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 Study on Public Design Applicability Through Extraction of Healing Environment Elements

        JonghoonLim ( 임종훈 ),JeannyLim ( 임진이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7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2 No.5

        (Background and Purpose) The paradigm of the urban environment is also shifting as it is undergoing rapid urbanization. In this process, various social problems are exposed, and the public space, emphasizing the functional aspect in the existing urban environment, has limitations in meeting the needs of the users. These problems led to increased interest in the psychological environment, and it has become an opportunity to recognize the need for an urban environment that meets user need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ypes of healing environments through preceding research and to propose the feasibility of their applications to public design through the extraction of healing environment elements based on the analysis. (Method) In Chapter 2, we theoretically examined the concept of the healing environment and the trends of the preceding research. In Chapter 3, we reconstructed the healing environment types through the analysis of preceding research. In Chapter 4, we derived concrete elements according to reclassified healing environment types, and conducted a comprehensive analysis. In Chapter 5, we presented the results of the research based on the preceding research. (Results) In the analysis of the preceding research, nine types of existing healing environments derived based on frequency were reclassified as physical environment, psychological environment, social environment, and behavioral environment. First, among the types of healing environments, the physical environment has objective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its concrete elements like pathfinding and accessibility have the same meaning as “accessibility” in public design evaluation items. Second, the psychological environment is an intrinsic factor. Concrete elements derived from this type of healing environment include privacy, comfort, habitability, and intimacy. Third, the social environment holds an objective and its related factors. Concrete elements derived from this type of healing environment include social interaction, communication, sociality, public sphere, system, regulation, and program. Fourth, the behavioral environment is an external factor, and its concrete elements include information exchange, environmental adaptability, and interaction. (Conclusions) Natural factors in the physical environment have an effect of providing psychological stability to the users which infers it is essential in obtaining healing effect of the users. In the psychological environment, it is found that psychological stability and healing concepts are applied by providing a space for users, based on the element of comfort. In the social and behavioral environments, it was found that creating the space where the community can be activated is highly important. This can be applied as a vital component in public design which emphasizes publicness. This study has its significance in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the user-centered psychological environments in healing environments, and its value is in that it suggests the possibility of applying the elements of healing environments to public design. (연구배경 및 목적) 급속한 도시화 과정을 거치면서 도시환경에 대한 패러다임도 변하고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다양한 사회적 문제들이 표출되었으며, 기존 도시환경에서 기능적인 측면만을 강조한 공공공간은 사용자의 요구를 충족시키기에는 그 한계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는 심리적 환경에 대한 관심의 증대를 가져왔으며, 사용자 요구에 맞는 도시환경에 대한 필요성을 인식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통한 치유환경의 유형들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치유환경 요소 추출을 통한 공공디자인 적용가능성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2장에서는 치유환경의 개념 및 선행연구의 동향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진행하였다. 3장에서는 선행연구들의 분석을 통해 치유환경 유형의 재구성을 진행하였다. 4장에서는 재분류한 치유환경 유형에 따른 구체적 요소를 도출하고, 이를 통해 종합적인 분석을 진행하였다. 5장에서는 지금까지 진행한 연구를 토대로 연구의 결과를 제시하였다. (결과) 선행연구의 분석을 통해 빈도순으로 도출한 9개의 기존 치유환경의 유형을 물리적 환경, 심리적 환경, 사회적 환경, 행태적 환경으로 유형화하였다. 첫째, 치유환경 유형 중 물리적 환경은 객관적이고 물리적인 요소로 이들 요소들 중 길찾기와 접근성은 공공디자인 평가항목에서의 접근성과 그 의미가 같다. 둘째, 심리적 환경은 내현적인 요소로서 치유환경에서 도출한 구체적인 요소로는 프라이버시, 쾌적성, 거주성, 친근감 등이 있다. 셋째, 사회적 환경은 객관적이고 관계적인 요소로서 치유환경에서 도출한 구체적인 요소는 사회교류, 커뮤니케이션, 사회성, 공적영역, 제도, 규정, 프로그램 등이 있다. 넷째, 행태적 환경은 외현적 요소로서 치유환경에서 도출한 구체적인 요소로는 정보교환, 환경적응성, 상호작용 등이 있다. (결론) 물리적 환경에서 자연요소는 사용자들에게 심리적인 안정감을 제공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으며, 치유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매우 중요한 요소임을 알 수 있었다. 심리적 환경에서는 쾌적성을 기반으로 한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심리적 안정과 함께 치유적 개념이 적용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사회적 환경과 행태적 환경에서는 커뮤니티가 활성화될 수 있는 공간이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공공성이 강조되는 공공디자인에 있어 매우 중요한 요소로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는 치유환경에서 사용자 중심의 심리적 환경의 중요성을 인식했다는데 그 의의가 있으며, 치유환경의 요소들을 공공디자인에 적용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안했다는 점에서 그 가치를 두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