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Exploring the Social Proxemics of Human-Drone Interaction

        Han, Jeonghye,Moore, Dylan,Bae, Ilhan The Institute of Internet 2019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 Vol.8 No.2

        Drones will evolve from military to personal or social purposes. How can people socially interact with a drone that is familiar to them? This study explored the social proximity of human drone interaction with safety glass wall between participants and drone. The experiment results showed that drone's altitude, size and gender factor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social proxemics as to what extent participants got closer to hovering drones by the limitation of the distance from the safety wall. However, it shows a tendency that participants more closely approached an eye-level drone compared with an overhead drone, and females tended to approach more closely males. This study consequently demonstrated that most participants are nearly ready to allow a near field operation of social drone under safe conditions.

      • KCI등재후보

        인공지능 스피커의 교육적 활용에서의 윤리적 딜레마

        한정혜 ( Jeonghye Han ),김종욱 ( Jong-wook Kim ) 한국창의정보문화학회 2021 창의정보문화연구 Vol.7 No.1

        인공지능 국가전략이 발표되면서 인공지능의 교육에 대한 다양한 정책들이 제안되고 있고 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인공지능융합교육도 활발히 추진되고 있다. 또한 인공지능 스피커는 각 가정에 판매 및 보급이 되고 있는 실정이고, 인공지능 스피커의 교육적 활용 현장연구들이 시작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인공지능 윤리에서 인공지능 스피커가 발생시킬 논란이 될 문제들을 살펴보고, 가정이나 학교에서 인공지능 스피커가 활용될 때 발생할 수 있는 윤리적 딜레마를 도출해보고자 한다. 이 딜레마는 인공지능 스피커에 대한 집단별 도덕적 판단력 수준 측정 MCT(Moral Competence Test)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With the announcement of the AI national strategy, various policies for AI education are being proposed, and AI convergence education for teachers is actively being promoted. In addition, AI speakers are being sold and distributed to each home, and field studies of educational use of AI speakers have just started. This study examines the controversial problems that AI speakers may cause in AI ethics, and attempts to derive an ethical dilemma that may arise when AI speakers are used at home or at school. This dilemma can be used in the moral competence test (MCT), which measures the level of moral judgment for each group of artificial intelligence speakers.

      • 네트워크기반 지능형 서비스 로봇(URC) 프로젝트를 위한 학제간 유비쿼터스 로봇기술 컨버전스 정책

        한정혜(Jeonghye Han),이재연(Jaeyeon Lee),조영조(Youngjo Cho) 한국정보과학회 2005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2 No.1

        본 연구에서는 2003년부터 정보통신부의 주도로 차세대 신성장 동력 산업으로 지능형 로봇 URC 프로젝트의 산업화 성공을 위하여 로봇 요소기술 뿐만 아니라, 컴퓨터과학과 정보통신공학의 IT와 기계공학의 RT를 인체공학, 심리학, 뇌과학, 언어학, 인지과학, 행동학 등의 복합과학적 HRI 연구와 결합하는 학제간 유비쿼터스 로봇기술 컨버전스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정책적 육성 전략을 제시하였다. 즉, 복합과학적 HRI연구 인력을 발굴하고 연구지원, 성인보다는 아동과 노인을 대상으로 HRI 현장 실험연구가 다양하게 이루 어지도록 지원, HRI에 기반한 로봇 서비스를 정의하여 국제적 BM특허와 로봇 컨텐츠 표준화, 로봇시장의 확대를 위한 사회학적 HRI 연구와 로봇의 역기능에 대한 HRI 연구와 지원이 이루어져야 하겠다.

