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체육과 교육과정 문서의 목표 및 키워드 분석 연구: 7차~2015 개정

        윤주석(Juseok Yun)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21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28 No.3

        본 연구의 목적은 21세기 국내에서 적용된 체육과 교육과정의 주요 목표와 키워드를 분석함으로써 교육과정 개발 및 평가 연구에 시사점을 주는 데 있다. 이를 위해서 7차, 2007 개정, 2009 개정, 2015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 문서를 수집하여 내용 분석을 통해 주요 목표와 키워드를 도출하였다. 교육과정 문서에서 주요 목표를 도출하는 방법은 질적 내용 분석으로, 주요 키워드는 텍스트 마이닝을 이용한 양적 내용분석방법을 이용하였다. 연구 결과로 첫째, 교육과정 문서에서 분석된 주요 목표는 ‘건강’, ‘신체활동’, ‘태도’, ‘안전’, ‘여가’ 등이 도출되었으며, 둘째, 교육과정 문서에 나타난 주요 키워드는 ‘신체활동’, ‘실천’, ‘건강’, ‘이해’, ‘안전’, ‘평가’, ‘여가’, ‘태도’ 등으로 나타났다. 두 연구 결과를 도출하는 과정에서 나타난 한계를 바탕으로 현행 교육과정에 대한 시사점과 차기 교육과정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ive implications to curriculum development and evaluation research by analyzing the main goals and keywords of the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applied in Korea in the 21st century.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main goals and keywords were derived through content analysis by collecting curriculum documents for the 7th, 2007, 2009 and 2015 national curriculum for physical education. The method of deriving the main objective in curriculum documents is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and the main keyword is quantitative content analysis using text mining. Main goals that appeared in the literature review were ‘health’, ‘physical activity’, ‘attitudes’, ‘safety’, and ‘leisure’. Second, main keywords were "physical activity", "practice", "health", "understanding", "safety", "evaluation", "leisure", and "attitude". Based on findings above, the current curriculum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the next curriculum were made.

      • KCI우수등재

        성별, 학교 유형, 체육 성적에 따른 고등학교 3학년의 체육교과 태도

        윤주석 ( Juseok Yun ) 한국체육학회 2021 한국체육학회지 Vol.60 No.5

        본 연구는 고등학교 3학년의 체육교과 태도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서울·경기지역의 일반계 고등학교 3학년을 모집단으로 하였으며, 할당 표집(quota sampling) 방법으로 남자 고등학교 3개(약 20%), 여자 고등학교 3개(약 20%), 남녀공학 고등학교 8개(60%), 총 14개 학교의 고등학교 3학년 3,479명을 표본으로 추출하였다. 회수된 2,529명의 설문지 중 응답 내용이 부실하거나 신뢰성이 없다고 판단되는 135부를 분석대상에서 제외시키고, 총 2,394명의 설문지를 IBM SPSS 25.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체육교과 태도는 김종환(2004)이 개발한 한국형 체육교과 태도 척도(Korean Physical Education Attitude Scale, KPEAS)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체육교과 태도를 성별 및 학교 유형, 체육교과 성적에 따라 T-test와 일원변량분석(One way Anova)을 실시하여 집단 간 차이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른 고등학교 3학년 학생의 체육교과 태도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t=12.930, p<.001),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높은 결과를 보였다. 둘째, 학교 유형에 따른 고등학교 3학년 학생의 체육교과 태도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F=53.288, p<.001), 남자 고등학교가 가장 높았고, 남녀공학, 여자 고등학교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각된 체육교과 성적에 따른 체육교과 태도 역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F=402.010, p<.001), 성적 우수 집단이 가장 높았고, 보통 집단, 미흡 집단 순으로 결과를 보였다. This study aims to find out the attitude of high school seniors in physical education. This study surveyed 3,479 high school senior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A total of 2,394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using IBM SPSS 25.0, excluding 135 of the 2,529 questionnaires that were considered poor or unreliable. Physical education attitude was measured using the Korean Physical Education Attitude Scale (KPEAS) developed by Kim Jong-hwan(2004). T-test and One-way anova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differences between groups for attitudes toward physical education according to gender, school type, and physical education grade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ttitude of high school seniors by gender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physical education(t=12.930, p<.001), with male students showing higher results than female students. Second, the attitude of high school seniors according to school type also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F=53.288, p<.001), with men’s high schools the highest, followed by coeducational and women’s high schools. Thir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ttitude toward physical education according to the perceived physical education grades(F=402.010, p<.001), and the group with excellent grades had the highest results, followed by the regular group and the poor group.

