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동적 모의실험 및 분석을 통한 보행훈련장치 연구

        한일 ( Han Il Kim ),정한별 ( Han Byul Jung ),노형 ( Rho Hung Kim ),박길문 ( Gil Moon Park ),근형 ( Geun Hyung Kim ),이행남 ( Hang Nam Lee ) 조선대학교 공학기술연구원 2009 공학기술논문지 Vol.2 No.1

        A gait training system for patients with gait disorder was developed. These systems leads gait joint movements given the patient who cannot carry out an independent gait. It provided a normal stance-swing ratio of 60 : 40 because of the eccentricity revolution of a gear. In this study, motion trajectory of a knee & ankle joint was evaluated and compared a measured trajectory with three-dimensional motion analyses system with the results of multi-body dynamics simulation during the gait training in a prototype of a developed gait training system. In general, predictions from the simulation study were in good agreement with experimental results from the motion analysis. The clinical application by a continuous dynamics simulation studies and gait analysis was expected to be developed by gait training system which would be helpful to recover gait ability of patients with gait disorder.

      • KCI등재

        장애인스포츠실업팀 고용 현실화를 위한 운영특성 분석

        권일 ( Kwon-il Kim ),미혜 ( Mi-hye Kim ),한창수 ( Chang Su Han ) 한국특수체육학회 2020 한국특수체육학회지 Vol.28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전국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129개 장애인스포츠실업팀을 선행연구에서 제시한 장애인직장운동경기부 운영모형(임찬규, 최승권, 2012)을 기준으로 그루핑(grouping)하고, 그룹별 장ㆍ단점을 제시함으로써 선수생활의 은퇴 시 고용연계를 현실화하기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문헌고찰, 관련 홈페이지 분석, 관계자 인터뷰(유선 및 이메일) 등을 실시하였다. 자료의 분석결과, 국내 장애인스포츠실업팀은 세 가지로 그루핑 할 수 있었다. 첫째, ‘고용주도형’ 실업팀으로, 팀이 주도하여 훈련환경을 지원하고, 집합훈련을 실시한다는 공통점이 있다. 그러나 업무시간에는 업무에 전념하고, 업무외 시간을 훈련시간으로 규정한다는 점에서 훈련량이 적어 경기력 향상에 제약이 따르나, 은퇴후 해당 직무를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둘째, ‘운동중심형’ 실업팀으로, 팀이 주도하여 선수의 훈련에 필요한 제반환경(시설, 전임지도자, 용품)을 지원하고, 집합훈련을 실시함에 따라 경기력에 집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선수들이 업무시간에 운동에만 집중하기 때문에 직무를 부여받지 않으며, 은퇴시 고용연계가 불안정하다는 단점이 있다. 셋째, 최근 민간기업 사이에서 급증하고 있는 ‘클럽형’ 실업팀으로, 팀은 최소한의 관여와 책임을 공유하는 운영방식으로, 집합훈련을 주도하거나 훈련시설을 지원하지 않는다. 다만 선수 당사자에게 일정 급여를 제공하여 개인훈련을 위한 비용 만을 지원하기 때문에 경기력 향상에 제약이 따르며, 은퇴후 고용연계가 불안정하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 할 때 장애인선수의 고용연계를 위해서는 클럽형이나 운동중심형보다는 고용주도형 실업팀 창단이 적극 장려되어야 하며, 정부차원에서도 고용주도형 실업팀 장려를 위한 지원을 우선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policy implications for making employment links a reality at the retirement of a player's career. Each group wa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criteria outlined in the Operation Model of the Disabled Occupational Movement and Competition Department (Im, Chan-gyu, Choi, Seung-kwon, 2012) and presented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for each group. The study was conducted by 129 Corporate-Sponsored Team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across the country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research, literature review, analysis of the relevant website, and interview with officials were conducted.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data, the nation's disabled sports industry team was able to grub in three ways. First, as a 'type of employment-driven' CSTDs, there was something in common that the team, like the movement-oriented, is to support the training environment and to conduct collective. However, in the sense that working hours were devoted to working and non-working hours are defined as training hours, there are limitations to improving performance, but the job can be maintained after retirement. Second, as a 'type of movement-oriented' CSTDs, the team had the advantage of supporting the overall environment (facilities, full-time leaders and supplies) required for the training of athletes, and focusing on the performance as the team conducts collective training. However, players were not given a job because they only focus on exercising during their working hours, and their employment links are unstable when they retire. Third, it is a 'type of club' CSTDs, which has recently been surging among private companies, and the club did not lead collective training or support training facilities, in an operating manner that shares minimal involvement and responsibilities. However, since the players only supported expenses for individual training by providing a certain salary to the players, the performance improvement was limited and the employment links after retirement are unstable. these results, the creation of a 'type of employer-driven' CSTDs rather than a 'type of club' or a 'type of movement-oriented' one should be actively encouraged for employment links of athletes with disabled, and support for encouraging a 'type of employer-driven' CSTDs at the government level should be considered.

