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전해산성수를 이용한 새로운 내시경 소독 시스템(Cleantop WM-1??)의 소독효율

        이준행,이풍렬,송재훈,이남용,임윤정,장재권,김영호,김재준,백승운,이종철,최규완 대한감염학회 2001 감염 Vol.33 No.2

        Background : Electrolyzed acid water (EAW) is a new liquid chemical germicide containing a mixture of oxidizing species and prepared by mixing a small amount of salt with tap water in an electrolyzer. We attempted an in-use evaluation of the high-level disinfection capability of Cleantop WM-1□, a new endoscope reprocessing system using EAW. Methods : Forty-seven flexible endoscopes were randomly collected just after upper endoscopic examinations and were disinfected using Cleantop WM-1□. Parts of the endoscopes without contact to EAW were disinfected with 75% ethyl alcohol. Immediately after the disinfection procedure, samples were taken from the biopsy channel (S-1), tip of the insertion tube (S-2), the umbilical cord (S-3), and the angulation knob (S-4). Results : In EAW-disinfected parts of the endoscopes, the culture-positive rates were 4.3% (2/47) in S-1 samples and 12.8% (6/47) in S-2 samples. In ethyl alcohol-disinfected area, the culture-positive rates were 2.1% (1/47) in S-3 samples and 25.5% (12/47) in S-4 samples. The colony counts of culture-positive samples ranged from 1 to 144. Pseudomonas aerugi-nasa was recovered from the angulation knob of an endoscope, but other contaminating organisms were mostly : normal flora or opportunistic pathogens. Conclusion : Although part of the endoscopes disinfected with 75% ethyl alcohol were contaminated with more organisms than EAW-disinfected areas, Cleantop WM-1□ showed a relatively good disinfection efficacy in reprocessing patient-used endoscopes. (Korean J Infect Dis 33:133∼138, 2001)

      • KCI등재후보

        기저질환이 없는 사람에서 발생한 Campylobacter fetus에 의한 재발성 심내막염 1예

        전재범,정진원,김성혜,송문희,오형철,안성기,최상호,김남중,김양수,우준희,류지소 대한감염학회 2004 감염과 화학요법 Vol.36 No.6

        C. fetus 심내막염은 드물게 발생하는 질환으로 주로 면역능이 저하된 환자에서 발병하고 대동맥판을 침범하는 경우가 많으며 적절한 치료가 되지 않을 경우 치사율이 높다. 저자들은 기저질환이 없던 69세 남자에서 C. fetus 심내막염을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환자는 발열로 내원하여 시행한 혈액배양 검사상 C. fetus가 동정되었고 경식도 초음파 검사상 삼첨판에 증식증이 발견되어 심내막염 진단하에 ceftriaxone에 이어 meropenem으로 총 4주간 항생제를 투여받고 호전되었다가 한달 후 다시 재발하였고 판막부전 소견 진행하여 삼첨판 치환술을 시행받고 전신상태 호전되어 퇴원하였다. Campylobacter fetus is a rare cause of endocarditis. To date, only about 30 cases of C. fetus endocarditis have been reported mainly in the elderly with chronic underlying illnesses. Most cases showed tendency to involve aortic valve. This report describes a case of native tricuspid valve infective endocarditis in a 69-year-old man without any underlying disease. Despite adequate antibiotic therapy for 4-weeks, endocarditis recurred and leading to surgical valve replacement.