      • KCI등재

        2015 개정 중학교 체육과 교육과정 안전영역의 체육수업 계획과 실행분석

        윤주석(Juseok Yun),유지은(Jieun Yu),류태호(Taeho Yu)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20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27 No.2

        본 연구는 2015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에 새롭게 추가된 안전영역을 중학교에서는 어떻게 계획하고, 실행하는지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는 2017년 8월부터 2019년 9월까지 진행하였으며, 연구 대상자는 2017년, 2018년 서울 K대학 교육연수원에서 운영한 체육과 1급 정교사 자격연수에 참가한 중학교 체육교사 106명과 2019년 중학교에 근무하는 3명의 체육교사를 대상으로 하였다. 안전영역 체육수업 계획단계의 자료 수집은 연수에 참여한 체육교사의 교수․학습 지도안과 인터뷰를 통해서 이루어졌으며, 수집된 자료는 내용 분석을 통해 ‘안전영역의 체육수업 비중’, ‘수업 장소’, ‘학습 주제’, ‘학습 형태’, ‘교수ㆍ학습 방법’, ‘수업의 주도성’, ‘교과 통합방식’ 등으로 범주화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실행단계의 자료 수집은 3명의 체육교사와 심층면담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수집된 자료는 귀납적 범주분석을 통해 안전영역의 체육수업 현장이 ‘답답함’, ‘의무감’, ‘부족함’, ‘역효과 우려’가 공존하고 있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를 통해서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안전교육은 체육교과에서 문서상으로만 이루어지고 있다. 둘째, 안전교육을 위한 교사 역량강화 연수내용이 단편적이다. 셋째, 안전교육이 학교 교육과정의 총체적인 관점에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to plan and practice the newly added safety area to the 2015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in the site of middle schools. It was conducted from August, 2017, to September, 2019, and the subjects were 111 middle school physical education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first-grade qualification training program operated by the in-service training center for education of K University in Seoul in the years of 2017, 2018 and 3 physical education teachers, who have worked at middle schools in Seoul in 2019. The data collection of the planning phase of physical education in the safety area was conducted through the interviews with physical education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training program for 2 y ears and their syllabi. In additio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e contents as categorizing the data into teaching and learning design, place, field, form, contents, and method through the consideration of curriculum documents and previous researches. The data collection of the practice phase was condu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3 physical education teachers in middle schools located in Seoul, 2019. The data collected through the in-depth interviews were presented with the results of vagueness, obligation, spareness, and backfire by inductive category analysis. Based on it,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irst, safety education is only implemented in document in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Second, in-service t raining programs to reinforce teachers" capacity for safety education is fragmentary. Third, safety education should be implemented in the overall perspective of school curriculum. It is expected that this will provide implications for diagnosing the newly added safety area to the 2015 revised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 KCI등재

        코로나 19 시기 성별과 학업성취 수준, 경제적 수준에 따른 일반계 고등학생의 신체활동 차이 분석

        윤주석(Juseok Yun),김동혁(Dong Hyuk K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7

        목적 코로나 19 시기 일반계 고등학생의 신체활동량을 분석하고, 성별과 학업성취 수준, 경제적 수준에 따른 신체활동량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연구를 진행하였다. 방법 2021년 S지역에서 편의표집(convenience sampling) 방법을 통해 3개 학교, 1,037명의 학생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신체활동은 한국형 IPAQ(2005) 설문지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일반계 고등학생의 신체활동량을 분석하고, 성별과 학업성취 수준, 경제적 수준에 따라 T-test 및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이용하여 집단 간 차이를 살펴보았다. 결과 첫째, 성별에 따른 고등학생의 신체활동은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높게 나타나고,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학업성취 수준에 따라 고등학생의 신체활동은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학업성취 수준이 우수한 집단이 보통 집단과 미흡 집단보다 신체활동이 낮게 나타났다. 셋째, 경제적 수준에 따른 고등학생의 신체활동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보면, 코로나 19 시기 일반계 고등학생의 신체활동은 CPPSE에서 권고하는 기준에 미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기화된 코로나 시기에 청소년들의 신체활동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physical activity in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and to find out the difference in physical activity levels according to gender, academic achievement level, and economic status. Methods 1,032 students from three high schools we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through the convenience sampling method in the S region, in 2021. The physical activity was assessed using the International Physical Activity Questionnaires adapted for South Korea. The physical activity of general high school adolescents was analyzed, and the differences between groups were examined through a T-test and one-way ANOVA according to gender, academic achievement level, and economic level. Results Physical activity levels in high school students were strongly associated with gender, male adolescents showing higher physical activity levels than female adolescents. Second, physical activity levels according to academic achievement showed a parti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e group with high academic achievement showing a lower physical activity level than the moderate and low groups. Third, physical activity levels according to economic status did b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Conclusions Physical activity levels in high school student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did not meet the standard recommended by CPPSE. This calls for a physical activity promotion in high school students during the ongoing COVID-19 pandemic.