      • 볼텍스 발생 억제를 위한 흡수정 형상 최적화

        한일 ( Han Il Kim ),이계복 ( Kye Bock Lee ) 충북대학교 산업과학기술연구소 2022 산업과학기술연구 논문집 Vol.36 No.2

        The vortices, such as free surface vortex and submerged vortex, occurring around or at bell-mouth inlet have been important flow characteristics which always should be considered to keep away from the suction of air-entertained or cavitated flow. The suction of air-entertained or cavitated flow is caused by unfavorable approach flow patterns at suction inlet. The flow patterns are subjected to suction well configurations and pump operation conditions. The Hydraulics Institute and Turbomachinery Society of Japan standards have some regulations for the upstream flow of the pumps to be steady and uniform. However, existing domestic suction wells generally have a partition with opening (including gate), which disturbs the steady and uniform flow, between suction well and regulation well. In this research, many model tests were conducted to observe the generation of vortex in the representative model of suction wells, which were most commonly used in KOWACO's pumping stations. The result of model tests was compared with recommendations of previous standards. The optimum suction well and guidelines of sump design are presented.

      • KCI등재후보

        A Web-based 'Patterns of Care Study' System f or Clinical Radiation Oncology in Korea

        김일한(Il Han Kim),지의규(Eui Kyu Chie),오도훈(Do Hoon Oh),서창욱(Chang-Ok Suh),종훈(Jong Hoon Kim),안용찬(Yong Chan Ahn),허원주(Won-Joo Hur),정웅기(Woong Ki Chung),최두호(Doo Ho Choi),이재원(Jae Won Lee)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3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21 No.4

