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Internationally Adopted Koreans and the Movement to Revise the Korean Adoption Law

        Jane Jeong Trenka(제인 트렌카) 이화여자대학교 젠더법학연구소 2011 이화젠더법학 Vol.2 No.2

        해외입양문제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여러 단체가 최영희 국회의원이 대표발의 한“한국의 입양촉진 및 절차에 관한 특례법”을 개정하는 데 의견을 모았다. 해당 참여단체는 진실과 화해를 위한 해외입양인모임(TRACK), 국외입양인연대(ASK), 민간단체 뿌리의집(KoRoot), 한국미혼모가족협회(미스맘마미아로도 알려진 KUMFA), 입양으로 아이를 잃은 부모들을 위한‘민들레’단체, 공익변호사그룹 공감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글은 서울에서의 입양아의 상황을 개선하는데 기여한 단체와 사람들의 역사를 요약하는 것에서 시작한다. 이들의 노력을 통해 대부분 입양아가 한국 시민으로 인정조차 되지 않았을 때조차 입양아들이 일하고 살아가는 것을 가능하게 하였고, 입양촉진과 절차에 관한 특례법이 개정되도록 하였다. 또한 일부 입양아에게 관련활동가가 되어 일할 수 있는 공간을 열어주었다. 또한 나는 한국에서 아이를 양육하는 비혼모, 입양으로 아이를 잃은 부모를 비롯한 사람들과 해외로 입양된 한국인 사이의 오랜 시간동안 쌓여온 관계에 대한 짧은 역사를 서술하고자 한다. 2000~2009년에 법적으로 입양된 아이들의 평균 89.17%는 비혼모의 자녀였다. 하지만 한국의 모든 입양은 법의 테두리 밖에서 이루어져 드러나지 않는 형태를 띤다. 비혼모의 자녀가 여기에 해당될 것으로 추정된다. 다음 장은 이명박 정부에서 국민권익위원회로 통합된 한국 고충처리위원회(옴부즈만)의 요구사항과 더불어 그간 TRACK이 입양법 개정을 어떻게 이루어왔는지에 대한 역사에 대한 것이다. 잘못된 방향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입양실태를 검토하려던 TRACK의 시도들이 좌절되었지만, 공익변호사그룹 공감이 입양법 개정노력을 계속해야 한다고 설득하여 함께 힘을 모아 입양법 개혁을 이어가게 된다. 다음 장에서는 아동보호에 관한 한국 법규를 국제기준까지 끌어올리는 것을 위해서, 유엔아동권리협약(the United Nations Convention on the Rights of the Child)과 1993년 5월 29일 국가간 입양에 관한 아동보호 및 협력에 관한 헤이그협약(The Hague Convention on Protection of Children and Co-operation in respect of Intercountry Adoption)을 검토한다. 한국은 아직 동 헤이그협약을 비준하지 않았고, 유엔아동권리 협약 제21조(a), 제40조의2(b)(v)을 유보한 상태이다. 나는 한국정부가 한국 내에서 위의 협약을 실질적인 차원에서 집행하고 시행하는 과정에 입양아, 한부모, 입양에 의해 아이를 잃은 부모와 가족의 의견이 포함되어야 한다고 주장하는 바이다. 마지막 장에서는 서두에 언급한 여러 단체가 법개정 내용으로 권고한 내용을 다룬다. A coalition of parties affected by international adoption has banded together to revise South Korea’s Special Law on Adoption Promotion and Procedure with a bill sponsored by National Assembly member Choi Young-hee(DP). The coalition consists of the overseas adoptee organizations Truth and Reconciliation for the Adoption Community of Korea(TRACK) and Adoptee Solidarity Korea(ASK), the civic organization KoRoot(House of Korean Root), Korean Unwed Mothers and Family Association(KUMFA, also known as Miss Mamma Mia), Dandelions group for parents who lost children to adoption, and the Gonggam Public Interest Lawyers. This article starts by giving a brief history of the people and organizations involved in fostering an environment in Seoul where it became possible for adoptees to live and work full-time, and that led to a opening a space where some adoptees chose to do activist work, including the proposal of changes to the Special Law on the Procedure and Promotion of Adoption when most are not even recognized as Korean citizens. I also give a short history of the relationships that have been built over time between the internationally adopted Koreans and people in the Korean society, including child-rearing single mothers and parents who lost children to adoption. An average of 89.17 of the children legally adopted from 2000-2009 were the children of unwed single mothers, whereas all of the secret adoptions within Korea, which are conducted outside the law, are presumed to involve the children of these mothers. The next part of the article is a history of how TRACK came to spearhead the adoption law revisions, beginning with a request to the ombudsman of Korea, which was later folded into the Anti-Corruption and Civil Rights Commission under the Lee Myung-bak administration. This frustrated attempt to investigate corrupted adoptions led to our cooperation with the Gonggam Public Interest Lawyers, who persuaded us to try to reform the adoption law. The next part of the article is a look at the United Nations Convention on the Rights of the Child and The Hague Convention of 29 May 1993 on Protection of Children and Co-operation in Respect of Intercountry Adoption with an eye toward bringing South Korea up to international standards for child protection. South Korea has not yet ratified the Hague convention and considers itself not bound by sub-paragraph(b)(v) of paragraph 2 of Article 40: and paragraph(a) of Article 21 of the UN CRC. I recommend that the South Korean government should include the opinions of adoptees, single parents, and parents and families who lost children to adoption in processes that will determine how the language of the convention is interpreted and enforced at a practical level within Korea. The last part of the article concerns the coalition’s recommendations for law reform.

