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생의 디지털 학습역량이 AI 지식수준과 중요도에 미치는 영향: AI 신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Jinok Susanna Kim(Jinok Susanna Kim),조혜영(Hyeyoung Jo),최서우(Seowoo Cho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17

        목적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디지털 학습역량이 AI 지식수준과 중요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이 과정에서 AI 신념의 매개효과를 통계적으로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해 전국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309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SPSS 25.0과 AMOS 23.0을 이용하여 연구변인의 경향성 및 정규성과 Pearson의 상관관계로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측정모형은 확인적 요인분석하였고, 구조모형은 구조방정식으로 알아보았다. 매개효과는 부트스트래핑 방법의 95% 양측검증으로 통계적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결과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변인들은 평균 3.0점 이상으로 모두 높게 나타났으나, AI 지식수준에 비해 중요도가 높게 나타났다. 디지털 학습역량과 AI 신념, AI 지식수준 및 중요도 간의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디지털 학습역량은 AI 신념과 AI 지식수준, AI 지식중요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AI 신념은 AI 교육중요도와 AI 지식수준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디지털 학습역량이 AI 지식수준 및 중요도에 영향을 주는 과정에서 AI 신념은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AI가 미래사회에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되므로 AI 교육정책과 교수-학습방법 등 변화하는 학습환경에 대응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igital learning capabilities on the level and importance of AI knowledge among university students, and to statistically analyze the mediating effect of AI beliefs in this process. Methods For this study, we surveyed 309 students at four-year universities across the country. SPSS 25.0 and AMOS 23.0 were used to analyze the trend and normality of the study variables and correlation by Pearson's correlation. The measurement model was examined through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hile the structural model was examined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mediating effects were tested for statistical significance using the bootstrapping method with a two-sided test at a 95% confidence level. Result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earch variables all showed values above 3.0; however, their importance was higher compared to the level of AI knowledge. We found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digital learning capabilities and AI beliefs, knowledge and importance of AI. Second, digital learning capabilities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AI beliefs, AI knowledge level, and AI knowledge importance. AI beliefs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the importance of training and knowledge in AI. Third, we find that AI beliefs partially mediate the effects of digital learning capabilities on knowledge and importance of AI.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would like to propose ways to respond to the changing learning environment, including AI education policies an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s AI is expected to play a key role in the future society.

      • KCI등재
      • KCI등재

        ESG 교육 유무에 따른 ESG 중요성 및 인식과 사회문제 인식 연구

        Jinok Susanna Kim(Jinok Susanna Kim),조혜영(Hyeyoung Jo),최서우(Seowoo Cho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7

        목적 본 연구에서는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ESG 교육 유무에 따른 ESG 중요성과 인식 및 사회문제 인식을 알아보고자 함에 목적이 있다. 방법 연구대상은 서울, 경기도, 충청도, 경상도, 전라도, 기타(강원도, 제주 등) 지역으로 4년제 대학교 유아교육과에 재학중인 255명이다. SPSS 25.0을 이용하여 ESG 교육 유무에 따른 차이검증을 t-검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변인들(ESG 중요성 및 인식과 사회문제 인식) 간의 관계는 피어슨의 상관관계로 분석하였고, 경향성과 정규성을 알아보았다. 결과 주요 연구결과는 첫째, ESG 교육 유무에 따른 ESG 중요성 및 인식과 사회적 문제는 교육을 받지 않은 재학생에 비해 교육을 받은 재학생이 더 높은 것으로 통계적인 유의성이 나타났다. 둘째, ESG 중요성 및 인식과 사회문제 인식 간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다만, 사회문제 인식과 ESG 인식의 하위요인인 Social 인식 간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 본 연구결과는 ESG 교육의 효과성을 검증한 것으로 유아교육과 특성을 고려한 ESG 교육과정 운영과 교육내용을 제시하고자 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difference between the importance and awareness of ESG, as well as social problem awareness, according to the completion of ESG education. Methods The subjects of the study are 255 students major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t four-year universities located in Seoul, Gyeonggi-do, Chungcheong-do, Gyeongsang-do, Jeolla-do and others (Gangwon-do, Jeju, etc.). Using SPSS 25.0, the difference verification according to the completion of ESG education was analyzed by t-test,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search variables(importance and awareness of ESG, social problem awareness) was examined by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Furthermore, explored trends and normality. Results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importance and awareness of ESG, social problem awareness showed higher with the students who completed ESG education than who did not, which had a statistical significance. Seco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importance and awareness of ESG, social problem awareness. However,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as not found between social problem awareness and the sub-factor of ESG awareness, specifically social awareness.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meaningful in that it aims to validate the effectiveness of ESG education,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intention is to provide guidance for the implementation and content of ESG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settings.