      • KCI등재

        체육교사 연수 프로그램을 통한 메타버스 체육수업 활용 가능성 탐색

        유지은(Jieun Yu),윤주석(Juseok Yun)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23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30 No.3

        본 연구는 메타버스 체육수업의 활용 가능성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체육교사 182명을 대상으로 메타버스 개념에 대한 교육과 함께 메타버스 환경을 활용한 운동 프로그램을 체험시켰다. 자료수집은 연수에 참여한 체육교사의 개방형 설문과 메타버스를 활용한 집단토의를 통해 이루어졌으며, 수집한 자료를 귀납적 분석과 내용별 빈도분석을 통해 메타버스 경험을 고찰하였다. 메타버스가 적용된 연수 프로그램의 체험을 바탕으로 ‘시ㆍ공간을 뛰어넘는 체험 중심의 체육수업 실현 가능’, ‘블렌디드 러닝을 향한 의미 있는 발걸음’, ‘학습 상호작용의 어려움’, ‘학습자 중심의 인터페이스 구축 필수’, ‘메타버스 체육수업을 향한 희망과 우려의 목소리 공존’으로 메타버스 체육수업의 활용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연구 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미래 교육을 준비해야 하는 체육교사는 새로운 환경과 기술에 적극적으로 관심을 가지고 다양한 프로그램을 체험한 후 그 환경에 적절한 수업설계를 해야 한다. 둘째, 메타버스 환경에서의 수업설계를 준비할 수 있도록 다양한 교사연수와 실습환경 구축이 무엇보다 선행되어야 한다. 셋째, 메타버스 교육환경의 한계점을 명확하게 판단하고, 이러한 기술 향상을 위해서는 체육 교육 현장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여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metaverse environmental physical education lessons and how they can be adapted and utilized in actual physical education classes. To this end, training and hands-on experiences were conducted with 182 in-servic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who were interested in applying metaverse lesson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open-ended questionnaires and group discussions using the metaverse, and the data were analyzed through inductive analysis and frequency analysis by content, and presented as the content, teaching-learning method, and evaluation of physical education classes using the metaverse. Based on the experience of the yoga program using the metaverse, we found that the content of physical education classes using the metaverse can be immersive and learner-centered education that transcends time and space, the teaching-learning method is suitable for mixed classes using individual exercises or game rules rather than competitive sports, and the educational assessment should provide motivating and qualitative tasks that can be self-assessed even in an invisible virtual worl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would like to make the following suggestions: First, physical education teachers preparing for future education should be actively interested in new environments and technologies and design lessons suitable for them through various experiences. Secon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various teacher training and practice environments that can prepare teachers for designing lessons in a metaverse environment. Third, it is necessary to clearly determine the limitations of the metaverse education environment and listen to the voices of the physical education field to improve it.

      • KCI등재

        고령 운전자를 위한 조건부 운전면허제도 개선방향 연구

        한상진,장효석,조준한,주석,일수,Han, Sangjin,Chang, Hyoseuk,Cho, Junhan,Oh, Juseok,Yun, Ilsoo 한국ITS학회 2020 한국ITS학회논문지 Vol.19 No.5

        많은 나라에서 정규 운전면허 발급 기준을 만족시키지 못할 때, 특정한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에서만 운전을 허용하는 조건부 운전면허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시각, 청각, 신체 활동 등에 어려움을 겪는 사람들이 특별히 운전할 수 있도록 자동차의 구조를 개선하거나 신체 활동 보조수단을 이용하는 조건으로 면허를 발급하고 있다. 하지만 고령 운전자가 늘어나면서 기존 조건부 운전면허의 허용 조건을 다양화하자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는 외국의 다양한 조건부 운전면허제도 운영 사례를 벤치마킹하여 고령자를 위한 조건부 운전면허제도의 개선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특히 우리나라에 없는 조건부 운전면허 조건인 시간 제한, 공간 제한, 속도 제한, 도로 제한, 차량 제한, 개인 맞춤형 등 차원에서 주요 특징을 국제 비교를 통하여 도출하고자 한다. 조건부 운전면허제도의 허용기준 다양화는 고령자뿐만 아니라 차를 운전하지 않으면 일상생활에 어려움을 겪는 모든 운전자들에게 혜택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Some drivers cannot meet the standards for a full driver's license and many countries allow them to drive a vehicle as long as they can satisfy certain conditions. Korea has mainly issued conditional driver's licenses to the disabled only after supplementary devices are attached either in the vehicle or in their bodies. However, it is becoming important to issue a conditional driver's license to other types of drivers, including the elderly as the population ages in the country. This study aims at improving the current practice of issuing conditional driver's licenses by benchmarking various types of conditional licenses in other countries. In particular, various conditions such as time, space, driving speed, road type, vehicle type, and specific individual conditions are compared. Issuing a conditional driver's license to various types of drivers should be beneficial, not only to elderly drivers but also to drivers who cannot live without a vehic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