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토끼 수막염 모델을 이용한 다제내성 폐렴구균에 대한 Meropenem의 치료 효과

        김신우,진정화,강수정,정숙인,김연숙,기현균,김춘관,이혁,김성민,백경란,송재훈 대한화학요법학회 2001 대한화학요법학회지 Vol.19 No.1

        목적 : 다제내성 폐렴구균에 의한 수막염은 기존과 단일 항생제로는 근치가 어려워 ceftriaxone과 vancomycin 혹은 rifampin의 병용요법이 권유되고 있다. 다제내성 폐렴구균에 사용할 수 있는 다른 약제 중 meropenem은 시험관내 폐렴구균에 대한 항균력이 좋고 경련 등의 중추신경계 부작용이 거의 없어 다제내성 폐렴구균에 의한 수막염의 치료에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나 이에 대한 자료가 매우 부족한 상태이다. 이에 연자 등은 meropenem과 meropenem+vancomycin의 병용요법이 다제내성 폐렴구균 수막염의 치료에 효과가 있는지를 토끼 수막염 동물 모델을 이용하여 검증하고자 하였다. 방법 : 인체에서 수막염을 일으킨 다제내성 폐렴구균 균주(penicillin MIC 2, ceftriaxone MIC 4, meropenem MIC 0.5㎍/㎖)를 토끼 척수강 내에 직접 주입하여 수막염을 유발한 후 ceftriaxone, vancomycin, rifampin, meropenem의 단일 항균요법, ceftriaxone+vancomycin, ceftriaxone+rifampin, meropenem+vancomycin의 병용요법 간에 치료 효과의 차이를 비교 하였다. 각 치료군은 6 마리의 토끼를 대상으로 하였다. 각각의 항생제는 5 시간 간격으로 2번 정주하였으며, ceftriaxone은 1회 투여하였다. 균주 주입 후 각 치료군이 토끼에서 치료 후 0, 5, 10, 24 시간에 척수액을 채취하여 균주의 수를 측정하여 24시간째의 살균 여부를 최종 치료 효과로 판정하였다. 결과 : meropenem 단독 요법은 10시간째에 모든 균주를 살균하였으나 24시간 째에 다시 균의 성장이 관찰되었으며, meropenem+vancomycin의 병용요법은 단독 약제보다 우수한 살균효과를 보였으나 상승작용은 없었다. 결론 : meropenem+vancomycin의 병용요법은 기존의 ceftriaxone+vancomycin보다 24시간째에 더 큰 균의 감소 경향을 보여(P=0.054) 임상에서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되며 향후 실제 수막염 환자에서의 임상효과를 증명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 : Because antimicrobial monotherapy for pneumococcal meningitis caused by penicillin-resistant strains is not satisfactory, ceftriaxone+vancomycin [C+V] or ceftriaxone+rifampin [C+R] regimens are recommended. Meropenern [M] is one of the monotherapy options for penicillin-resistant pneumococcal meningitis due to good in-vitro activity against pneumococci and rare adverse reactions in CNS. But there have been few reports in the efficacy of meropenern against pneumococcal meningitis. We evaluated therapeutic efficacy of the meropenern and meropenem+vancomycin in a rabbit model of meningitis caused by penicillin-resistant S. pneumoniae (PRSP). Methods : Meningitis was induced by intracistemal inoculation of a pneumococcal strain isolated from a patient with meningitis (MIC; penicillin 2, ceftriaxone 4, meropenem 0.5 g/㎖). Bacterial concentrations in the CSF were measured at 0, 5, 10, and 24 h after therapy was started. Therapeutic efficacy was evaluated by the final bacterial concentration in the CSF at 24 h. Results : C+V cleared the CSF at 10 h, but regrowth of bacteria was noted at 24 h. Meropenem monotherapy resulted in sterilization at 10 h but regrowth at 24 h. M+V was superior to M or V monotherapy but did not show synergism. Therapeutic efficacy of M+V was at least equal or superior to that of C+V (P = 0.054). Conclusion : Meropenem+vancomycin regimen could be one of the useful options in the treatment of PRSP meningitis. Clinical trials to evaluate the M or M +V are warranted in the future.

