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바소프레신의 이뇨작용

        고석태,윤재경,유강준 朝鮮大學校 1997 藥學硏究誌 Vol.18 No.2

        Vasopression which is antidiuretic hormone in human body produced the diuretic action in dog. This atudy was investigated in order to certify the diuretic action and to search out the mechanism of the action on the vasopression. Vasopressin, when given in a dose of 10.0mU/㎏, bolus+1.0mU/㎏/min intravenously, exhibited the increase of urine flow(Vol), renal plasma flow(RPF), osmolar clearance(Cosm) and amounts of sodium and potassium excreated in urine(E_Na, E_K), the decrease of reabosorption rate of sodium and potassium in renal tubules(R_Na, R_K), and then elevated the mean arterial pressure(MAP). Vasopressin given in a increased dose to 30.0 mU/㎏,bolus+1.0mU/㎏/min intravenously elicited the same aspect with that exhibited by a small dose in changes of Vol. and all reansl fuction and potentiated the change rates, whereas this time MAP did not change at all when compared with control value. Vasopressin, when adminstered into a renal artery, but increased slightly the Vol, glomeruler filtration rate(GFR). E_Na and E_K excepted the no change of R_Na and R_K in the control (not administered)kidney. Vasopressin. when infused into carotid artery, showed the increase of Vol. GFR,E_Na, E_K and no change of R_Na and R_K in a dose of 1/5 of intravenouse dose. Diuretic action of vasopressin administewred into carotid artery was not influenced by renal denervation. Above results suggest that vasopressin produces diuretic action by hemodynamic changes in dog. These hemodynamic changes may be mediated by central endogenous substances not associated with renal nerve.

      • SCOPUSKCI등재

        한국인 제1형 당뇨병에서 체도 세포질 항체의 양성률 : 항GAD항체, 항ICA512항체, 항phogrin항체의 조합 측정으로의 대체 가능성 Possible Replacement with Combined Measurement of Anti-GAD, Anti-ICA512, and Anti-phogrin Antibodies

        김경아,김동준,정재훈,민용기,이문규,김광원,진동규,고경수,김상진,이명식 대한당뇨병학회 2002 Diabetes and Metabolism Journal Vol.25 No.6