      • 초등교육용 멀티미디어 컨텐츠 설계에서 아동 감성 기반 아이콘 평가의 필요성 분석

        한정혜,조미헌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02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Vol.5 No.3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활용한 교수·학습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인터페이스의 설계를 중시해야하며, 학습자들의 정의적인 특성을 또한 고려해야한다. 이에 본 연구는 초등교육용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명령어 처리를 위한 인터페이스로서의 아이콘 설계에 초점을 두고, 아동과 성인으로서의 교사의 감성을 비교하여 감성의 차이 존재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감성을 기반으로 한 아이콘 평가의 필요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아동이 교사보다 평균 감성이 더 풍부하다는 사실이 밝혀졌으며, 아동 집단 내에서는 도시지역의 아동들이 시골지역의 아동들보다 평균 감성 풍부성이 더 높다는 사실이 발견되었다. 그와 더불어서 아동과 교사간에는 감성 풍부성의 차이뿐만 아니라 감성의 방향 즉 긍정·부정의 감성 분포에서도 차이가 있다는 사실이 발견되었으며, 아동들은 특정 사이트들에 대해서 교사들과는 다른 감성 분포에서도 차이가 있다는 사실이 발견되었으며, 아동들은 특정 사이트들에 대해서 교사들과는 다른 감성 반응을 보인다는 사실 또한 발견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아동들을 대상으로 한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아이콘을 설계함에 있어서 아동의 감성을 기반으로 한 평가의 필요성을 부각시켰다. In order to enhance instructional effects of multimedia contents, it is critical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interface and the affective aspects of learner characteristics in design processes. The main aim of this research was to assess the needs for evaluating icon design strategies on the basis of children's sensibilities by investigating differences between children and teachers in their sensibilities to the icons used in multimedia contents for elementary education. Some interesting findings were obtained from the research. Children had richer sensibilities to the icons presented in multimedia contents than teachers in terms of the average number of adjectives reflecting sensibilities. Among the children group, children living in urban areas showed richer sensibilities to the contents than those in rural areas. When the frequencies of the use of 5 adjectives commonly used by the two groups were compared, teachers showed positive sensibilities, but children demonstrated some negative sensibilities. Also children demonstrated richer sensibilities to certain contents than teacher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indicated the need for evaluating icon design strategies on the basis of children's sensibilities in designing multimedia contents for children.

      • KCI등재

        소셜미디어와 소비자 구매 결정과의 관계: 서울 공유 자전거에 대한 시계열 분석을 중심으로

        한수현 ( Suhyeon Han ),장정화 ( Junghwa Jang ),최정혜 ( Jeonghye Choi ),장수령 ( Sue Ryung Chang ) 한국지식경영학회 2021 지식경영연구 Vol.22 No.4

        소셜미디어의 유형이 다양해지면서 소셜미디어를 활용하여 소비자의 구매 결정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소셜미디어에 대한 유형별 이해와 좀 더 세분화된 전략 도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소셜미디어를 표현형 소셜미디어와 관계 및 공유형 소셜미디어 두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고, 소비자 구매 결정과 유형별 소셜미디어 언급량 간의 상호 영향력에 대해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서울시 공유 자전거인 따릉이 데이터와 소셜미디어 상에서 해당 공유 자전거의 일별 언급량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외생변수 벡터 자기회귀 모형(VARX)을 적용해서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표현형 소셜미디어 언급량 증가는 신규 가입과 대여 건수 모두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반면, 관계 및 공유형 소셜미디어는 공유 자전거의 신규 가입에는 오히려 부정적인 영향을 주고 대여 건수 증가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신규 가입자는 두 유형의 소셜미디어 내 제품 언급량 증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반면, 대여 건수는 유형에 상관없이 소셜미디어 내의 제품 언급량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신규 가입과 구매를 유도하기 위한 세분화된 유형별 소셜미디어 전략 도출에 활용될 수 있으며, 최근 급성장하고 있는 공유 경제 산업 내의 소셜미디어 마케팅 전략 수립에도 유용한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With the emergence of various types of social media and the diversification of their roles, it has become essential for marketers to understand how different types of social media influence consumers’ purchase decisions differently and derive more detailed strategies by social media types. This study classifies social media into two types―expression-focused social media and relationship-focused social media―and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umer purchases and social media mentions by type. Using the Seoul bike-sharing data and time-series data for social media mentions, we apply the VAR model with Exogenous Variables (VARX). We find that the increase of product mentions in expression-focused social media positively affects both the number of new customers (customer acquisition) and the number of shared bike rentals, while that in relationship-focused social media negatively affects the number of new customers only. In addition, as new customers increase, the product mentions in both types of social media increase. On the other hand, the number of bike rentals has no significant effect in increasing social media mentions regardless of type.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social media and sharing economy literature and provides managerial implications for establishing sophisticated social media marketing in bike-sharing businesses.