      • 항암화학요법 중 호중구감소증이 발생한 저위험군 발열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경구 항균제 요법의 임상적 유용성 및 안정성에 대한 연구

        김연숙,이혁,기현균,김춘관,김신우,김성민,백경란,김원석,윤성수,이홍기,강원기,박찬형,박근칠,송재훈 대한화학요법학회 2000 대한화학요법학회지 Vol.18 No.1

        목적 : 항암화학요법 중 호중구감소증을 동반한 발열이 발생하는 암환자들을 치료하기 위한 다양한 항균제와 여러 가지 방법들이 시도되고 있는 가운데, 합병증과 사망률의 발생가능성이 적은 저위험군 환자들을 대상으로 초기 72시간동안 정주 항균제를 투여한 이후 경구 항균제로 전환하는 요법의 유용성과 안정성을 평가해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 1998년 2월부터 1999년 9월까지 본원에서 항암화학요법 중 호중구감소증과 발열이 발생한 환자들 가운데 기저 암질환이 고형암이거나 림프종이고, 입원당시 패혈증의 증후가 없으며 입원 72시간이내에 해열되고 백혈구수치가 증가 추세인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72시간 동안 정주 항균제를 투여한 이후 경우 ciprofloxacin 750㎎을 하루 2회씩 투여하여 총 4일간 투여하였다. 모든 환자들은 열이 떨어지고 호중구감소증이 회복될 때까지 입원하도록 하였다. 결과 : 총 38명 환자의 40예가 등록이 되었고, 환자들의 기저암 질환은 고형함이 72.5%, 림프종이 27.5%였다. 입원당시 평균 호중구치수는 156/㎕였고, 호중구수치가 100/㎕미만인 경우는 65%였으며, 호중구감소증이 지속된 기간의 평균은 2.4일이었다. 40예 중 39예가 항균제의 변형이나 추가 없이 호중구감소증과 발열로부터 회복이 되어 97.5%의 성공율(95% 신뢰구간: 86.8-99.9%)을 보였다. 부작용으로 피부발진이 있었던 경우가 한 예 있었는데, 증상이 경하여 경구 항균제를 지속할 수 있었다. 심와부의 동통으로 복용을 지속할 수 없어서 대상에서 제외된 예가 또 한 예 있었다. 결론 : 항암요법 중 호중구감소증과 발열을 동반한 환자들 가운데 저위험군 환자들에서 항균제 72시간정주 이후 경구 항균제로의 전환요법은 효과적이고도 안전한 치료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Background : Oral antibiotic therapy following empirical intravenous antibiotics may be effective and safe for febrile neutropenic patients with lowrisk for complications. Methods : We conducted a prospective clinical trial of oral antibiotic therapy in the patients with neutropenia and fever during chemotherapy for cancer. Underlying malignancies were solid tumor or lymphoma with short duration of neurtropenia and the patients had no evidence of clinically or microbiologically documented infections. Oral ciprofloxacin was given to the patients who lacked signs of sepsis on admission, had a rising tendency of neutrophil count (ANC >100 /㎕ ) at 72 hours, and were afebrile at 72 hours. All patients were hospitalized until neutropenia and fever resolved. Results : A total of 40 episodes of 38 patients were enrolled from February 1998 to September 1999. The mean neutrophil counts on admission were 156/㎕ and the mean duration of neutropenia was 2.4 days. The episodes which had neutrophil count below 100 /㎕ were 26 (65%). Treatment was successful in 39 of 40 episodes (97.5% : 95 % confidence interval, 86.8% to 99.9%). Adverse reactions of oral ciprofloxacin were skin rash and epigastric soreness in two cases, respectively. There were no deaths during the study. Conclusions : For low-risk febrile patients with neutropenia during cancer chemotherapy, switch therapy to oral ciprofloxacin at 72 hours following intravenous broad-spectrum antibiotics is effective and safe,