        목 적: PCS 연구의 목적은 임상 방사선치료 QA의 표준 연구수단을 구축하고,방사선치료과 정의 기본요소를 결정하고, 협동 임상시험의 기반을 제공하고,외국과의 비교 연구를 위한 기본자료의 구축에 있다.우리나라 임상 방사선종양학의 PCS 연구기법으로서 구축한 웹 기반의 PCS시스템의 개발 및 특성을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본 시스템은 메인서버와 외부에 구축한 2중 백업서버로 구성되어 있다. 리눅스 운영 체제 및 MySQL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프로그램을 완성하였다. PCS 대상이 되는 종양으로서의 개발 우선 순위는 1989년부터 1999년 사이에서 우리나라 전국의 방사선종양학과에서 치료빈도가 많은 순서를 근거로 결정하였다. 결 과: 2003년 초반에 웹 기반의 임상 PCS시스템이 구축되었다. 웹 주소는 www.pcs.re.kr이며, 우 선 유방암,직장암,식 도암, 후두암, 폐암 및 전이성 뇌종양을 대상으로 하였다. 완성된 개발 항목의 수는 1,000항목을 상회하였다.구축된 시스템은 사용자 편의성 충족, 기입 내용 중복 확인, 자료 기밀성, 자료 보존 및 사본 작성,이중 백업,통계 분석 지원 등 을 구현하였다. 문자화된 자료 외에 영상자료도 입력되도록 시스템을 구축하였다.아울러,임상시험승인 관련양식 지원, 무작위 자료 추출,방사선종양학과의 구조적 요소 파악 기능도 갖추었다. 결 론: 본 시스템은 PCS분야에서는 최초로 구축되고 작동되는 웹 기반 시스템이다.구축한 시스템을 통해서 단시간 내에 표본 자료의 수집이 가능하여 시간 및 비용을 절약할 수 있게 되었으나 구축자료의 신뢰도 확인을 별도의 검증과정은 필수적이다. 본 연구팀이 개발한 본 웹기반시스템은 향후 PCS 연구 또는 자료수집이 필요한 유사연구상황에 응용될 수 있는 표준적인 기법으로서의 활용되기를 희망한다. Purpose We report upon a web-based system for Patterns of Care Study (PCS) devised for Korean radiation oncology. This PCS was designed to establish standard tools for clinical quality assurance, to determine basic parameters for radiation oncology processes, to offer a solid system for cooperative clinical studies and a useful standard database for comparisons with other national databases. Materials and Methods: The system consisted of a main server with two back-ups in other locations. The program uses a Linux operating system and a MySQL database. Cancers with high frequencies in radiotherapy departments in Korea from 1998 to 1999 were chosen to have a developmental priority. Results: The web-based clinical PCS system for radiotherapy in www.pcs.re.kr was developed in early 2003 for cancers of the breast, rectum, esophagus, larynx and lung, and for brain metastasis. The total number of PCS study items exceeded one thousand. Our PCS system features user-friendliness, double entry checking, data security, encryption, hard disc mirroring, double back-up, and statistical analysis. Alphanumeric data can be input as well as image data. In addition, programs were constructed for IRB submission, random sampling of data, and departmental structure. Conclusion: For the first time in the field of PCS, we have developed a web-based system and associated working programs. With this system, we can gather sampled at a in a short period and thus save, cost, effort and time. Data audits should be performed to validate input data. We propose that this system should be considered as a standard method for PCS or similar types of data collection systems.

