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서울의 Penicillinase Producing Neisseria gonorrhoeae 발생빈도(1998)

        김재홍,김준호,반재용,이정우,황성주,정준규,정성태,강진문,조흔정,홍창의,정혜신,이한승,김이선,이봉길,이종호,선영우,한기덕,윤성필,이성훈,안종성,박석범,문승현,조항래,김형섭,류지호,황재영,박준홍,손상욱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2001 한양의대 학술지 Vol.21 No.1

        In recent years, gonorrhea has been pandemic and remains one of the most common STDs in the world, especially in developing countries. For the detection of a more effective therapeutic regimen and assessing the prevalence of Penicillinase Producing Neisseria gonorrhoeae(PPNG), we have been trying to study the patients who have visited the Venereal Disease Clinic of Choong-Ku Public Health Center in Seoul since 1980 by menas of the chromogenic cephalosporin method. In 1998, 93 strians of N. genorrhoeae were isolated, among which 60(64.5%) were PPNG. The prevalence of PPNG in Seoul, which had been decreased to 39% in 1996 after a peak of 74.3% in 1993, is increased to 64.5% in 1998.

      • 韓國産 夜行性 맵시벌科(벌目: 벌亞目)의 分類學的 硏究

        이종욱,정종철,김기범,김정한,배지득,남상호 대전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2002 自然科學 Vol.13 No.2

        영남대 생물학과에 소장되어 있는 표본과 2001년 4월~2002년 6월 사이에 채집한 표본을 대상으로 하여 한국산 야행성 맵시벌의 분류학적 연구와 출현 현황 및 숙주 관계의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류학적 연구 결과 Gauld(1970)가 영국산 야행성 맵시벌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기록한 Mesochorinae아과, Tryphonin-ae아과, Ctenoplematinae아과, Ophioninae아과의 4아과외에 Metopinae (Metopius속)를 추가하여 한국산 야행성 맵시벌류는 총 5아과 13속을 기록하였다. 또한 한국산 야행성 맵시벌의 출현 현황을 분석한 결과 야행성으로 잘 알려진 Mesochorinae아과의 Mesochorus속, Tryphoninae아과의 Netelia속과 Ophioninae아과가 전체 야행성 맵시벌 증 95%를 차지하였다. 속별 출현현황을 살펴보면 Netelia속이 393개체가 출현하여 가장 많은 수를 나타내었으며 Ophi-on속, Mesochorus속, Enicopilus속도 전체 출현 분류군 중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월별 현황을 살펴보면 전반적으로 4월에서 11월 사이에 걸쳐 나타나는데, Op-hioninae아과는 5월과 7월에, Tryphoninae아과는 6월에 집중적인 출현 빈도를 보였다. 숙주의 분류군에 따른 야행성 맵시벌의 기생 양상을 살펴보면 대부분이 나비목을 대상 숙주로 하고 있으며 Mesochorinae아과와 Ctenopelmatinae아과는 벌목에도 많은 종이 기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Mesochorinae아과의 Cidaphus속은 위생 해충으로 분류되는 기생파리과(Tachinidae)에도 기생하는 것으로 나타나 위생 해충을 구제할 수 있는 천적 분류군으로 연구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였다. 숙주의 식성에 따라 살펴보면 부식성의 먹이를 섭식하는 부식성(saprophagus) 숙주, 곤충의 유충을 섭식하는 식충성(entomophagus)인 숙주가 소수 출현하였고 기생생활(parasite)을 하는 숙주도 다수 출현하였으나 대부분의 야행성 맵시벌의 기생 대상 숙주는 주로 식물을 해하는 식식성 곤충(phytophagus)으로 나타났다. Nocturnal Ichneumonidae, which was called yellow-brown ichneumonoid, included several subfamilies adapted for nocturnal activity. Taxonomic study of nocturnal ichneumonoid has been investigated by Gauld(1975) but examination of Korean nocturnal ichneumonoid has not been provided until now. This present study: the taxonomic revision, Appearance state and Host-parasite relation analysis of nocturnal ichneumonoid, were examined using Korean peninsula specimens. As the result. approximately 13 genera referable to 5 subfamilies appeared regularly in light trap. Genus MetopiudSubfamily Illetopinae) were newly recorded in nocturnal ichneumonoid. Tryphoninae and Ophioninae, which were dominant in appearance taxa! occupied 96% of total numbers of individuals, and majority of them were taken from May to November. Nocturnal ichneumonoid are parasitoids of part of immature holometabolous insects(Coleoptera, Diptera, Hymenoptera, Lepidoptera). Lepidoptera is the most common hosts of nocturnal group except Mesochorinae and Ctenopelmatine. In large number of Mesochorinae are koinobiont hyperparasitoids of ectoparasitic or endoparasitic BraconiddHymenoptera), and, less frequently, of Tachinidae(Diptera1. Also, Ctenopelmatinae are koinobiont endoparasitoids of Symphyta and, rarely, Lepidoptera. Majority of nocturnal ichneumonoid hosts are phytophagous, feeding plant taxa, and many host of Mesochorinae taxa are parastoids, and a few host are saprophagus or entomophagus.