      • 조직학적 진단된 chronic necrotizing pulmonary aspergillosis 2예

        김연숙,정숙인,기현균,김춘관,김신우,한정호,김성민,백경란,송재훈 대한화학요법학회 2000 대한화학요법학회지 Vol.18 No.1

        CNPA는 기존의 폐질환 및 폐절제술로 인해 국소방어기전에 저하가 있거나 비특이적 전신면역상태저하를 갖고 있는 환자들에게서 주로 발생하는 만성적인 공동성 폐질환이다. 현재까지 우리나라에서는 CNPA의 보고가 없는 상태이고, 저자들은 최근 조직학적으로 진단된 CNPA 2예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저자들이 경험한 CNPA 환자들은 만성알코올 중독 및 기관지확장증과 같은 기저질환과 폐절제술을 받은 병력이 있었다. Aspergillus가 폐실질을 침윤하고 있는 조직소견과 조직배양에서 Aspergillus가 검출되어 조직학적 진단이 가능하였고, amphotericin B의 정주요법 및 경구 itraconazole 투여와 폐절제술 등으로 성공적으로 치료되었다. 아직 많은 임상의들에게는 낯선 질환인 CNPA의 치료성적은 환자의 동반질환 및 CNPA 자체의 중증도, 진단과 치료 시작의 지연 등에 의해 크게 좌우되므로 만성적으로 진행하는 공동성 폐병변을 갖고 있는 환자에게서 CNPA를 감별하는 것이 중요하다. Chronic necrotizing pulmonary aspergillosis (CNPA) is a chronic cavitary form of pulmonary aspergillosis. Dozens of CNPA cases have been reported in patients with systemic immunologic dysfunction or altered local defense mechanism from preexisting pulmonary disease. Review of literatures revealed that no CNPA cases have been reported in Korea yet. We experienced two cases of CNPA proven by lung biopsy. A 53-year-old alcoholic male in poor nutritional state was admitted with generalized weakness and weight loss. Chest CT revealed a cavitary nodule surrounded with ground-glass attenuation. CT-guided fine needle aspiration and biopsy was done. The biopsy specimen demonstrated dichotomously branching septated hyphae consistent with those of Aspergillus sp. Another case was a 39-year-old man with bronchiectasis who was admitted with persistent hemoptysis. He had a past history of pulmonary tuberculosis. A parahilar lesion with intracavitary soft tissue mass was incidentally detected in high-resolution GT. Left lingular segmentectomy was done due to uncontrolled hemoptysis and CNPA was histologically diagnosed. Both patients were successfully treated with intravenous amphotericin B followed by oral itraconazole. Even though CNPA is unfamiliar to most clinicians, it should be included in differential diagnoses of chronic progressive cavitary pulmonary lesion, especially in patients with immunologic dysfunction.

      • Astromicin sulfate의 약동학 및 안전성 평가

        정숙인,김연숙,오원섭,복혜숙,김명민,최경업,김연화,김성민,백경란,송재훈 대한화학요법학회 2001 대한화학요법학회지 Vol.19 No.3

        목적 : Astromicin은 aminoglycoside계 항생제와 유사한 화학구조와 특성을 지니고, 기존의 aminoglycoside와 유사하거나 향상된 임상효과 및 부작용을 지닌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저자들은 astromicin의 약동학적 특성을 분석하고, astromicin 투여 환자를 대상으로 한국인에서 그 임상적 및 세균학적 효과와 안전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약동학적 지표는 정상성인 남자를 대상으로 astromicin 200㎎을 30분간 정주한 후 24시간까지 혈장 및 뇨 검체를 수집하여 one-compartment open model에 따라 분석하였다. 중증으 세균감염이 있는 18세 이상의 환자를 대상으로 병용 또는 단독 투여한 후 임상적 효과와 세균학적 효과를 판정하였고, 치료전과 후의 순음청력검사와 혈청 크레아티닌으로 이독성과 신독성을 평가하였다. 결과 : 정상 성인 남자 12명을 대상으로 약동학적 지표를 평가하였고, 최고혈장농도는 투여 종료시점(C_(0))에서 16.87±1.68㎍/mL였으며, 반감기는 1.86±0.43 시간 이었고, AUC_(0-12h)은 38.12±10.57㎍ㆍhr/mL, Vd는 0.18±0.02L/㎏, CL은 5.25±2.07L/hr였다. 이러한 약동학적 지표는 다른 aminoglycoside와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59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시행한 임상적 효과 분석에서는 단독요법을 시행한 50명 중 임상적 치유율 94%, 세균학적 치유율 100%를 보였고, 순음청력검사를 시행한 48례의 환자중 의미있는 청력감소 소견은 관찰되지 않았으며, 신독성 또한 전혀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 : Astromicin의 약동학적 지표는 다른 aminoglycoside의 약동학적 지표와 비슷한 양상을 보이므로 향후 astromicin의 약물농도 감시에 있어서 다른 aminoglycoside의 치료적 약물 농도 감시 방법과 유사한 방법을 적용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또한 임상적 치유율이 우수하면서 신독성이나 이독성이 적어 세균 감염 환자의 치료에 있어서 단독 또는 병합 요법으로 비교적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Astromicin(Fortimicin®) has some characteristics in common with other aminioglycoside antibiotics, although it has a unique chemical structure, which is different from them.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lucidate the pharmacokinetic (PK) parameters of astromicin following single-dose intravenous infusion of 200 mg and to evaluate clinical efficacy and safety of astromicin in Korean populations. PK parameters of astromicin were determined in 12 healthy volunteers (65.5±5.2㎏). The plasma and urine samples were collected up to 24hrs. PK variables were calculated by fitting individual concentration-time curves to a one-compartment open model. Plasma level at the end of infusion was 16.87?1.68 ㎍/mL and declined to 1.05±0.35 (㎍/mL 8hr later. The half-life was 1.86±0.43 hr. Apparent volume of distribution was 0.18±0.02 L/㎏g, and total body clearance was 5.25±2.07 L/hr. These values were similar to those of other aminioglycosides. Clinical efficacy and safety were eviuated in 59 patients with moderate to severe bacterial infections who needed parenteral antibiotics. Among 50 patients who recieved astromicin monotherapy, 49 (98%) had favorable clinical reponse and 28 (100%) had favorable bacteriological response. Serial audiograms revealed no change in all of 48 patients. No nephrotoxicity was observed in all patients. Conclusively, our data suggest that therapeutic drug monitoring of astromicin can be conducted in a similar fashion as other aminioglycosides and astromicin is a useful and safe antibiotic in the treatment of severe bacterial infections.