      • 남북한 관계의 형성과 기원 : 1970년대 적대적 상호의존관계 형성을 중심으로

        김일한(Kim Il-Han) 북한연구소 2009 북한학보 Vol.34 No.1

        “민주주의와 공산주의에서 어느 체제가 국민을 더 잘 살게 할 수 있는가 선의의 경쟁을 하자.”(박정희, 1970년 8·15 경축사). 1970년대의 남북한 관계는 현재의 남북한 대립과 경쟁 그리고 적대적 상호의존 관계를 형성한 핵심적 시기이다. 1970년대는 남북관계가 실질적인 교류와 본격적인 경쟁의 시대로 접어드는 매우 복합적인 현상들이 나타나고 발전·심화되어 왔기 때문이다. 적대적 상호의존관계의 상징적인 사건은 1972년‘7·4 남북공동성명’이라고 할 수 있다. 남한은 1961년 5월 집권한 박정희 정권의‘先건설 後통일’의 통일관 및 대북인식이 북한을 자극했다. 북한은 남쪽 군사정권 출범에 따라 4대 군사노선, 군사·경제병진노선, 중·소와의‘우호협력 및 상호원조 조약’체결 등으로 대응했다. 1970년대 이전 남북한은 사활적 체제 경쟁과 냉전적 국제정치 상황에서의 생존이라는 공통의 국가목표가 있었다. 그러나 1970년대에 접어들면서 남북한 각각 국내 정치의 새로운 활로가 필요했고, 또한 데탕트라는 변화하는 국제정치 환경에 적응해야만 했다. ‘공동성명’은 이러한 남북한 각각의 이해관계가 상호 적대적 합의에 의해 성립된 최초의 결과물이었다. 따라서 남북한간의 적대적 상호의존관계가 전면적으로 드러난 시기가 바로 1970년대였다. 남북한이 서로의 경험이 상호 공유 혹은 모방되고, 그 결과로서 경쟁관계를 형성했다. 즉, 정치에서의 유일사상체제(주체사상)과 유신체제, 사회개혁과 국가 근대화전략으로서의‘천리마운동’과‘새마을운동’, 국가발전전략으로서의‘자립경제’와‘외자유치’의 이상과 현실은 1970년대를 관통하는 남북관계의 연결고리이자 대립과 경쟁, 공존과 공유의 극단적인 상호의존성을 보여주었다. 1970년대의 이러한 현상들이 자기 우월적 혹은 체제 방어적 인식에서 출발한 것이었지만, 최근까지 남북한 사이의 경험적 역사는 민족이라는 동질성외에 다양한 공통점을 내재시켜왔다. The hostile and interdependent rel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has been formed since 1970s. Looking about its origin, The Only Thought(the Juche ideology) regime of North Korea constructed in the late 1960s and the Yushin regime of South Korea in 1970s were inter-hostile and interdependent in terms of completion of their power system and ruling means. The 'Chullima Movement'of North Korea in 1950s and the 'Saemaeul Movement' of South Korea in the 1970s were appeared as the modernizing strategy and social reforming movement. The North Korea sought the ideal of 'self-supporting economy' and South Korea pursued the reality of incorporation into world economy. The inter-Korean relation was changed from inter-hostile and interdependent to mutual interdependent through these empirical history.

      • 입원중인 암환자에 대한 통증관리의 적절성평가 - 한 3차 의료기관 내과 전공의를 대상으로 -

        국회,장원일,조요한,최인실,박숙련,이상윤,지현,도연,이세훈,태유,방영주,노경,허대석,Kim, Kuk-Hyoe,Jang, Won-Il,Joh, Yo-Han,Choi, In-Sil,Park, Sook-Ryun,Lee, Sang-Yoon,Kim, Jee-Hyun,Kim, Do-Yeun,Lee, Se-Hoon,Kim, Tae-You,Bang, Yung-J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2001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Vol.4 No.2

        목적 : 암환자에서 가장 흔히 겪게 되고, 심각한 증세는 통증이다. 진행성 암인 경우 $60{\sim}90%$의 환자들이 통증으로 고상하게 되며, WHO통계에 따르면 전세계적으로 4백만 정도의 암환자들이 통증으로 고생하고 있다. 통증관리원칙에 따르면 환자 $70{\sim}90%$이상에서 적절한 통증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들 중 $60{\sim}70%$의 암환자들이 적절한 통증치료를 받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1) 암환자의 통증 빈도 2) 환자와 담당전공의에서 통증인지의 일치 여부 3) 암환자의 통증치료에서 진통제 투약의 적절성 등을 조사함으로써, 암환자 통증에 대한 이해와 통증관리에 대한 지침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서울대학교병원 내과병동에 입원한 암환자들의 통증 빈도, 담당전공의와 환자의 통증인지 일치도, 통증 관리의 적절성 등을 평가하기 위해서 환자와 담당전공의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고, 진료기록을 평가하였다. 결과 : 7일 이상 내과병동에 입원해 있는 암환자 59명중 43명(62.8%)이 통증을 호소하였다. 전공의들은 담당 암환자들의 통증을 실제보다 과소평가하고 있었으며, 진통제 투약 원칙이 지켜지지 않은 경우도 상당수 있었고, 환자의 통증이 심해질수록 통증에 대한 치료가 더 불충분한 경향이 있었다. 결론 : 암환자에 있어서 통증은 아직까지 낮게 평가되고 있으며 통증 치료는 여전히 불충분하다, 이와 같은 점을 고려할 때, 통증의 평가 및 치료에 대한 더 많은 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 Pain is the most serious symptom that cancer patients experience. About $60{\sim}90%$ of advanced cancer patients and four million patients worldwide, according to the WHO statistics, are reported to suffer from cancer pain. Although about $70{\sim}80%$ of the pain could be controlled according to the pain control principles, to our regret, only $30{\sim}40%$ are managed appropriately. This research was aimed to (1) investigates the prevalence of pain among cancer patients, (2) compare patients' perception of pain with physician's recognition and (3) evaluate appropriateness of the doctor's prescription of analgesic. Materials and Methods : Patients with advanced or terminal cancers admitted at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or at least 7 days were enrolled. A questionnaire for the patients and the physicians in charge were given and the answers were compared for each other. We also examined their medical records and the physician's orders. Results : Total 59 patients were enrolled. Among them, 43 patients answered the questionnaire, and 27 patients (62.8%) suffered hem cancer pain. The survey also showed that physicians underestimated the severity of pain, overlooked frequently analgesic prescription principle, and that as the patients' pain became severe, the less adequate was pain managements. Conclusion : For cancer patients, pain was frequently overlooked, and treatment still inadequate. Based on this evidence, it seemed that more active practice and education about evaluation and management of cancer pain are needed.

