee should be silent. Focusing on these two properties, the present study provides multi-pronged data taken from corpus exploration, context-sensitive survey, and language experiment. The empirical investigation casts a doubt on the control analysis of seltukha-constructions; in particular, it is borne out that the embedded subject (controllee) of the seltukha-constructions can appear explicitly, and the embedded subject – whether it be silent or not – is not necessarily required to be co-indexed with another element in the sentence. These lead us to the conclusion that the seltukha-constructions can be accounted for by means of a pro-drop rather than a control. One remaining issue in the analysis is such that the seltukha-constructions may sound awkward if the two NPs (matrix object and embedded subject) refer to the same individual and they appear simultaneously. To account for the awkwardness, we propose the Anti-redundancy Hypothesis; i.e., two NPs referring to the same entity or having the same form tend not to appear right next to each other. The current experiment further demonstrates that the hypothesis works as a general tendency rather than a stipulation about seltukha-constructions. Building upon the empirical data, we propose that the theory of controls in Korean (and hopefully other languages) should be reexamined from the bottom u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