      • 일개 대학병원에서 경험한 방선균증의 임상상

        정숙인,김연숙,기현균,김춘관,김신우,이혁,김성민,백경란,송재훈 대한화학요법학회 1999 대한화학요법학회지 Vol.17 No.3

        배경 : 방선균증은 혐기성의 그람양성 간균에 의한 만성 화농성 감염으로, 경안면부, 흉부, 복부, 골반부 등을 주로 침범한다. 최근 구강 위생의 향상과 항생제의 사용으로 인해 방선균증의 빈도의 감소와 함께 그 임상양상 또한 크게 변화하였다. 저자들은 국내에서의 방선균증의 임상상을 분석하기 위해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 1995년 5월부터 1998년 9월까지 삼성서울병원에서 방선균증으로 진단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기록지를 토대로 감염병소와 임상경과 등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과 : 방선균증 환자는 모두 12명으로 경안면부 1례, 흉부 3례, 복부 3례, 골반부 5례였다. 임상양상은 주로 종괴의 형태로 나타나 진단을 내리기까지 종양과의 감별에 어려웠으며 진단은 모두 조직검사나 흡인액에서 유황과립을 확인함으로써 이루어졌다. 방선균증으로 진단된 환자는 모두 호전소견을 보였다. 결론 : 국내에서도 방선균증이 드물지 않게 발생하고 있으며 임상양상이 다양하여 가장 많이 오진되는 질환 중의 하나이다. 방선균증은 조직검사나 균배양검사를 통해 진단하고 항생제를 통해 완치될 수 있는 질환이므로 환자 진단에 관심을 가지면 불필요한 수술을 피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 Actinomycosis is an indolent, slowly progressive bacterial infection, caused by Actinomyces. a gram-positive, non-spore-forming anaerobic or microaerophilic rod. Actinomycosis affects nearly every organ and body site. The disease is classically divided into four types, depending on the anatomic sites involved: cervicofacial, thoracic, abdominal, and pelvic. It has been considered as a rare disease, and only several cases have been reported in Korea. We performed this study to analyse the clinical manifestations of actinomycosis in Korea. Method: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patients with actinomycosis at the Samsung Medical Center from May 1995 to December 1998. Results: During the study period, actinomycosis was diagnosed in 12 patients: 1 patient had cervicofacial lesion, 3 thoracic, 3 abdominal, and 5 pelvic. The male and female ratio was 1 : 2 and the mean age was 47.2 years. Sulfur granule was observed in the pathologic specimens from all cases, but organism did not grow at all. It was very difficult to differentiate actinomycosis from tumorous conditions without pathologic diagnosis. All patients were clinically improved with antibiotics or surgical procedures. Conclusion: Actinomycosis is not a rare disease nowadays and has various clinical manifestations. It can be diagnosed by pathologic examination or culture and cured by antibiotics without surgical management.

      • 7개 대학 병원에서 조사한 지역사회 폐렴의 원인균

        정문현,김성민,강문원,최희정,정희진,이경원,한성우,송재훈,신형식,김의종,최강원,김민자,박승철,배현주,정윤섭,김준명,백경란,신완식,이규만,김양리 대한감염학회 1997 감염 Vol.29 No.5