      • KCI등재

        리더육성 장학사업 참여 대학생의 진로결정성과 진로설계, 학업 및 대학적응 간의 구조적 관계

        Jinok Susanna Kim(Jinok Susanna Kim),조혜영(Hyeyoung J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7

        목적 본 연구는 대학생의 진로결정성, 진로설계, 학업 및 대학적응 간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고, 중⋅소도시와 대도시 지역에 따른 다집단으로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본 연구의 대상은 삼성꿈장학재단에서 2020년 리더육성 장학사업 수강자 중 본 연구도구에 모두 응답한 286명이다. SPSS 22.0과 AMOS 2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집단 구조방정식과 변수 간의 구조관계를 분석하였다. bootstrap 추정방법으로 95% 신뢰구간에서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결과 주요 결과는 다음에 제시하였다. 첫째, 학업 및 대학적응을 중심으로 Pearson의 상관분석 결과, 진로결정성과 진로설계 간의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진로설계는 진로결정성이 학업 및 대학적응에 영향을 주는 과정에서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소도시와 대도시 지역에 따른 다집단 분석 결과, ‘진로결정성➔학업 및 대학적응’ 경로에서 대도시 학생들에 비해 중⋅소도시 학생들에게 강력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 부분 조절효과가 검증되었다. 결론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리더육성 장학사업을 통해 학업 및 대학적응을 제고하기 위한 실질적인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그리 고 학습정보의 접근성 차이로 발생되는 부정적인 영향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안을 논의 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university students’ career decision making, career design, and academic⋅adaptation to university and to analyze them according to small cities, large cities area multi-group analysis. Method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consisted of 286 individuals who had participated in the 2020 Leader Development Scholarship Project at the Samsung Dream Scholarship Foundation and had responded to all of the research instruments. It was analyzed by the multi-group structural equation and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variables using the SPSS 22.0 and AMOS 24.0 programs. The mediating effect was verified in the 95% confidence interval by the bootstrap estimation method. Results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looking at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results focusing on university adaptation factors,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career decision making and career design. Second, the career design mediated fully in the process of career decision making affecting academic⋅adaptation to university. Third, the results of the multi-group analysis based on the small and large cities areas showed that “career decision making➔academic⋅adaptation to university” had a stronger influence on students in small cities compared to those in large cities, thus proving the partial adjustment effect.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propose implementing practical measures to improve adaptation to college life through the leader development scholarship project. And several measures were discussed to mitigate the negative impacts of the information access gap on learning.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고교 생태환경 교과목 이수에 따른 환경문제 감수성과 친환경 행동, 자연친화적 교수태도 차이 연구: 유아교육과 신입생을 대상으