      • KCI등재

        시설참외 연작재배지 토양의 객토 및 심토반전이 토양 화학성 변화와 토양선층 억제효과에 미치는 영향

        전한식,박우철,정재식 한국환경농학회 2002 한국환경농학회지 Vol.21 No.1

        우리나라의 시설참외 수산지인 성주지역의 시설참외 연작 대책으로 객토와 심경에 의한 토양 화학성분의 변화와 뿌리혹선충 억제 효과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시설참외 연작대책으로 많은 양의 객토를 함으로 EC는 4.30 dS/m에서 1.80 dS/m로 58%, 유효인산은 406mg/kg으로 55% 감축되고 유기물 함량이 16g/kg에서 11g/kg으로 31% 줄어 퇴비 등 각종 거름 시용량을 증가해야 하면 뿌리혹선충 밀도 억제효과는 1년 차 89%, 3년 차 84%, 5년 차 69%로 되어 근본 대책이 되지 못하면서 영농비 가중 및 환경 파괴의 문제가 수반되었다. 심토반전 효과도 객토와 비슷하여 EC 4.30 dS/m에서 1.98 dS/m로 54% 줄고 유효인산 406 mg/kg에서 329 mg/kg 으로 19% 줄었으며 뿌리혹선충 밀도 억제 효과는 처리 후 1년 차 71%, 3년 차 67%, 5년 차 42%가 되므로 처리 3년 이후에는 다른 대책이 필요하였다. To elucidate the effect of soil addition and subsoil plowing on the change of soil chemical properties and the reduction of root-knot nematode, this experiment carried out in continuous cropping field of protected oriental melon (Cucumis melo L). Soil addition reduced electric conductivity (E. C.) from 4.3 to 1.8 dS/m (58%), available P_2O_5 from 406 to 182 mg/kg (55%) and organic matter content from 16 to 11 g/kg (31%). Population densities of root-knot nematode in soil reduced as much as 89%, 84%, and 69% at first year, third years, and of five years later, respectively. The effects of subsoil plowing were similar to that of soil addition. E. C. and phosphate were reduced from 4.30 to 1.98 dS/m (54%) and phosphate from 406 to 329 mg/kg (19%), respectively. Population densities of root-knot nematode reduced as much as 71%, 67%, and 42% after 1, 3, and 5 years, respectively. Subsoil plowing reduced nematode densities only for three years.

      • HPGe 검출기에 의한 지표우주선 전리성분의 핵분광학적 연구

        전재식,이철영,조혁,하정우 충남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1992 연구논문집 Vol.12 No.-

        고순도 Ge(HPGe) 검출기를 이용하여 지표우주선 전리성분에 대한 일련의 핵분광학적 연구를 수행하였는바 본 연구의 목적은 전리함으로 측정되는 우주선 전리성분의 선량율과 그에 대응되는 HPGe 스펙트로메터의 3∼100 MeV 구간의 분광학적 계수율을 연결하는 실험식을 구하는데 있다. 3 MeV 이하 영역에서 검출되는 감마선의 선량과 그 보다 높은 에너지 영역에서 검출되는 우주선 전리성분을 구분판별하기 위하여 14l 구형 전리함과 3″ø 구형 NaI(T1) 및 GAMMA-X HPGe 검출기들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실험식 Y=30.25X_G+1.42를 얻었는데 여기서 Y는 nGy·h^-1로 표시되는 우주선 전기성분의 선량율이고 X_G는 3∼100 MeV 영역에서 HPGe 검출기로 계측된 cps 단위의 계수율이다. 지수감쇄모형에 의하면 우주선 전리성분의 전체적인 감쇄곡선이 둥가두께 1600㎏·m^-2를 기점으로 두가지 상이한 기울기를 가지며, 위도가 같은 대전 지역과 일본 이바라키현에서의 우주선 전리성분의 선량율이 오차범위 안에서 일치 함을 보였다.

      • HPGe 검출기에 의한 지각방사선의 핵분광학적 연구

        전재식,채하석,진응국,이철영,조혁,하정우 충남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1992 연구논문집 Vol.12 No.-