        목 적 : 폐렴은 많이 발생하면서 사망률이 크게 줄지 않는 질환이며, 이를 적절히 치료하기 위해서는 원인균의 상대적 빈도, 기저 질환에 따른 변화, 항균제 내성률, 사망에 관련된 인자들을 알아야 한다. 원인균의 빈도는 지역마다 차이가 있고 국내에서는 항균제 내성률이 높아 지역사회에서 발생한 폐렴을 치료하기 위한 경험적 항균제 선택에 도움이 되기 위해 서울 소재 6개 대학 병원과 천안의 1개 대학 병원이 참여하여 위의 사항들에 대해 조사를 하였다. 방 법 : 1995년에 내과에 입원했던 16세 이상 환자를 대상으로 했다. 퇴원 진단명이 폐렴 또는 폐결핵인 병록지을 찾았고, 이중에서 병원 감염을 제외하였다. 특이도를 높이기 위해, 이들 중에서 호흡기 증상이 있고 발열이나 저체온이 있으면서 흉부 X-선에서 이상 음영이 있는 환자만을 대상으로 했다. 폐결핵은 위의 기준에 입원 초기에 항균제 치료를 하고 입원 7일 이후에야 항결핵제가 투여된 경우만을 폐렴의 원인균으로 하였다. 혈액 배양에서 양성, 객담에서 항상균이나 M. tuberculosis가 증명된 경우, 혈청학적으로 항체가가 4배 이상 증가된 경우, 조직에서 원인균이 진단된 경우는 확정(definitive) 원인균으로 하였고, 객담에서 배양된 균이 그람 도말과 일치할때, 항결액제에 대한 반응으로 진단한 폐결핵, 단일 항체가 양성이고 이에 대해 항균제를 사용했을 때는 가능(probable) 원인균으로 정의하였다. 다세균 감염균은 각각 다 른 원인균으로 처리하였다. 임상 조사와 함께 임상병리과에서 S. pneumoniae, H. influenzae, M. catarrhalis, mycoplasma, 항상균에 대해 검사 의뢰 건수, 배양 양성수, 항균제 감수성 결과를 조사하였다. 결 과 : 폐렴의 증례 정의에 부합하지 않은 135명과 폐결핵의 정의에 해당하지 않는 230명을 제외하고 남은 246명의 평균 나이는 58.2세이고 남성이 142명(58.2%) 이었고, 71%의 환자에서 기저 질환이 있었다. 진단 방법의 시행 횟수는 혈액 배양 77.6%, 혈청 검사 18.3%, 기관지경 검사는 4.1%였고, 세균의 항원 검사를 한 예는 없었다. 원인균이 밝혀진 예는 77명(31.3%)이었다. 다세균 감염이 4명에서 있었고, 원인균의 상대적 빈도는 결핵 20명(확정 17, 가능 3: 6개 병원 자료), 폐렴구균 18(확정8 가능 10)명과 폐렴구균이 아닌 Streptococcus 3명 (모두 확정), H. influenzae 11명(모두 가능), 그람음성간균 11명(확정 7, 가능 4) (K. pneumoniae 8건), Mycoplasma 5명(확정 1, 가능 4), S. aureus 4명(확정 2, 가능 2), mucormycosis 1명(확정)이었다. 평균 입원 기간은 19일이고, 중환자실 입원률과 인공 호흡기 사용율은 각각 18%와 9.3%였다. 사망률은 13.8%였고 사망까지 평균 기간은 14.6일 이었다. 다변량 분석에서 사망을 예측할 수 있는 인자는 저체온과 빈호흡이었다. 임상병리과에서 배양되었던 모든 폐렴구균의 Penicillin 내성률은 서울 3개 병원에서 82-88%, 천안에서 72%였다. 폐렴 환자의 혈액에서 배양된 7주는 모두 Penicillin에 감수성이 있었다. K. pneumoniae 8주 모두 cefotaxime과 gentamicin에 감수성을 보였다. 결 론 : 후향적 조사이고 병원마다 원인균 진단에 차이가 있지만, 원인이 밝혀진 경우에는 결핵과 폐렴균이 흔하였고, 무균 부위에서 배양된 폐렴구균의 항균제 내성률은 낮았다. 원인이 밝혀지지 않은 경우가 많고, 혈청검사로 진단되는 원인균이 드물며, 분리균주가 적어 항균제 내성 정도를 추정하기 어려워, 이를 밝히기 위한 전향적 조사가 필요하다. Background : Community-acquired pneumonia (CAP) is one of the leading causes of mortality and morbidity, but its management is still challenging. The limitation of diagnostic methods to identify etiologic agents rapidly make it necessary to use empiric antibiotics in almost all patients, and furthermore the discovery of new respiratory pathogens and the emergence of antibiotic-resistant organisms pose difficulties to the selection of an empiric regimen. To clarify the factors necessary for the optimal choice of empirical antibiotics, such as the frequency of etiologic agents, the attributable rates to death and antimicrobial resistance rates in the community, six university hospitals in Seoul and one university hospital in Cheonan were participating in this study. Methods : medical records of adults (>15 years of age) hospitalized for CAP or pulmonary tuberculosis between April 1995 and March 1996, were reviewed. Patients who satisfied all of the following criteria were included in the study: (1) fever or hypothermia; (2) respiratory symptoms; and (3) pulmonary infiltrates on chest roentgenogram. To exclude cases of pulmonary tuberculosis whose roentgenographic features were so typical that it could be easily differentiated from conventional pneumonia, two additional criteria were required for inclusion: antibiotic treatment during the first week of hospital admission and initiation