      • KCI등재

        Analysis on Acceptance and Use of Technology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Telepresence Robot-assisted Learning

        Hyewon Lee,JeongHye Han 한국정보교육학회 2019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23 No.6

        원격 로봇보조학습은 신체적・지적・문화적・환경적으로 취약한 학생들에게 교육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으며, 농산어촌 고교학점제의 어학관련 과목의 온라인교육과정을 대체하거나 세계시민교육을 위한 국제교류학습에 활 용할 수 있으나, 현재까지 수용모델 연구는 예비교사를 대상으로만 이루어졌으며 사후사용의도 요인은 고려하지 않았다. 따라서 본 논문은 초등교사를 대상으로 원격 로봇보조학습에 대하여 사용의도와 사후 사용의도에 영향 을 주는 기초 요인을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원격 로봇보조학습에 대하여 초등교사들은 성별에 의해 각 요인이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며, 경력이 많은초등교사들이 FC, PAD, PS, SP에서 더 긍정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나 왔다. 또 수용의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PU, ATT, PENJ, SI, Ttrust 모두 매우 유의미 있게 나왔다. 이와 같은 원격 로봇보조학습에 대한 초등 교사들의 수용의도를 바탕으로 교육정보 정책 수립을 할 수 있을 것이다. Telepresence robot-assisted learning can provide opportunities of education for students who are in vulnerable physical, intellectual, cultural or environmental conditions. It is to be applied in international virtual education for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To date, the study of acceptance model has been conducted only for preservice teachers, and post-intention for use is not considered. This paper identified whether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by gender or years of experience from elementary school teachers on it and the basic factors that affect the acceptance intentions for it. Factors related to intention to use for a telepresence robot were investigated, and a questionnaire about post-intention for use was made after participants operated. The results showed that elementary school teachers did not hav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each factor by gender. The experienced teachers showed no difficulty in using it. It was shown that PU, ATT, PENJ, SI and Ttrust were all extremely significant factors to affect acceptance intentions. It will be possible to establish educational information policies based on the acceptance intention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on telepresence robot-assisted learning.

      • KCI등재
      • KCI등재

        내러티브-종이아트 활동 기반 로봇활용 SW교육 효과성 비교

        손경진,한정혜,Sohn, Kyungjin,Han, JeongHye 한국정보교육학회 2018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22 No.4

        The national curriculum includes the problem solving process, algorithms, and programming of SW education. The education using robots is one of attractive alternatives for students who have no interest of SW or are poor at programming. We have developed a courseware using robots for SW education based on paper art activities with narrative storytelling to enhance students' creative thinking and problem solving within limitation of class time in schools. We apply the courseware and obtained the result of pre and post-test on the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of third graders in the elementary school The four factors of creative problem solving have shown significantly increase. In addition, it had an significant effects for understanding robot technology and for learning attitude using robots of SW or programming. 2015 교육과정에는 SW교육의 문제해결과정, 알고리즘 및 프로그래밍 교육을 포함하고 있는데, 컴퓨터에 능숙하지 않거나 흥미가 없는 학생을 대상으로 직접 만지고 체험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역량을 강화할 수 있도록 로봇활용교육도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로봇활용교육에서 로봇을 제작하는 시간제한을 극복하면서도 창의적 활동을 할 수 있는 내러티브 종이아트 활동을 기반으로 하는 로봇활용 SW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초등학교 3학년을 대상으로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대해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한 결과, 창의적 문제해결의 하위 요소 4가지는 모두 유의미한 상승을 보여주었다. 또한 로봇에 대한 이해력과 학습태도도 유의미한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후보

        초등학교 영어 교육용 로봇 콘텐츠 개발 및 적용

        이승민(Lee, Seungmin),한정혜(Han, Jeonghye) 한국영어교과교육학회 2009 영어교과교육 Vol.8 No.2

        Robots are new types of teaching materials for elementary English education. They can provide a powerful methodology for involving students in an interesting, emotional and authentic learning experience with language used for genuine communicative purposes. They are student-centered, and they take the experience of the classroom out into the world. This study attempted to develop the contents of a robot for elementary English education and examine their effects in elementary English classes. The contents were developed according to the elementary English curriculum. In the contents, new technologies for language learning, such as voice recognition, face recognition, pattern recognition and video chat were used. Through this research, it is believed that robots can help students acquire basic communicative competence and give them opportunities to develop their confidence and to work together real world environment by interacting with each oth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