        연구배경:최근 당뇨병의 분류를 새로 제정함에 있어 자가항체가 양성이면 임상형에 상관없이 제1형 당뇨병으로 분류하자는 제안이 나옴으로써 자가항체의 중요성은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우리나라와 같이 비비만형인 제2형 당뇨병이 많은 나라에서는 당뇨병의 병인 규명에 자가항체가 중요한 위치를 차지할 것으로 사료된다. 자가항체 중에서 전통적으로 측정되어온 췌도 세포질 항체(ICA)는 표준화하기 어렵고 기술적으로 제한점이 많으며 현실적으로도 췌장 공여자가 적은 점 등이 문제로 알려져 있다. ICA의 대응 항원들로는 GAD(glutamic acid decarboxylase), IA­2(islet­associaated antigen­2;ICA512), IA­2β(phogrin)등이 있다. 이러한 대응 항원에 대한 특이적인 자가항체의 측정은 ICA에 비해 표준화되었으며 최근에는 방사면역측정법(radioimmunoassay;RIA)키드까지 등장하여 손쉽고 정확히 이를 측정할 수 있게 되었다. 연구자들은 한국인 제1형 당뇨병에서 측정법이 표준화 되어 있는 항GAD항체 및 항ICA512항체 조합(combimation)의 조합으로 ICA의 측정을 대신할 수 있는지를 조사하였고 더 나아가 항phogrin항체의 조합 측정으로 임상적 유용성이 있는지 보고자 하였다. 방법: ICA는 면역조직화학 염색법을 이용하였다. 항 GAD항체는 상업화 된 키드(RSR??, United Kingdom)를 이용하였다. 항 ICA512항체와 항phogrin항체의 측정은 in vitro transcription&translation한 후 이를 이용해 방사면역 침전법을 이용하였다. 대상 환자로는 전형적 제1형 당뇨병 76명, 지진형 제1형 당뇨병 22명, 제2형 당뇨병 39명이었으며 각 군간의 연령은 각각 22.8±14.0, 37.9±13.9, 45.3±12.3세였다. 결과:1)전형적인 제1형 당뇨병에서는 ICA의 양성률이 30%, RIA조합만의(항GAD항체 또는 항 ICA512항체 또는 항phgrin항체 한가지에라도 양성인 경우)양성률이 57%이었다. 지진형 제1형 당뇨병에서는 각각 18%, 50%이었다. 제2형 당뇨병에서는 각각 7.7%, 5.1%이었다. 2)각 군에서 ICA가 양성인 군에서 RIA조합 양성률을 보면 전형적 제1형 당뇨병에서는 96%, 지진형 제1형 당뇨병에서는 100%에서 양성이었고 제2형 당뇨병에서는 RIA 조합 양성이 없었다. 각 군에서 ICA가 음성인 군에서도 RIA 조합시 전형적 제1형 당뇨병에서는 40%, 지진형 제1형 당뇨병에서는 39%에서 양성이었고, 제2형 당뇨병에서는 5.6%에서 양성이었다. 3)전형적 제1형 당뇨병에서 ICA가 양성인 군(n=23)에서 96%가 RIA조합 양성이었는데 이때 각각의 RIA유형을 보면 항GAD항체 양성이 87%였다. 한편 항 ICA512항체 양성이 48%, 항phogrin항체 양성이 44%이고 항GAD항체 도는 항ICA512항체 양성이 96%를 차지한다. 지진형 제1형 당뇨병에서는 ICA가 양성인 군(n=4)에서는 항 GAD항체 양성이 3명, 항ICA512항체 양성이 1명이었다. 따라서 기존의 ICA를 RIA조합으로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는데 이때 항GAD항체와 항ICA512항체의 조합이 도움이 되겠고 항phogrin항체의 추가적인 검사는 일부의 환자에서만 도움이 되리라 사료된다. 4)이환 기간에 따라 ICA와 RIA조합을 비교시 ICA는 차이가 없었으나 RIA조합의 양성률은 지진형 제1형 당뇨병에서 4년 이상의 이환 기간이 지나면 그 이전보다 떨어졌다. 5)발병 연령에 따라 ICA와 RIA조합을 비교시 ICA 양성률이 전형적 제1형 당뇨병에서 15세 이전에 발병한 그룹에서 그 이후에 발병한 그룹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결론:이상의 결과를 요약하면 항GAD항체 및 항ICA512항체 측정의 조합은 ICA보다 민감도가 높아 기존의 ICA를 대체함은 물론 임상적 이용에서 현격한 우월성을 보이며, 성인에서 발병한 비전형적인 당뇨병의 분류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되었다. 추가적인 항phogrin항체의 측정은 임상적 유용성이 없었다. Background : Type 1 diabetes includes all forms of autoimmune-mediated and idiopathic beta-cell destruction leading to an absolute insulin deficiency. Evidence of an autoimune pathogenesis was assessed by studying cytoplasmic islet cell antibodies (ICA), antibodies to glutamic acid decarboxylase (GADA), antibodies reacting with an islet tyrosine phosphatase-related molecule referred to as ICA 512 (ICA 512A), or its homologue phogrin (phogrin-A). In comparison with ICA, the best validation to assess the risk of type 1 diabetes, shows that a combination of antibodies to GADA with ICA 512A has the power to detect a majority of ICA and 97 ~ 100% of subjects who progressed to overt diabetes. These findings suggest the possibility of replacing the laborious ICA test in the screening programs to identify subjects at risk of progressing to type 1 diabetes or for classifying the stage of diabetes at the time of diagnosis. Up to now, it is unclear whether these