of anti-tuberculosis medications thereafter. Organisms isolated from sterile body sites, acid-fast bacilli or Mycobacterium tuberculosis isolated from sputum, pathogens diagnosed by a 4-fold rising titer of antibodies to “atypical”pathogens, or pathogens revealed by histopathology were defined as definitive cause of pneumonia; isolates from sputum withcompatible Gram stain, pathogens diagnosed by a single diagnostic titer plus use of a specific antimicrobial agent, or tuberculosis diagnosed by clinucal response to anti- tuberculosis medications were considered probable cause of pneumonia. The records of the clinical microbiology were reviewed for isolates of S. pneumoniae, H. influenzae, M. catarrhalis, Mycobacterium or acid-fast bacilli, and Mycoplasma. Then the frequency of these agents, antimicrobial resistance rates of resiratory pathogens from all body sites, and their clinical significance were evaluated. Results: After excluding 365 patients (230 with pulmonary tuberculosis and 135 with CAP) who were screened for inclusion but did not meet the inclusion criteria,246 persons were enrolled in this study. Their mean age was 58.2 years old with slight male predominance (58.2%), and 171(71%) patients had underlying illnesses. Blood cultures were performed on 191 (77.6%) patients and serologic tests on 44(18.3%) patients. The etiologic agents were identified in 31.3%, and the list of individual agents, in decreasing order, was pulmonary tuberculosis (17 definite and 3 probable: data of six hospitals), S. pneumoniae (8 definite and 10 probable), non-pneumococci (3 definite), aerobic gram-negative bacilli (7 definite and 4 probable), Haemophilus spp. (11 probable), mycoplasma (1 definite and 4 probable), polymicrobial infections (2 definite and 2 probable: E. coli and S. agalactiae, M. tuberculosis and S. aureus, S. pneumoniae and H. influenzae and A. baumannii and K. pneumonias), S. aureus (2 definite and 2 probable) , and mucormycosis (1 definite). Among gram-negative bacilli, K. pneumoniae was the most common agent (8isolates). therates of admission to the intensive care unitand of using assisted ventilation were 18% and 9.3%, respectively. The mortality was 13.8%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hypothermia and tachypnea were associated with death. Hospital stay averaged 19 days. Susceptible rates of S. pneumoniae isolated from all body sites to penicillin ranged from 8% to 28% but seven isolated from blood of patients with pneumonia were susceptible to penicillin. Also all 8 isolated of k> pneumoniae from patients with pneumonia were susceptible to cefotaxime and gentamicin. Conclusion: In Korea, in addition to S. pneumoniae, M. tuberculosis is an important agent causing community-acquired pneumonia. The low incidence of etiologic diagnosis is probably related to infrequent requesting of test "atypical" pathogens and does not represent the true incidence of infections by "atypical" pathogens, which well be answered by a prospective study. The antimicrobial resistance rates of major respiratory pathogens from sterile body sites are low, however, because of a small number of the isolates this result needs confirmation by a nationwide surveillance of antimicrobial resistance.