      • 地盤-基礎-構造 相互影響의 모델化에 關한 硏究

        金聲得,李淙錫 울산대학교 1983 연구논문집 Vol.14 No.1

        不海定 構造物에 어떤 外力이 作用하면 그 構造物內의 應力은 地盤의 變形의 影響을 받으며, 한편 基礎의 應力分布는 地盤-基礎-構造物 사이의 相互影響을 考慮한 統一된 解析方法이 要求되어진다. 이 硏究는 여러 가지 構造物에 對한 地盤-基礎-構造物 間의 相互影響의 모델化에 關한 것을 보여주고 있다. The stresses in a statically indeterminte structure are influenced by the deformation of the foundation while the pressure distribution on the foundation is affected by the relative stiffnesses of the structure and the foundation medium. To allow for this soil-foundation-structure interation a unified method of analysis is required. This investigation represents a model study of soil-foundation-structure interation in various structures.

      • 마이크로위글러를 이용한 콤펙트 자유전자 레이저

        金得龍,蘇鐵鎬,文鐘大,崔政植 東新大學校 工業技術硏究所 1994 工業技術硏究 Vol.1 No.-

        We propose that a new type of the electrostatic microwiggler can generate the field with a period (0.1 ㎜ ≤ 1_(w) ≤ 1 ㎜) and a strength (|E|_(w) ≤ 100 kV/m) on the PZT[Pb(Zr,Ti)0₃] surface when a high frequency and high power ultrasonic wave travels through a PZT bar. In oder to investigate the propagation characteristics of TE_(10) mode electromagnetic wave in the waveguide including the influence of the microwiggler caused by pizoelectric body, We manufacture the TE_(10) waveguide and make expriments with varying the physical parameters, such as, shapes, positions and materials. It is shown that, the single mode with the frequency of about 10 ㎓ propagates through the waveguide loaded by PZT bar and could be amplified from these experments. This microwiggler generated on the surface of PZT ber can be offered as a basis of an tunable and compact FIR free electron laser where a relatively low energy electron beam (E_(b) ≤ 100 keV) can emitts the radiation in the submillimeter region of the spectrum.

      • 황금(Scutellaria baicalensis)의 열수 추출물이 병원성 세균에 미치는 항균활성

        김은님,백종윤,김용현,한만덕 순천향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2008 순천향자연과학연구 논문집 Vol.14 No.1

        This study was investigated antibacterial activity of aqueous fractions from ScuteItaria baicalensis against various pathogenic bacteria. Extracts were obtained from the roots of 5. baicatensis which has shown selective antibactehal effects on various strains of bacteria. The aqueous extract of S. baicatensis was tested on 19 species of human pathogenic bacteria. The bacteria were cultured in nutrient broth, and YM broth then incubated aerobically at 37℃ for 18-24 hours. Antimicrobial activities tested by paper disc and radial diffusion assay methods. The aqueous extracts of 5. baicatensis inhibited the growth of most human pathogenic bacterial and showed 62.5㎎/㎖ of MIC values against StaphyIococcus aureus SG511 and 125㎎ /㎖ of MIC values against Staphytococcus aureus 285 and Staphylococcus aureus 503. These results suggest that S. baicaIensis extract can be used as an effective natural antibiotics.