results are applicable to the slowly progressive type 1 diabetes that appears to be more prevalent in Asian than in western countries. The prevalence of combined autoantibody testing (1≥ of GADA, ICA512A, or phogrin-A) was investigated in the patients with type 1 diabetes (typical and slowly progressive) and type 2 diabetes, and compared with that of ICA which is a more laborious and insensitive test. Methods : The ICA assay was performed using immunoenzymatic staining of frozen human (blood group O) pancreatic sections with serial dilutions of serum samples with peroxidase-labeled protein A. For the GADA determination, commercially available GADA radiommunoassay kits utilizing the ^125I-labeled recombinant GAD65 (RSR®, United Kingdom) as an antigen was used. Either ICA512A or phogrin-A were detected by a radioligand-binding assay after in vitro transcription and translation using the clone ICA512bdc or phogrin c DNA. Serum was obtained from 76 patients with type 1 diabetes(mean age 45.3± 12.3 years). Typical and slowly progressive type 1 diabetes patients had the disease for between 4.0±4.6 and 10.1±9.5 years, respectively at the earliest serum sampling. Results: 1) In typicaltype 1 diabetes, 30% of patients tested positive for ICA and 57% for the combined autoantibody test. In type 2 diabetes, 7.7% and 5.1% tested positive, respectively. 2) Ninety-six percent of ICA-positive patients expressed one or more of the 3 auto-antibody specificities in typicaltype 1 diabetes. Among the 53 ICA-negative patients with typicaltype 1 diabetes, 40% had one or more of these auto-antibodies. In the slowly pregressive type 1 diabetes, 100% of the ICA-positive and 39% of the ICA-negative patients expressed one or more of the 3 autoantibody specificities. 3) Of the 23 patients with ICA-positive typical type 1 diabetes patients, 87% had a positive result for GADA, 48% FOR ICA512A, 44% for phogrin-A, and 96% for GADA or ICA512A. Of the 4 patients with ICA-positive slowly progressive type 1 diabetes, three had a positive result for GADA, and 1 for ICA512A. 4) When the prevalence of combined autoantibody testing was analyzed according to the duration of diabetes, the prevalence in patients tested within 4 years after the diagnosis and more than 4 years after the diagnosis was 61% and 52%, respectively in typical type 1 diabetes. Furthermore, that for the ICA was 37% and 21%, respectively. In the slowly progressive type 1 diabetes, the prevalence of combined auto-antibody testing was 88% and 25%, respectively (p<0.05), while that of ICA was 25% and 13%, respectively. 5) In typical type 1 diabetes, ICA were detected more frequently in patients younger than 15 years of age (48%) than in older patients (23%) (p<0.05), while the prevalence of combined auto-antibody testing -was not different according to the onset age(65% vs 53%). Conclusion : Combined autoantibody testing for GADA and ICA512A is more sensitive that ICA in type 1 diabetes. Therefore, it could replace the laborious ICA measurement and may be useful for discriminating the etiology of adult onset a typical diabetes(J Kor Diabetes Asso 25 :430~445, 2001).