        Jinok Susanna Kim,조혜영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23

        목적 본 연구는 고교 생태환경 교과목 이수에 따른 유아교육과 신입생의 환경문제 감수성과 친환경 행동, 자연친화적 교수태도의차이를 검증함에 목적이 있다. 방법 연구대상은 서울, 경기도, 충청남도, 충청북도 소재지 4년제 대학교 유아교육과 신입생 137명이다. SPSS 25.0을 이용하여고교 생태환경 교과목 이수에 따른 차이검증을 t 검정으로 분석하였고, 연구변인들 간의 관계는 피어슨의 상관 계수(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로 알아보았다. 연구변인의 경향성과 정규성을 알아보았다. 결과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교 생태환경 교과목 이수에 따른 생태환경 교과목 필요도, 요구도, 중요도와 환경문제감수성, 친환경 행동, 자연친화적 교수태도는 미이수 신입생에 비해 이수 학생이 더 높은 것으로 통계적인 유의성이 나타났다. 둘째, 고교 생태환경 교과목 필요도, 요구도, 중요도와 환경문제 감수성, 친환경 행동, 자연친화적 교수태도 간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결과는 생태환경 변화의 위기상황에서 예비유아교사의 친화적 환경교육 실천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데 기초자료를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에 예비유아교사의 환경에 대한 인식 개선에 필요한 교과와 비교과 교육과정을 구분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difference between environmental sensitivity, eco-friendly behavior, and eco-friendly teaching attitudes according to the completion of high school ecological environment subjects. Methods The subjects of the study are 137 first-year students major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t four-year universities located in Seoul, Gyeonggi-do, Chungcheongnam-do, and Chungcheongbuk-do. Using SPSS 25.0, the difference verification according to the completion of high school ecological environment subjects was analyzed by t-test,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search variables was examined by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The tendency and normality of the study variables were investigated. Results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necessity, demand, and importance of ecological subjects, environmental sensitivity, eco-friendly behavior, and eco-friendly teaching attitude showed higher with the students who completed high school ecological environment subjects than who did not, which had a statistical significance. Seco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necessity, demand, and importance of high school ecological subjects, environmental sensitivity, eco-friendly behavior, and eco-friendly teaching attitude.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s basic data for suggesting ways to practice eco-friendly environmental education for pre-service childhood teachers in a crisis of eco-environmental change. Therefore, I would like to present the separate subject curriculum and extracurricular curriculum which are necessary to improve the environmental awareness of pre-service childhood teachers.

      • KCI등재

        K-MOOC 인식과 교수실재감 및 대학생활 만족도 간의 구조적 관계

        Jinok Susanna Kim,한진욱(Jin Wook Han),조혜영(Hyeyoung J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20

        목적 본 연구는 K-MOOC 인식과 교수실재감, 대학생활 만족도 간의 구조적 관계를 알아보고, K-MOOC 경험 여부에 따른 다집단으로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연구대상은 2022년 까지 K-MOOC 과정을 운영하는 충청권역 대학교 재학생 244명이다. SPSS 18.0과 AMO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변인들 간 구조적 관계와 다집단 구조방정식으로 분석하였다. 변인들 간의 관계는 피어슨의 상관관계로 분석하였고, 경향성과 정규성을 알아보았다. 결과 주요결과는 첫째, K-MOOC 인식과 교수실재감 및 대학생활 만족도 간의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측정모형은 적합했으며, K-MOOC 인식이 대학생활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과정에서 교수실재감이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K- MOOC 경험 유무에 따른 다집단 분석결과, K-MOOC 이수 재학생이 미이수 재학생에 비해 ‘교수실재감→대학생활 만족도’에 강력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 부분 조절효과가 입증되었다. 결론 본 연구결과는 K-MOOC에 대한 인식을 제고시키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한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또한, K-MOOC 활성화 방안을 대학과 학과 중점으로 제안하고자 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K-MOOC perception, teach-ing presence, and university life satisfaction, and to analyze them according to participation in K-MOOC courses using a multi-group analysis. The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variables, and the trends and normality were assessed. Methods The subjects of the study are 244 students at Chungcheong-do University who are taking K-MOOC courses by 2022. It was analyzed by the multi-group structural equation and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var-iables using the SPSS 25.0 and AMOS 23.0 programs. Results These are the main results. First,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erception of K-MOOC, teach-ing presence and university life satisfaction. Second, the measurement model was deemed suitable, and teaching presence was found to be a complete mediator in the process of K-MOOC perception affecting university life satisfaction. third, the results of multi-group analysis based on participation in K-MOOC courses showed that ‘teaching presence -> university life satisfaction’ had a stronger influence on students who took K-MOOC courses than those who didn't, proving the partial adjustment effect.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meaningful in that they provide basic data to raise awareness of K-MOOC. In addition, we would like to propose a plan to activate K-MOOC, focusing on universities and departments.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