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일 지역 흡연자들의 금연클리닉에 인식 및 기대정도

        민순 ( Soon Min ),김혜숙 ( Hye Sook Kim ),김경미 ( Kyoung Mi Kim ),하윤주 ( Yun Ju Ha ),김은아 ( Eun A Kim ) 경희대학교 동서의학연구소 2009 동서간호학연구지 Vol.15 No.2

        본 연구는 G시에 거주하는 30대 이상 지역주민 중 흡연자를 보건소에서 운영하는 금연클리닉에 대한 활용실태 및 인식과 기대정도를 조사하여 금연클리닉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방안을 파악하여 금연 실천율을 높이고 국민건강증진에 가여 하고자 연구되었다. 그라나 흡연자의 급연클리닉 인식과 기대에 대한 선행연구가 부족하여 비교하기 어려운 실정이므로 본 연구결과만을 중섬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대상지의 금연클리닉 이용관련특성을 빈도별로 파악한 결과, 금연클리닉을 다녀 볼 생각이 전혀 없다라고 응답한 경우가 67.5%였는데 이는 사회적으로 금연 필요성에 대해 인식이 이미 인지된 상태라고 간주함 때 이러한 결과는 금연 필요성의 부족의 문제가 아니라 금연클리닉에 대한 정보부족이 원인이라 생각하고 홍보가 필요하다고 본다. 또한 금연클리닉에 다니는 어떤 혜택을 응답한 경우가 71.7%였고, 금연클리닉을 주도적으로 국가가 예산을 들여 이 사업을 하는 줄 알고 있는지에 관한 질문에 모른다라고 응답한 경우가 전체의 54.7%로 적극적인 홍보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며, 또한 국가적 차원에서 조직적으로 금연클리닉의 정보를 제공하고 홍보할 수 있는 대중매체 등과 같은 구체적 방법들을 마련하여 금연 클리닉의 적극적인 홍보와 정보를 제공해야 할 젓으로 생각된다. 금연에 실패한 흡연자도 다시 등록시켜 금연실천 성과와 관련된 결과들로 도출되어야 하며, 재등록 횟수가 높을수록 금연 성공률이 낮다고 보고한 Song,Ju와 Kyung (2008)의 연구 결 과에서처럼 활용실태를 파악하여 신규등록자뿐만 아니라 재등록 자에 대한 관리방안도 같이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본다. 이러 한 조사들이 선행됨으로 금연클리닉의 높은 성공률과 효율성을 기대할 수 있으리라 본다. 금연클리닉의 가장 적합한 장소로는 직장 근처 47.4%, 보건소 20.3%, 공공기관 15.5% 정도로 나타났는데, 이는 Ha (2008) 의 연구에서 군대 내 외부 보건소에 의한 이동 금연클리닉이 효율적인 군병원 금연정책 및 금연교육의 종류 중의 하나로 선정 한 결과와도 비슷한 결과이다. 사회에서 직장은 흡연 전파의 장소일 뿐 아니라 금연 확산의 요지이기도 하므로 직장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한 금연교육도 중요한데, 국내외 연구 중 직장근로 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7-10% 정도(Hyun & Jung, 2002)로 저조한 편이다. Lee (2004)의 연구에서도 학교 내 금연상담실 설치하여 금연을 유도하기 위한 실천프로그램을 제시한 결과와 비슷한 결과로써 대상자가 쉽게 이용할 수 있는 편의성과 근접 성을 고려하여 장소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며, 보건소 같은 한정된 장소 보다는 대상자 중심의 운영방식으로 대상자가 있는 곳(산업장, 대학교 등)으로 직접 방문하여 홍보할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한 것으로 여겨진다. 금연클리닉을 처음 접하게 해준 매체로는 방송이 36.8%, 친 구와 이웃이 20.1% 순으로 나타나 대중매체를 통한 홍보가 중요하다고 여겨진다. 하지만 대중매체를 통해 금연클리닉에 대한 메시지를 전혀 접한 적이 없거나 모른다고 응답한 경우가 61.6% 정도로 높은 결과로 나타나 적극적인 홍보 방안이 간구 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되며, Cho와 Song (2006)은 금연동기 에 따른 금연성공률이 TV, 라디오, 인터넷 등 광고를 통해 금연클리닉 등록동기를 갖은 경우에 금연성공률이 가장 높았다는 결과를 고려할 때 다른 무엇 보다 대중 매체를 통한 홍보의중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금연클리닉 인식정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인 변수 중 먼저 연령에서는 다른 연령에 비해 60대가 금연클리닉에 대한 인식정도가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다. 이는 Kim Kim, Park, Kim과 Koo (2007)는 큰로자 건강증진 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연령이 많을수록 건강증진 실천정도가 높게 나타난 것을 볼 때 나이가 들수록 자신의 건강에 대해 더욱 관심을 갖게 되는 경향과 함께 60대가 상대적으로 시간적으로 여유가 있어 대중매체를 접할 수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라 판단하였다. 따라서 직장 생활을 주로 하는 30대,40대,50대의 인식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직장 출퇴근이 잦은 교통의 요 지에 현수막이나 대중교통 수단에 홍보 문구를 삽입하는 방안을 적용해 보는 방법도 효과적 일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직장 단위의 이동클리닉에서 직장 내 함께하는 금연문화 조성과 동시에 금연클리닉에 대한 인식교육의 시행이 필요하다고 본다. 결혼 상태에서는 기혼자가 금연클리닉에 대한 인식정도가 가장 높았다. Choi와 Lee (1994)의 연구에서 근로자의 가정과 연계한 가정통선문, 전화상담, 유인물 제공 등의 지지기반 구축 방법이 금연프로그램에 효과적이었다는 것을 볼 때, 이는 가족 은 각 구성원의 건강 상태에 강한 유대관계가 존재하기 때문에 가족성원의 건강을 위해 필요한 정보전달이 다른 곳 보다 더욱 효과적으로 이루어 졌으리라 사료된다. 따라서 가족성원의 인구 분포가 가장 많은 학교에서 보건소 금연클리닌에 대한교육 과 함께 유인물 등이 배포된다면 가족성원으로의 전달력과 그 효과도 더 할 수 있을 것이다. 거주 지역에서는 남구와 서구에서 금연클리닉 인식정도가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고, 나머지 지역인동구, 북구와 광산구는 비슷한 수준이었다. 