        고순도 Ge(HPGe) 검출장치를 사용한 현장측정을 통하여 지각방사선에 대한 핵분광학적 연구를 수행하였는바 지각방사선장의 핵분광학적 특성차이를 규명하기 위하여 지면의 자연방사성 핵종분포가 대표적 전형인 충남대학교 캠퍼스내 미경작 개활지 잔디밭과, 우라늄 함량이 높은 곳으로 알려진 괴산군 덕평리 지역 등 특이한 두 지역을 측정지점으로 선택하였다. 환산선량의 비교확인을 위하여 HPGe 분광측정은 3″ø×3″원통형 NaI(T1) 섬광검출기에 의한 분광측정과 동시에 수행하였으며 본 연구에 사용된 HPGe 검출기에 대한 스펙트럼-선량율 환산인자 G(E)는 감마선속이 검출기 축에 수직 입사하는 것으로 가정하고 Monte Carlo 방법으로 씨뮬레이션한 감응스펙트럼들을 사용하여 산출하였다. 이 G(E)를 사용하여 산출된 선량율(D˙_Ge)은, 이미 기준기급 전리함과의 비교 교정을 통하여 스펙트럼-선량 환산체계가 확립된 바 있는 NaI(T1) 검출기로 구한 선량율(D˙_NaI)과 만족스러운 일치를 보였으며 D˙_Ge와 D˙_NaI 사이의 상관계수는 +0.9988, 회귀 방정식의 기울기는 1.001을 나타내었다. 측정한 스펙트럼에서는 미미한 크기의 ^137Cs 감마선 피크가 확인되었으나 1960년대에 수행되었던 대기권 핵실험의 영향이나 Chernobyl 원전사고의 영향은 관측되지 않았다. Study of terrestrial gamma-rays was carried out by means of in-situ spectrometry using high purity germanium (HPGe) detector system. Two distinguishable fields of measurements, namely, uncultivated flat lawns in CNU campus where the distribution of natural radionuclides in the ground in known to be quite typical and well-known uranium rich area of Dukpyung-ri in Gwoesan-kun were selected in order to specify the difference in spectrometric characteristics of the fields. In-situ HPGe spectromety was accompanied by scintillation spectrometry with 3″ø×3″cylindrical NaI(T1) detector for comparative confirmation of derived dose rates from the spectra measured. Spectrum-dose rate conversion operator, G(E), of our particular HPGe detector was calculated using response spectra simulated by Monte Carlo method with an assumption of gamma-ray beams incident vertically to the detector axis. Resultant dose rates (D˙_Ge) showed satisfactory agreement with those obtained by NaI(T1) spectrometry and corresponding G(E) operation (D˙_NaI) of which system has been well-established through intercalibration with a reference ion chamber. Correlation coefficient and the slope of regression equation between D˙_Ge and D˙_NaI came out to be +0.9988 and 1.001, respectively. Though traceable height of ^137Cs gamma-ray peak was identified on the field spectrum, ground contamination of fission products released from atmospheric nuclear test performed in 1960s and possibly from Chernobyl accident was not observed as of today.

      • Cs-137 γ-선 조사장치의 방사선장 해석연구

        전재식,채하석,이철영,오장진,이병영,명동범 충남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1995 忠南科學硏究誌 Vol.22 No.1

        In reference to the ISO-4037 and ANSI N13.11, appropriateness of the shielding and collimating system, and suitability of the irradiation and its environmental conditions of a 20 Ci Cs-137 gamma-ray irradiator installed in Korea Institute of Nuclear Safety(KINS) were investigated. Upon the installation of the irradiator, condition of collimator alignment and virtual beam cross section were examined by use of a portable He-Ne laser. In order to evaluate the fitness of the secondary(scattered) to primary ratio of the collimated gamma-ray beam from the irradiator in light of ISO and ANSI requirement, the measurements of the secondary to primary ratio were performed by use of a cavity type ion chamber which had been calibrated in a calibration laboratory that maintains reliable traceability. For the theoretical assessment of the gamma-ray field the collimated beam were divided into fifteen sectors and for each sector the secondary to primary ratio and the gamma-ray spectrum was simulated by means of Monte Carlo method. The outcomes were compared with the experimental results, and cause of scattering and the existence of alleged modifying factors in the irradiator were examined.

      • 감마線分光分析 및 熱螢光檢出法에 의한 自然放射線의 線量測定硏究

        田載植,吳熙弼,崔哲圭,吳憲鎭,河正雨 충남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1986 연구논문집 Vol.6 No.-