      • Mild Cognitive Impairment 노인군의 점화효과 특성

        박재우,김도관,고선규,고효정,김성환,김재경,서민영,이인수,김지혜 大韓神經精神醫學會 2002 신경정신의학 Vol.41 No.3

        연구목적 : 이 연구에서는 K-MMSE에서 25점 이하를 받은 50대 이상 노인들을 MCI(Mild Cognitive Impairment) 군으로 보고 이들의 인지 기능 특성을 점화 효과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먼저, 점화 효과가 MCI 노인군에서 있어서도 유지되고 있는지를 알아보고, 인지 기능의 손상 정도에 따라 점화 효과가 유의미하게 변화하는 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 법 : 본 연구에서는 K-NAME 점수 25점 이하의 노인 96명으 대상으로 ADAS-Cog와 일종의 간접 기억 검사 도구인 지각적 파악 과제를 제작하여 점화 효과를 측정하여 인지 기능의 퇴행이 시작된 고연령군이 나타내는 암묵 기억 능력 특성을 알아보았다. 점화효과는 컴퓨터 상에 사전 노출된 자극과 그렇지 않은 자극을 순간 노출시켜 미리 노출된 자극에 대해 반응 시간이 줄어들고 정확 반응이 증가하는 정도로써 측정하였다. 이 때 지능이나 연령, 학력 수준과 같은 변인이 미치는 영향을 통제하기 위해 한국판 웩슬러 지능 검사의 <어휘>, <토막> 소검사를 실시하였고, 인구통계학적 변인에 관한 면접을 실시하였다. 통계적 분석 과정에서는 먼저, 연구에서 측정된 점화효과의 특성을 알아보기 점화 효과 측정치의 기술 통계치를 구하였으며 다른 측정 변인들과의 상관 분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측정된 점화효과가 인지 기능의 퇴행 수준에 비례하는 지의 여부를 파악하기 위해 ADAS-Cog 및 나이, 교육 연한 및 지능 수준을 독립변인으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 과 : 먼저 기술 통계 분석 결과에 의하면 본 연구에 참여한 피보험자들의 경우 점화효과에 의해 미리 노출된 자극을 평균 3.6개 더 정확히 파악하였으며 평균 59ms 더 빠르게 반응한 것으로 나타나 이들 집단에서도 점화효과가 유지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 변인들 간의 상관 분석 결과에 따르면, 정확 파악 반응 점수에 따른 점화효과는 전반적인 인지 기능을 평가하는 K-MMSE 및 ADAS-Cog와 정적인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반응 속도로 측정한 점화효과의 경우에는 나이와는 정적인 상관이, KWIS의 <어휘> 소검사 점수와는 부적인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연구에서 사용된 점화 효과 측정치를 종속 변인으로 ADAS-Cog와 KWIS의 어휘 및 코막 소검사로 측정한 지능 수준, 나이와 교육 연한과 같은 인구 통계학적 변인을 독립 변인으로 회귀 분석을 실시한 결과에 따르면 정화간응 점수로 측정한 점화 효과의 경우 상관 분석 결과에서와 같이 ADAS-Cog 변인만이 유의미한 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반응 속도로 측정한 점화 효과의 경우 나이의 효과만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 론 : 이러한 결과는 경미한 인지 기능의 손상이 진행되고 있는 고연령군의 경우에는 외현 기억 능력은 손상이 시작되지만 점화효과로 측정된 암묵 기억이 전반적으로는 유지되다가 인지 기능의 퇴행이 진행됨에 따라 노출된 자극을 더 정확히 파악하는 능력이 저하되고 점화 효과에 의해 인출 속도가 빨라지는 현상이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함께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남을 말해 준다. Objectives : In this study, the cognitive characteristics, especially priming effect, of above 50 years old age group who had less than 25 points in K-MMSE were investigated. Methods : In this study, an implicit memory test measuring priming effect was made and administered ti old age people who had less than 25 points in k-MMSe in screening session. To control the effect of age, educational level and intelligence, demograohic variables were measured, and the subjects of KWIS, vocabulary and block design were administered.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of the two priming measures and correlational analysis between variables were done. To test the effect of cognitive functioning on priming effec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done. Results : Correlational analysis revealed priming score obtained from correct identification respons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K-MMSE and ADAS-Cog. And priming score obtained from mean reaction tim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age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vocabulary substest of KWIS. Th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indicated from correct identification response, whereas age has significant effect on priming score obtained from mean reaction time. Conclusions : The results revealed that as cognitive deterioration progresses priming effect which identify primed stimulus correctly diminish, and as one grow older within age 50 to 70, priming effect which identifies primed stimulus quickly increase.