이는 주택이 분산된 타 구역과는 달리 지역 특성상 남구가 아파트 밀집지역이 많아 정보공유가 더 쉽게 일어난 것으로 사료되며, 각 구별로 활동 중인 보건소 금연클리닉 에 대한 홍보사업이 얼마나 성공적으로 운영되고 있는지의 결과와 비교하여, 금연클리닉 인식정도와 금연 성과에서 얼마나 관련성이 있는지 추후 연구해 볼 필요가 있음을 지적한다. 직업과 관련한 금연클리닉의 인식 정도는 서비스직이 높은 점수를 보였으며, 그 다음으로 전문직 사무직 순이었는데, 이는 서비스직 같이 근무 장소가 자유로운 직업군에서는 금연클리닉에 대한 홍보 및 정보를 더 많이 접할 수 있는 기회가 많았기 때문일 것이라 사료되고, 전문직 및 공무원, 사무직 같이 근 무 장소가 한정되고 유동성이 없는 작업일수록 금연클리닉에 대한 정보전달이 늦은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직업과 직종에 따라 차별화된 홍보 전략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여가 운동과 등산과 걷기를 즐겨하는 군의 금연클리닉 인식 정도가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고, 그 다음은 수영, 골프 순이었는데, 이는 Hwang (2008)이 대학생의 건강증진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서 운동실천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건강증진 실천의지가 높아진다는 것과 비교할 때 몸을 많이 사용하며 운동 하는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보다 인식 정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되며, 운동 유형별로는 등산과 걷기는 장시간 동행자들과 함께하거나 쉼터에서 무리 지어 운동하면서 서로 정보전달에 더 효과적이었으리라 사료된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금연클리닉 기대에 유의한 차이를 보인 변수로 볼 때 먼저 결혼 상태에서는 기혼이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는데, 이는 Kim 등(2007)의 연구결과에서 미혼보다 기혼 의 경우 건강증진 활동 실천율이 높은 것과 비교해 볼 수 있었고, 일반적으로 가족 내에서 흡연자의 위치가 가장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가장의 건강이 가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책임감, 이미 알려진 간접흡연 피해와 함께 가족성원들의 지지로 인하여 금연클리닉에 대한 기대가 상승한 것으로 사료된다. 종교는 천주교가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고, 그 다음은 불교, 기독교, 종교가 없는 경우 순이었는데, 이는 종교의 유무에 따라 금연클리닉에 대한 기대와 관심 정도로 보이며, 종교를 가지고 있는 경우가 적극적으로 금연을 실천해야 하는 의무를 가짐으로 기대정도가 더 높은 것으로 해석된다. 2005년도 통계청 조사에 의하면, 우리나라에서 종교를 가진 인구가 전체 인구의 절반이 넘는 53%에 달한다고 보고되었는데 어떤 종교이든 종교적 특성상 그 종교 안에서 신앙을 함께 하는 사람들끼리 신앙적 공동체를 형성하기 때문에 공동제의 금연을 지지하는 분위기들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각 종교단체 단위별로 금연클리닉에 대한 활용방안을 적극 홍보하여 인식정도를 높이는 것도 고려해야 할 방안으로 여겨진다. 여가 운동은 골프가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고, 다음으로 등산, 수영, 걷기, 운동을 하지 않는 군 순이었는데, 이는Hwang (2008)의 여가 운동을 즐기고 있는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보다 당연히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을 것이라 한 결과와 유사한 결과로 고급 스포츠를 함으로 좀 더 얻어지는 것이 클 것이라는 기대와 관심으로 해석하고자 한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level of expectancy, cognition, and work condition among smokers with respect to the smoking cessation clinics. Methods: The study participants included over 503 smokers aged 30 yr and in five districts of G city. The researcher and assistants personally visited homes and workplaces of the participants between November 20 and November 30, 2008 for the survey. Results: The subjects learned to smoke from their friends and started smoking when they were 15 out of curiosity. They smoked more than one cigarette every day. With respect to cognition, 67.5% of the subjects had no intention to utilize smoking cessation clinics, and 71.7% were unaware of their benefits. Those with a high level of cognition regarding smoking cessation clinics were generally in their 60s, married, residents in the Southern and Western Districts, service or technical workers, and hikers. The expectancy for the clinic was high among those who were married, Catholics, and golfers. Conclusions: The results suggest that smoking cessation may be achieved by increase-ing the level of cognition and expectancy among smokers. In this regard, providing information and implementing positive publicity campaigns targeting families, places of worship, and workplaces may be beneficial.