        감마선분광분석 및 열형광선량측정법에 의한 자연환경방사선의 선량해석에 관한 연구를 1984년 10월부터 약 1년간에 걸쳐 충남대학교 대덕캠퍼스내의 1만㎡ 규모의 평면개활지에서 수행하였다. 이 연구에서 사용한 검출기는 3″ø×3″NaI(TI) 閃光計數器와 plastic에 밀봉하여 금속판에 압착 처리한 chip과 Teflon-disk 로된 2종의 LiF TLD였다. 실측실험으로는 3회에 걸친 24시간 cycle의 in-situ spectrometry와 2회의 3개월 cycle과 1회의 1개월 cycle에 걸친 TLD field dosimetry를 수행하였다. 측정한 모든 spectrum은 G(E)연산자법에 의하여 照射線量率로 환산하였고 그 결과로부터 환경방사선의 地殼成分을 산출하였다. 結果에 의하면 spectrometry로 구한 조사선량율이 평균(10.54±2.96)μR/hr, TLD chip으로 측정해석한 값은 (12.0±3.4)μR/hr, disk에서 얻은 값이 (11.0±3.6)μR/hr로 오차범위 안에서 매우 좋은 일치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감마선분광분석에 의한 자연방사선의 日變化에는 가끔 심한동요가 관측되었다. 정확한 환경방사선량해석을 위하여 감마선분광분석과 TLD의 적절한 동시 배합사용이 바람직 하며, 보다 고감도의 TLD에 관한 연구와 국제비교등을 통한 선량평가의 精度向上을 위한 보다 깊이있는 연구가 필요하다는 結論에 도달하였다. A study for the assessment of natural environmental radiation exposure at a flat and open field of about 10,000㎡ in area in CNU Daeduk campus has been carried out by means of gamma-ray scintillation spectrometry and thermoluminescence dosimetry for one year period of time from October 1984. The detectors used were 3″ø×3″NaI(TI) and two different types of LiF TLD, namely, chip sealed in plastic sheet which tightly pressed on two open holes of a metal plate and Teflon disk. Three 24-hour cycles of in-situ spectrometry, and two 3-month and one 1-month cycles of field TL dosimetry were performed. All the spectra measured were converted into exposure rate by means of G(E) opertaion, and therefrom exposure rate due to terrestrial component of environmental radiation was figured out. Exposure rate determined by the spectrometry was, on average, (10.54±2.96)μR/hr, and the rates of (12.0±3.4)μR/hr and (11.0±3.6)μR/hr were obtained from chip and disk TLD, respectively. Fluctuations in diurnal variation of the exposure rate measured by the spectrometry were noticeable sometime even in a single cycle of 24 hours. It is concluded that appropriately combined use of TLD with iu-sitn gamma-ray spectrometry system can give more accurate and precise measure of environmental radiation exposure, and further study for more adequate and sensitive TLD for environmental dosimetry, including improvement and elevation of accuracy in data assessment through inter-laboratory or international intercomparison is necessary.

      • KCI등재

        감마線分光分析 및 熱螢光檢出法에 의한 自然放射線의 線量測定硏究

        田載植,吳熙弼,崔哲圭,吳憲鎭,河正雨 대한방사선 방어학회 1985 방사선방어학회지 Vol.10 No.2

        감마선분광분석 및 열형광선량측정법에 의한 자연환경방사선의 선량해석에 관한 연구를 1984년 10월부터 약 1년간에 걸쳐 충남대학교 대덕캠퍼스내의 1만㎡규모의 평면개활지에서 수행하였다. 이 연구에서 사용한 검출기는 3"ø×3" NaI(Tl) ,閃光計數器와 plastic에 밀봉하여 금속판에 압착 처리한 chip과 Teflon-disk로된 2종의 LiF TLD였다. 실측실험으로는 3회에 걸친 24시간 cycle의 in-situ spectrometry와 2회의 3개월 cycle과 1회의 1개월 cycle에 걸친 TLD field dosimetry를 수행하였다. 측정한 모든 spectrum은 G(E)연산자법에 의하여 照射線量率로 환산하였고 그 결과로부터 환경 방사선의 地殼成分을 산출하였다. 結果에 의하면 spectrometry로 구한 조사선량율이 평균(10.54±2.96)μR/hr, TLD chip으로 측정해석한 값은 (12.0±3.4)μR/hr, disk에서 얻은 값이 (11.0±3.6)μR/hr로 오차범위 안에서 매우 좋은 일치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감마선분광분석에 의한 자연방사선의 에는 가끔 심한동요가 관측되었다. 정확한 환경방사선량해석을 위하여 감마선분광분석과 TLD의 적절한 동시 배합사용이 바람직 하며, 보다 고감도의 TLD에 관한 연구와 국제비교등을 통한 선량평가의 精度向上을 위한 보다 깊이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는 結論에 도달하였다. A study for the assessment of natural environmental radiation exposure at a flat and open field of about 10, 000m2 in area in CNU Daeduk campus has been carried out by means Oi gamma-ray scintillation spectrometry and thermoluminescence dosimetry for one year period of time from October 1984. The detectors used were 3"ø×3" NaI(Tl) and two different types of LiP TLD, namely, chip sealed in plastic sheet which tightly pressed on two open holes of a metal plate and Teflon disk. Three 24-hour cycles of in-situ spectrometry, and two 3-month and one 1-month cycles of field TL dosimetry were performed. All the spectra measured were converted into exposure rate by means of G (E) opertaion, and therefrom exposure rate due to terrestrial component of environmental radiation was figured out. Exposure rate determined by the spectrometry was, on average, (10.54±2.96)μR/hr, and the rates of (12.0±3.4)μR/hr and (11.±3.6)μR/hr were obtained from chip and disk TLD, respectively. Fluctuations in diurnal variation of the exposure rate measured by the spectrometry were noticeable sometime even in a single cycle of 24 hours. It is concluded that appropriately combined use of TLD with in-situ gamma-ray spectrometry system can give more accurate and precise measure of environmental radiation exposure, and further study for more adequate and sensitive TLD for environmental dosimetry, including improvement and elevation of accuracy in data assessment through inter-laboratory or international intercomparison is necessary.