      • KCI등재후보

        일부 부인과 양성 질환자의 지방조직 및 혈청의 PCBs와 DDE 농도

        박성균,이강숙,노영만,구정완,민선영,한진구,고원경,김미란,정재근,이종승,김진홍 大韓産業醫學會 2000 대한직업환경의학회지 Vol.12 No.1

        목적 : 본 연구는 지방조직과 혈청의 PCBs와 DDE 농도를 측정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진 요인들과의 관련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법 : 유방암, 자궁내막증 등 유기염소계 화합물의 영향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호르몬 관련 질병을 제외한 부인과 환자 52명을 대상으로 지방조직과 혈청을 분석하였으며, 설문조사를 통하여 연령, 교육수준, 직업, 비만도, 흡연과 음주, 출산력, 수유력등을 조사하였다. 지방조직과 혈청의 PCBs와 DDE 농도는 가스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결과 : 지방조직의 경우, 13개 PCBs congeners 농도의 합은 중앙값이 48.29 ng/g, 기하평균값이 56.78 ng/g이었고, DDE 농도는 중앙값이 142.89ng/g, 기하평균값이 117.06 ng/g이었으며, 혈청의 경우는 PCBs congeners 농도의 합은 중앙값이 4.67 ㎍/L, 기하평균값이 4.85 ㎍/L이었고, DDE 농도는 중앙값이 1.75 ㎍/L, 기하평균값이 2.09 ㎍/L로 나타났다. 지방조직과 혈청의 DDE 농도 사이는 높은 상관성을 보였으나(r²=0.310, p=0,0002), PCBs는 상관성이 약한 것으로 나타났다(r²=0.029, p=0.2582). 영향요인을 범주화한 후 로그변환 시킨 지방조직과 혈청의 PCBs, DDE 평균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지방조직의 DDE만이 출산자녀수(p=0.015), 초산연령 (p=0.014), 비만지수(p=0.035)와 연관성이 발견되었다 다중회귀분석의 결과 지방조직의 DDE는 출산자녀수가 적을수록, 초산연령이 늦을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결론 : 출산자녀수와 초산연령, 비만도가 지방조직의 DDE와 관련성을 보였으며, 또한 유기염소계 화합물의 장기간의 노출에 의한 영향을 평가하는데 있어서 혈청보다 지방조직이 더 유용한 생물지표임을 알 수 있었다. Objectives : This study was purposed to determine the levels of PCBs and DDE in adipose tissue and serum and to evaluate the relations with factors affecting these levels. Methods : We analyzed adipose tissues and sera from 52 gynecologic benign disease patients aged 27-78 years, except hormonal diseases such as breast cancer and endometriosis. We also surveyed age, education, occupation, body mass index (BMI), smoking, drinking, number of children, and duration of breastfeeding by questionnaires. Tissue and serum levels of PCBs and DDE were measured using gas chromatography. Results : The median and geometric mean levels of PCBs were 48.29 ng/g, 56.78 ng/g for adipose tissue and 4.67 ㎍/L, 4.85 ㎍/L for serum, and those of DDE were 142.89 ng/g, 117.06 ng/g for adipose tissue and 1.75 ㎍/L, 2.09 ㎍/L for serum, respectively. Adipose tissue and serum levels for DDE showed high correlation (r²=0.310, p=0.0002), but those of PCBs didn't (r²=0.029, p=0.2582). In analyses of the differences of the means of log transformed adipose tissue and serum PCBs and DDE levels for groups of potential covariates, only adipose tissue DDE levels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number of children (p=0.015), age at first birth (p=0.074) and BMI (p=0.035). I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dipose tissue DDE level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decreasing number of children and increasing age at first birth. Conclusions : This study suggested that parity and adiposity were associated with levels of DDE in adipose tissue, and adipose tissue is a better biomarker than serum for evaluating the long-term exposure of organochlorines.

      •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ernary In(x)Ga(1-x)As nanowires on Si (111) grown via Au-catalyzed VLS.

        Shin, Jae Cheol,Kim, Do Yang,Park, Jae Hyung,Oh, Si Duck,Ko, Hang Ju,Han, Myung-Soo,Kim, Jae Hun,Choi, Kyoung Jin,Kim, Hyo Jin American Scientific Publishers 2013 Journal of Nanoscience and Nanotechnology Vol.13 No.5

        <P>We have characterized the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ternary In(x)Ga(1-x)As nanowires (NWs) grown on silicon (Si) substrates using metalorganic chemical vapor deposition (MOCVD). Au catalyzed vapor-liquid-solid (VLS) mode was used for the NW growth. The density of the In(x)Ga(1-x)As NW array grown under optimized condition exceeds 1 x 10(8)/cm2. X-ray diffraction (XRD) spectra confirm the In composition (x = 0.9-0.3) of the In(x)Ga(1-x)As nanowires which bandgap energy can cover the entire near-infrared (NIR) range. Massive stacking faults and twin planes were observed but no misfit dislocation was found along the NWs as confirmed by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EM). The energy-dispersive X-ray spectroscopy (EDS) analysis shows the gradual variation of In composition along the NW.</P>

      • KCI등재

        Enhanced biological effects of Phe140Asn, a novel human granulocyte colony-stimulating factor mutant, on HL60 cells

        ( Hee Kyoung Chung ),( Sung Woo Kim ),( Sung June Byun ),( Eun Mi Ko ),( Hak Jae Chung ),( Jae Seok Woo ),( Jae Gyu Yoo ),( Hwi Cheul Lee ),( Byoung Chul Yang ),( Moo Sik Kwon ),( Soo Bong Park ),( Ji 생화학분자생물학회(구 한국생화학분자생물학회) 2011 BMB Reports Vol.44 No.10

        Granulocyte colony-stimulating factor (G-CSF) is a cytokine secreted by stromal cells and plays a role in the differentiation of bone marrow stem cells and proliferation of neutrophils. Therefore, G-CSF is widely used to reduce the risk of serious infection in immunocompromised patients; however, its use in such patients is limited because of its non-persistent biological activity. We created an N-linked glycosylated form of this cytokine, hG-CSF (Phe140Asn), to assess its biological activity in the promyelocyte cell line HL60. Enhanced biological effects were identified by analyzing the JAK2/STAT3/survivin pathway in HL60 cells. In addition, mutant hG-CSF (Phe140Asn) was observed to have enhanced chemoattractant effects and improved differentiation efficiency in HL60 cell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addition of N-linked glycosylation was successful in improving the biological activity of hG-CSF. Furthermore, the mutated product appears to be a feasible therapy for patients with neutropenia. [BMB reports 2011; 44(10): 686-691]