      • 한국인에서의 mefloquine(Lariam^�)내약성에 관한 연구

        기현균,김연숙,정숙인,김춘관,김신우,김성민,백경란,송재훈 대한화학요법학회 2000 대한화학요법학회지 Vol.18 No.3

        목적 : Mefliquine은 가장 널리 사용되는 말라리아의 화학적 예방약이지만 경련, 정신병 증상 등의 심각한 신경학적 부작용을 포함한 여러 가지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 이러한 부작용은 인종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아직까지 우리나라에서는 mefloquine에 대한 내약성에 관한 구체적인 자료가 없다. 이에 저자 등은 한국인에서의 mefloquine의 내약성을 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방법 : 1997년 6월부터 1999년 4월까지 삼성서울병원 여행의학 클리닉에 내원한 총 180명의 열대열 말라리아 위험지역으로 여행하고자 하는 여행객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들은 여행 1주전부터 귀국 후 4주까지 mefloquine을 주 1회 복용하였다. 이들에게 여행자 수첩을 배부하고 약제 복용 후 발생한 증상을 기록하도록 하였고 동시에 여행자들에 대한 전향적 관찰 및 병록지 검토를 시행하였으며 귀국 후 3개월째 전화조사를 시행하여 mefloquine복용 당시의 부작용과 동반증상 여부에 관하여 평가하였다. 성적 : 총 180명의 여행자가 연구에 포함되었으며 이중 166명에 대하여 평가를 시행하였다(166/180, 92.2%). 연구대상 중 남자가 104명(104/166, 62.7%), 여자가 62명이었고(62/166, 37.3%) 평균연령은 36.4세였다(36.4±15.2). Mefloquine은 평균 6주간 투여하였다. 평가에 포함된 여행자 166명 중 4명에서 부작용이 나타났으며(2.4%) 부작용 발현건수는 6건이었다(3.6%). 나타난 부작용은 현기증이 2건(1.2%), 비정상적인 꿈, 수면장애, 기분저하, 발열이 각각 1건씩 발생하였다. 이중 증상과 약제와의 관련성이 있는 경우는 1명에서만 나타났으며(0.6%) 투약을 중지한 후 증상이 소실되었다. 나머지 3명의 여행자는 모두 mefloquine을 처음 복용할 당시에 일시적인 증상이 있었으나 부작용과의 인과관계는 확실하지 않았고 증상은 곧 소실되었다. 연구대상 환자 중 말라리아가 발병한 증례는 없어 100%의 예방효과를 보였다. 결론 : 총 166명의 연구대상 중에서 mefloquine에 대한 내약성이 불량한 경우는 1예 였으며(0.6%), 심각한 신경학적, 정신과적 부작용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한국인 여행객들의 mefloquine에 대한 내약성이 우수함을 시사한다. Background : Mefloquine is the most commonly used chemoprophylactic agent against malaria. Many kinds of adverse reactions of mefloquine including neuropsychiatric adverse reactions, have been reported. It has been thought that the incidence of mefloquine-related adverse reactions may be different among the races. Since data on Korean people are not available, we investigated the incidence of mefloquine-related adverse reactions in Korean travelers prospectively. Methods : We gave a notebook to each visitor to Travel Medicine Clinic of the Samsung Medical Center, who had a plan to take a trip to the endemic area of malaria by Plasmodium falciparum. The study duration was from June 1997 to April 1999. They took mefloquine weekly from I week before the trip to 4 weeks after the trip. They wrote any adverse reactions on the notebooks by themselves. We surveyed the travelers by clinical observation, reviewing the medical records and telephone interview at 3 months after the trip. Results : One hundred eighty travelers were included in the study and 166 of them were evaluable (166/180. 92.2%). One hundren four travelers were male (104/166, 62.7%). The mean age of travelers were 36.4 years (36.4±15.2 years). The median duration of chemoprophylaxis were 6 weeks. Four of the enrolled travelers had adverse reactions (4/166, 2.4%) and six episodes of adverse reactions were occurred (6/166, 3.6%) : dizziness (2 cases), bizzare dream (1 case), sleep disturbance (1 case), mood change (1 case), and febrile sense (1 case). Only one traveler with persistent dizziness stopped mefloquine, and then dizziness was relieved. The other symptoms were transient, which were relieved despite continuation of mefloquine. No case of malaria was found in this study. Conclusion : Only one episode of adverse reactions was thought to be related to the mefloquine (0.6%). No case of severe neuropsychiatric adverse reactions was observed. This study suggests that mefloquine tolerance in Korean travelers is excellent.