      • 廢CRT의 再活用 工程에서 발생한 슬러지로부터 Y의 회수

        田埈美,李在天,鄭鎭己,金南澈 공주대학교 자원재활용 신소재 연구센터 2002 센터사업 성과집 Vol.- No.1

        폐CRT의 재활용 공정에서 Panel 유리에 도포 된 형광체의 제거 시 발생하는 슬러지로부터 Y를 회수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HCl 및 NHO_3을 사용하여 Y를 침출하였으며 산 농도, 침출온도, 침출시간, 광액농도가 침출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또한 침출액으로부터 Y와 Pb를 침전 법으로 회수하는 실험을 행하였다. 슬러지로부터 HCl 및 HNO_3에 의한 Y의 침출거동은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광액농도를 280 g/L로 하여 90℃에서 3.0M HCl 및 HNO_3으로 침출 하였을 때 시간에 따라 Y의 침출율은 증가하다가 40분 이상에서는 각각 93%, 90%로 일정한 침출율을 나타내었다. 침출액에 H_2C_2O_4을 첨가하여 Y를 회수하였으며 Pb는 Na_2SO_4를 가하여 PbSO_4로 제거하였다. A study on the recovery of yttrium was conducted using the phosphor sludges generated in the recycling process of obsolete CRTs. Yttrium was leached by HCl and HNO_2. The leaching efficiency of yttrium was extensively investigated in terms of acid concentration, leaching temperature and time, and pulp density. Yttrium and lead was recovered from leaching solutions also by precipitation method. The leaching behavior of yttrium was similar in both acids. The leaching efficiency of yttrium for both acids increased with time at the conditions of 3.0M, 90℃, and 280 g/L of pulp density. After 40 minutes, it was saturated to 93% and 90% for HCl and HNO_3, respectively. Yttrium was recovered from leaching acid solution by the addition of H_2C_2O_4 while lead was removed as PbSO_4 by Na_2SO_4.

      • KCI등재

        용융염산화 반응기에서 기체체류량 및 기-액 흐름특성

        조용준,양희철,은희철,유재형,김준형 한국화학공학회 2003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HWAHAK KONGHA Vol.41 No.5

        용융염산화는 혼성폐기물과 유해폐기물을 효과적으로 산화 및 분해할 수 있는 소각대체기술중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직경이 0.079 m이고 높이가 0.653 m인 용융염산화 반응기에서 기체체류량 및 기-액 흐름특성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액상으로 용융탄산나트륨을 기상으로 건조된 공기를 사용하였으며 기체유속(0.05-0.22 m/s)과 용융염온도(870-970℃) 변화가 기체체류량 및 기-액 흐름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였다. 기체체류량은 용융염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증가하였는데, 이는 용융염 온도의 증가로 인해 용융된 탄산나트륨의 점도와 표면장력이 감소하였기 때문이다. 실험에서 얻어진 기체체류량 데이터를 drift-flux 모델에 적용하여 용융염반응기 내의 흐름특성을 규명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흐름영역에 따른 기체체류량을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었다. Molten salt oxidation is one of the most promising alternatives to incineration that can be used to efficiently destroy the organic components of mixed wastes and hazardous wastes. In this study, the gas holdup and gas-liquid flow characteristics are investigated in the molten salt oxidation reactor (0.076 m D×0.653 m H.). Effects of input air velocity (0.05-0.22m/s ) and molten salt temperature (870-970℃) on the gas holdup and flow characteristics have been studied. Molten carbonate as the liquid phase and air as the gas phase have been used in this study. The gas holdup increases with increasing molten salt temperature due to the decrease of viscosity and surface tension of molten carbonate. The experimentally obtained gas holdups in the molten salt reactor have been well described and characterized by means of drift-flux model. The gas holdups with variation of the flow regime have been well predic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