      • 국내 항만정책의 분석 연구

        김성득,황종태 울산대학교 1998 공학연구논문집 Vol.29 No.2

        우리나라는 지난 20여년 간 너무나 急速한 經濟成長을 거치면서 持續的인 對外 指向的 經濟成長을 推進해왔다. 이러한 急速한 經濟成長을 이루면서 그 배후에는 港灣施設이 가장 중요한 役割을 하였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고도의 經濟成長을 거치면서 港灣施設의 확보는 너무나도 미흡하였고 港灣施設의 확충을 위한 政府의 投資 또한 經濟成長에 비하여 미흡하였다. 그 실 예로 外國의 경우 GNP대비 投資率 면에서 일본이 0.34%, 대만이 0.5%인데 비해서 우리 나라는 92년 0.15%에 불과한 실태이다. 우리 나라의 施設부족을 보면 1991년 全國의 港灣 物動量은 4억 1,318만 1천톤이며 이중에서 施設所要貨物量(油類貨物量 제외)은 2억 7,663만 1천톤으로서 荷役能力 2억 5,635만 2천톤에 비해 1,927만 9천톤이다. 이러한 施設부족은 계속 增加하여 2001년에 釜山港의 경우 2,581만 8천톤 仁川港은 3,792만 7천톤 光陽港은 5,517만 4천톤, 그리고 蔚山港의 경우 2,438만 4천톤의 施設부족을 보일 것으로 예상이 된다. 따라서 本 論文에서는 外國의 投資實態 및 港灣施設, 荷役能力, 그리고 항만지원시설등을 살펴보고 政府의 港灣 開發 政策을 진단하고자 한다. 현재 우리 나라는 2001년까지 전구 主要港灣에서의 적체현상을 대폭완화하고 2011년까지 완전 해소한다는 목표를 가지고 있다. 그 대표적인 예가 新港灣 開發 計劃이다. 인천 북항, 보령 新港灣, 새만금 新港灣, 목포 신외항, 부산 가덕도 新港灣, 蔚山 新港灣, 포항영일만 新港 등 7개항이다. 항만의 개발은 막대한 투자를 요구하기 때문에 개발의 경제적 타당성이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하며, 정치적 고려에 의한 지역 안배나 Two Port System과 같은 단순 논리의 개념은 배제 되어야 한다. 또한 港灣은 단 순한 荷役 場所가 아닌 快適하고 親環境的인 綜合港灣空間으로 造成이 되어야 한다. 따라서 단순한 荷役만을 目的으로 하는 港灣이 아닌 친수공간, 종합물류단지, 금융 및 정보통신, 국제회의장, 무역센터기능 등을 부여하는 등 體系的이고 普遍的인 港灣開發이 요구된다. The reapid economic growth of Korea for the past few decades could not have been achieved without the promotion of international trades including export of commodity goods and oversea construction services. For the promotion of exports good harbor facilities must play an important role, but it is found that the investment on harbor facilities of Korea has been insufficient compared with those of competing countries, such as Japan and Taiwan. In 1991 the overall figure of loading/unloading volume was 413,181,000 tons, among which 276,631 ton needed loading/unloading facilities other than pipe lines for petrochemical products. Compared with the figure 256,352 ton, the total loading/unloading capacity at that time, lack of harbor facilities turned up 19,279 ton per annum. This work aims at examining the harbor development policies of the port authority of Korea and a brief investigation into the current status of harbor facilities of some other countries. The targets set by Korean government are 1) to reduce delay of loading/unloading substantially by 2001 and 2) to completely resolve the problem of delaying loading/unloading operation. For these purposes they have plans to build new ports all over the coasts including North-Inchon, Samangum, New-Mokpo, Gaduckdo, New-Ulsan and Youngilma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