      •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 과제: 한국의 역할을 중심으로

        김일한 ( Kim Il Han ),조우현 ( Cho Woo Hyun ) 한국접경지역통일학회 2018 접경지역통일연구 Vol.2 No.1

        이 논문은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을 위한 조건을 고찰하고 그 과정에서 요구되는 한국의 역할을 제안하고 있다. 불안정한 정전체제를 평화체제로 전환시키기 위해서는 정전협정이 평화협정으로의 대체되어야 하고 군사적 신뢰구축 및 군축이 실현되어야 하며 적대국가 간 관계가 정상화되어야 한다. ‘판문점선언’에서 합의한 ‘항구적이고 공고한 평화체제 구축’이라는 목표는 평화체제의 당사자, 단계 절차, 수단, 방식, 관리 보장 등 각 구성요소에서 제기되는 쟁점을 해결해나감으로써 실현될 것이다. 특히 이 과정에서 한국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한국은 미국의 ‘한반도 비핵화’와 북한의 ‘체제보장’이라는 국익이 수렴되도록 조정 중재해야 하며 이를 통해 ‘지속가능한 남북미 관계’를 만들어가야 한다. 한국은 이 과정에서 제기되는 상호연계되고 복잡한 쟁점 사안을 국제정치(보편성)와 남북관계(특수성) 측면으로 구분하여 접근하면서 평화체제 구축과정을 적극 주도해야 할 것이다. This paper aims at reviewing the conditions for constructing a peace regime on the Korean Peninsula and at proposing the role of South Korea. The transformation from an armistice regime to a peace regime requires the fundamental changes in three aspects: a new agreement, peace agreement, replacing the Armistice Agreement and legally terminating the Korean War, confidence building measures(CBMs), arms control and arms reduction process disconnecting the vicious circle of arms race, and normalization of the hostile relations. 'Establishing a permanent and solid peace regime', that was agreed to by the leaders of the two Koreas, is asking a lot of questions to reach that goal of 'Panmunjeom Declaration'. Which countries are directly involved in building a peace regime? What steps those countries have to follow? What kinds of agreement should be signed? How the participating countries resolve a wide range of issues and guarantee peace regime? In this regard, a lengthy consultation process of making a peace regime on the Korean Peninsula will be cumbersome and very complicated. South Korea's position and role within the process toward a peace regime are important. As an active mediator and strategic balancer, South Korea should coordinate conflicting views of the United States, which wants 'complete, verifiable, irreversible denuclearization' of North Korea, while North Korea wants 'complete, verifiable, irreversible security guarantee' of the United States. While making sustainable relations among the two regimes of the peninsula and the United States, South Korea is required to take two separate approaches in responding to the issues of international politics and inter-Korean rel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