      • KCI등재

        Internationally Adopted Koreans and the Movement to Revise the Korean Adoption Law

        Jeong Trenka, Jane 이화여자대학교 젠더법학연구소 2011 이화젠더법학 Vol.2 No.2

        A coalition of parties affected by international adoption has banded together to revise South Korea’s Special Law on Adoption Promotion and Procedure with a bill sponsored by National Assembly member Choi Young-hee(DP). The coalition consists of the overseas adoptee organizations Truth and Reconciliation for the Adoption Community of Korea(TRACK) and Adoptee Solidarity Korea(ASK), the civic organization KoRoot(House of Korean Root), Korean Unwed Mothers and Family Association(KUMFA, also known as Miss Mamma Mia), Dandelions group for parents who lost children to adoption, and the Gonggam Public Interest Lawyers. This article starts by giving a brief history of the people and organizations involved in fostering an environment in Seoul where it became possible for adoptees to live and work full-time, and that led to a opening a space where some adoptees chose to do activist work, including the proposal of changes to the Special Law on the Procedure and Promotion of Adoption when most are not even recognized as Korean citizens. I also give a short history of the relationships that have been built over time between the internationally adopted Koreans and people in the Korean society, including child-rearing single mothers and parents who lost children to adoption. An average of 89.17 of the children legally adopted from 2000-2009 were the children of unwed single mothers, whereas all of the secret adoptions within Korea, which are conducted outside the law, are presumed to involve the children of these mothers. The next part of the article is a history of how TRACK came to spearhead the adoption law revisions, beginning with a request to the ombudsman of Korea, which was later folded into the Anti-Corruption and Civil Rights Commission under the Lee Myung-bak administration. This frustrated attempt to investigate corrupted adoptions led to our cooperation with the Gonggam Public Interest Lawyers, who persuaded us to try to reform the adoption law. The next part of the article is a look at the United Nations Convention on the Rights of the Child and The Hague Convention of 29 May 1993 on Protection of Children and Co-operation in Respect of Intercountry Adoption with an eye toward bringing South Korea up to international standards for child protection. South Korea has not yet ratified the Hague convention and considers itself not bound by sub-paragraph(b)(v) of paragraph 2 of Article 40: and paragraph(a) of Article 21 of the UN CRC. I recommend that the South Korean government should include the opinions of adoptees, single parents, and parents and families who lost children to adoption in processes that will determine how the language of the convention is interpreted and enforced at a practical level within Korea. The last part of the article concerns the coalition’s recommendations for law reform. 해외입양문제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여러 단체가 최영희 국회의원이 대표발의 한“한국의 입양촉진 및 절차에 관한 특례법”을 개정하는 데 의견을 모았다. 해당 참여단체는 진실과 화해를 위한 해외입양인모임(TRACK), 국외입양인연대(ASK), 민간단체 뿌리의집(KoRoot), 한국미혼모가족협회(미스맘마미아로도 알려진 KUMFA), 입양으로 아이를 잃은 부모들을 위한‘민들레’단체, 공익변호사그룹 공감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글은 서울에서의 입양아의 상황을 개선하는데 기여한 단체와 사람들의 역사를 요약하는 것에서 시작한다. 이들의 노력을 통해 대부분 입양아가 한국 시민으로 인정조차 되지 않았을 때조차 입양아들이 일하고 살아가는 것을 가능하게 하였고, 입양촉진과 절차에 관한 특례법이 개정되도록 하였다. 또한 일부 입양아에게 관련활동가가 되어 일할 수 있는 공간을 열어주었다. 또한 나는 한국에서 아이를 양육하는 비혼모, 입양으로 아이를 잃은 부모를 비롯한 사람들과 해외로 입양된 한국인 사이의 오랜 시간동안 쌓여온 관계에 대한 짧은 역사를 서술하고자 한다. 2000~2009년에 법적으로 입양된 아이들의 평균 89.17%는 비혼모의 자녀였다. 하지만 한국의 모든 입양은 법의 테두리 밖에서 이루어져 드러나지 않는 형태를 띤다. 비혼모의 자녀가 여 기에 해당될 것으로 추정된다. 다음 장은 이명박 정부에서 국민권익위원회로 통합된 한국 고충처리위원회(옴부즈만)의 요구사항과 더불어 그간 TRACK이 입양법 개정을 어떻게 이루어왔는지에 대한 역사에 대한 것이다. 잘못된 방향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입양실태를 검토하려던 TRACK의 시도들이 좌절되었지만, 공익변호사그룹 공감이 입양법 개정노력을 계속해야 한다고 설득하여 함께 힘을 모아 입양법 개혁을 이어가게 된다. 다음 장에서는 아동보호에 관한 한국 법규를 국제기준까지 끌어올리는 것을 위해서, 유엔아동권리협약(the United Nations Convention on the Rights of the Child)과 1993년 5월 29일 국가간 입양에 관한 아동보호 및 협력에 관한 헤이그협약(The Hague Convention on Protection of Children and Co-operation in respect of Intercountry Adoption)을 검토한다. 한국은 아직 동 헤이그협약을 비준하지 않았고, 유엔아동권리협약 제21조(a), 제40조의2(b)(v)을 유보한 상태이다. 나는 한국정부가 한국 내에서 위의 협약을 실질적인 차원에서 집행하고 시행하는 과정에 입양아, 한부모, 입양에 의해 아이를 잃은 부모와 가족의 의견이 포함되어야 한다고 주장하는 바이다. 마지막 장에서는 서두에 언급한 여러 단체가 법개정 내용으로 권고한 내용을 다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