      • KCI등재
      • Ribotyping을 이용한 다제 내성 폐렴구균의 유전자 상관성 규명

        김성민,송재훈,양지원,백경란,진정화,이남용,이혁 대한감염학회 1997 감염 Vol.29 No.6

        목적:단기간에 급증하여 세계 최고를 기록하고 있는 우리나라의 폐렴구균 내성은 내성의 전파에 의할 가능성이 높다. 본 연구는 국내 및 미국, 스페인에서 분리된 다제 내성 폐렴구균의 유전적 상관성을 검증하여 내성의 전파 여부를 규명하기 위하여 ribotyping을 시행하였다. 방법:본 연구는 총 42균주의 다제 내성 균주(국내 분리 33주, 미국 4주, 스페인 5주)와 페니실린 감수성 R6 균주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모든 균주가 실제 감염증을 일으킨 침습성 균주였다. 한천희석법으로 항균제 감수성 검사를 하였으며, Quellung reaction을 이용하여 혈청형을 확인하였다. Ribotyping을 위하여 균주의 핵산을 분리한 후 Pvu Ⅱ로 절단하고 전기영동하였다. Ribotyping에 사용한 probe는 Escherichia coli의 16S+23S rRNS를 특이 primer로 역전사 중합효소 연쇄반응으로 증폭한 후 [α-??] dCTP로 labeling한 것을 이용하였다. Ribotype의 분석은 3 band 이상 차이가 나는 경우 다른 형으로 하였으며, 2 band까지의 차이는 아형으로 간주하였다. Hunter와 Gaston의 방법을 이용하여 discriminatory index(ID value)을 계산하였으며, Dice coefficient를 이용하여 dendrogram을 구성하였다. 결과:다제 내성 폐렴구균의 ribotype은 총 12개의 pattern으로 구분되었으며, A 혹은 A subtype으로 분류된 것이 한국 균주 19주(57.6%), 미국 3 균주(75%), 스페인 4 균주(80%)였다. Ribotyping의 ID value는 0.83이었다. 결론:Ribotyping의 결과 국내 다제 내성 균주의 57.6%가 동일한 ribotype을 보유하고 있음은 기존의 분자 역학 연구의 결과와 마차가지로 국내에 존재하는 내성 균주가 유전적 상관성을 가지고 있음을 의미하는것이다. 이는 내성의 전파가 국내의 내성율을 단기간에 급증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하였을 가능성을 뒷받침한다. 동시에 외국 균주와도 유전적 상관성이 있어 국가 간 전파도 가능함을 알려 주고 있다. Background: Recent data from Korea showed that penicillin-resistance in pneumococci was more than 70% with 35% of multidrug-resistance(MDR) among invasive isolates. One of the most important reasons for the rapid increase of pneumococcal resistance in Korea would be the spread of resistance. Previous data of pulsed-field gel electrophoresis(PFGE) and penicillin-binding protein profile suggested the spread of pneumococcal resistance. To investigate the genetic relatedness of multidrug-resistant strains, we performed the ribotyping with resistant strains isolated from different countries. Methods: A total of 42 pneumococcal isolated from Korea(33), Spain(5), and the United States(4), which were resistant to more than 3 classes of antimicrobial agents on agar dilution methods, and a R6 penicillin-susceptible strain were used for ribotyping. Ribotyping was performed with the restriction enzyme Pvu Ⅱ by using a [α-??]dCTP-labeled gene probe from Escherichia coil 16S+23S RNA. Results: Ribotype of a R6 strain was quite different form those of resistant strains. A total of 12 different ribotypes were noted in multidrug-resistant strains. Nineteen of 33 Korean strain(57.6%), 3 strains from the United States(75%), and 4 strains form Spain(80%) belonged to ribotype A or A subtypes. Discriminatory index of the ribotyping was 0.83. Ribotyping produced more patterns which could denote more discriminatory power than PFGE. Conclusion: The data strongly suggest the genetic relatedness of resistant strains from different countries. It might suggest the spread of pneumococcal resistance within Korea which could partly explain the rapid increase of resistance in a short period.

      • 아민 및 니트로화합물에 대한 QSAR의 물리화학적 매개변수 및 독성과의 상관관계

        김재현,김애경 한국환경독성학회 1999 환경독성보건학회지 Vol.14 No.1

        Quantitative strucrure-activity relationships between the toxicity (LD_(50)) and molecular properties of amine and nitro compounds were tested. The all 19 compounds showed low correlations below 0.500 to their LD_(50) values, When amine or nitro compounds were taken separately,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alculated chemphysico parameters and LD_(50) were also poor (r²=0.4911, 3967 repectively), The overall relationships among the QSAR parameters were investigated. Molecular weight shows a high correlation with total surface area (r²=0,9287); 0.9090 for zero-order connectivity and second-order connectivity; 0.8784 for bioconcentration factor and second-order connectivity. When amine compounds were taken to perform the statistical treatment, the relation-ships between parameters were as follows: 0,8436 for volume -negentropy; 0.8925 for volume -bioconcentration factor; 0,9929 for zero-order connectivity-Kow; zero-order connectivity -bioconcentration factor; 0.9141 for zero-order connectivity-solubility; 0.9718 for solubility -bioconcentration factor; 0.9894 for solubility -bioconcentration factor and 0.9319 for Kow-bioconcentration factor. On the other hand, nitro compounds showed different relationships as follows: 0.8952 for volume-I/Q character; 0.9520 for volume-total surface area; 0,9351 for volume-molecular weight; 0.9351 for volume-MW; 0.9961 for Kow-Koc; 0,8455 for Kow-bioconcentration factor; 0,8879 for Koc-bioconcentration factor; 0,9987 for MW-total surface area respective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