      • 태양전지 모듈을 이용한 발전 가로등 디밍제어

        고태경(Tae-Kyoung Ko),한재용(Jae-Yong Han),이경득(Kyoung-Deug Lee),이순흠(Sunheum Lee),한상민(Sang?Min Han),최관순(Kwansun Choi) 한국정보기술학회 2012 Proceedings of KIIT Conference Vol.2012 No.5

        현재의 가로등 제어 시스템은 일출일몰 데이터에 의존하여 가로등을 제어하는 방식으로 도로의 밝기의 상관없이 시간에 의해서만 가로등이 점·소등 되고 있다. 따라서 도로면과 그 부근에 존재하는 물체에 충분한 빛을 주어 보행자나 차량 운전자의 시야를 확보 해주어야 하는 가로등이 제 기능을 제대로 하지 못하는 시간대가 생길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별도의 광센서를 사용하지 않고, 태양전지 모듈을 사용하는 발전 가로등에서 태양전지 모듈만을 이용하여 조도를 측정하는 센서로 활용하여 도로 조도에 따라 가로등의 밝기를 제어하는 발전 가로등 등주제어기를 설계 및 구현하였다. 또한 낮 시간대에 갑자기 날씨가 흐려져 도로의 조도가 낮아지는 긴급 상황에서도 대응하여 가로등을 작동 시킬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Current controling system of streetlight depends on data of sunrise and sunset, it has nothing to do with brightness but only relies on time for turning streetlight on and off. Therefore, it is possible to do not work its function which is secure driver"s sight around roads. Thus, this paper designed and materialized a character of streetlight generator controller. It could control brightness of streetlight depending on illuminance of roads. In order to make it, we did not use a light sensor but use a sensor in the use of streetlight generator. This sensor is run by using PV module. Furthermore, it contains additional function respond to emergency such as cloudy weather. If the cloudy weather comes suddenly, illuminance of roads would be low.

      • KCI등재

        태양전지를 이용한 효과적인 가로등 디밍 제어 구현

        고태경(Tae-Kyoung Ko),한재용(Jae-Yong Han),이경득(Kyoung-Deug Lee),이순흠(Sunheum Lee) 한국정보기술학회 2012 한국정보기술학회논문지 Vol.10 No.11

        Currently, traditional lighting lamps for electricity generating streetlight system are being replaced with LED lamps because of their advantages of high efficiency and energy saving, and dimming control systems for the streetlight system are introduced to adjust the brightness of LED lamps according to the road illuminance by using photo sensors. But as time passes, the photo sensors may not work properly due to foreign substances such as snow and dust. In this paper, we has designed and implemented a lamppost controller for the photovoltac streetlight system, which controls the brightness of the lamps using its solar cells as illuminance sensors without using extra photo sensors. The implemented controller conducts effective dimming control of lamps even though the road illluminance abruptly decreases due to bad weather condition at daytime and maintains the recommended level of road illuminanation(29 luxes), which results for more than 30% of reduction in average power consumption.

      • KCI등재

        저가형 PID 광고 서비스 장치 설계 및 구현

        고태경(Tae-Kyoung Ko),한재용(Jae-Yong Han),이경득(Kyoung-Deug Lee),이순흠(Sunheum Lee),한상민(Sang-Min Han),최관순(Kwansun Choi) 한국정보기술학회 2011 한국정보기술학회논문지 Vol.9 No.8

        Recently although the PID advertising services are often provided in the heavily populated areas such as department stores, public office, airports, and terminals,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services can be provided only by using the expensive PID advertising system in which TV and advertisement transmitting devices are tightly coupled but not by the existing TV sets. In this paper, to lower the cost of the tightly coupled PID advertising system, a cost-effective advertisement transmitting device has been designed and implemented, which can transmit advertisements video signal through the existing TV set by simple connection to the existing TV set. In addition, the device includes the functions which can remotely monitor the state of TV’s power supply to let the advertiser know whether PID advertisements are being transmitted to the customers and turn on TV set if necessary. The implemented low-cost device would considerably contribute to widespread deployment of PID advertising servi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