      • 건강식품 바이탈 및 비지놀의 抗疲勞 效果에 관한 연구

        정경수,김혜경,김희수,김계양,곽영숙,김학범 충남대학교 약학대학 의약품개발연구소 1993 藥學論文集 Vol.9 No.-

        As a result of extensive research efforts on the oriental medicinal herbs, some of their interesting biological activities have been elucidated. In the present study, antifatigue effects of two natural food supplements consisting of oriental herbs, Vital and Vigilor, were investigated using the ICR mice. The mice were fed with antibiotic-free normal mouse feed containing Vital or Vigilor for 14,28, or 31 days and then subjected to forced swim tests. In a test carried out in melting-ice water, Vital and Vigilor significantly increased the exhaustion times of the 28 day-fed mice by 26.9 % (p < 0.01) and 16.2% (p < 0.05), respectively. However, in the other test performed at 15±0.5℃ using 31 day-fed mice, Vigilor failed to increase the exhaustion time significantly (at p< 0.05), while Vital showed antifatigue effect by increasing the swimming time by 29.9% (p<0.01). Neither of Vital nor Vigilor exerted antifatigue effects in a swim test carried out on day 14 after the initiation of feeding. These results suggest that Vital and Vigilor exhert antifatigue effets when administered for a sufficient period of time by enhancing the health of the host animals.

      • 6차 교육과정의 유치원 노래 분석

        김혜경 광주보건대학 1996 論文集 Vol.21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songs presented in sixth curriculum according to the children's developmental level and the elective items. The analyzed points of songs are five : content, tonality, form, beat, vocal range. The results and suggestion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contents of songs are almost nursery rhymes. The more various branches of songs are needed. 2. The tonalities of some songs are not appropriate to children's development. Children can sing easily the song formed as fundamental tonality. 3. The forms of songs are not appropriate to children's musical ability. The more shorter forms of songs are needed. 4. The beat of songs is mostly appropriate to children's development. 5. The vocal range of songs is mostly appropriate. But the reduced ranges are needed to sing more easily.

      • KCI등재

        급성 조증에서 기분안정제와 리스페리돈의 병합 투여 효과 : 다기관 개방연구

        김광수,배치운,윤진상,김영훈,이양현,지익성,이철,송혜경,최성구,박원명 大韓神經精神醫學會 2005 신경정신의학 Vol.44 No.2

        Ohjective :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was a replication of the effectiveness and tolerability of rispehdone in the treatment of patients with acute mania in very larger cohon in naturalistic treatment setting to extend the data on the effect and tolerability of risperidone in the treatment of patients with acute mania to Asian population. Methods : A total of 909 patients with DSM-TV criteria of bipolar disorder current manic and hypomanic episode, entered this large, open, multicentre study. The Young Mania Rating Scale (YMRS), Clinical Global Impression (CGI) and Simpson-Angus Rating Scale (SARS) were measured at baseline and weeks 1, 3 and 6, for the assessment of effectiveness and extra-pyramidal symptom (EPS). Results : This study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duction of scores on the YMRS and CGI-s (mean change=-23.5±11.8, p<0.0001 ; mean change=-2.7±1.5, p<0.0001, respectively) from the baseline to the endpoint (week 6). Number of patients with 50% reduction or more in the YMRS and CGI-s scores was 693 (77.8%) and 630 (70.7%) at endpoint, respec-tively.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ments of scores on SARS. Risperidone was generally well tolerated. Conclusion : The present larger open study demonstrates that hsperidone add-on therapy is effective and tolerable in treat-ment of bipolar disorder, replicating results in various controlled and uncontrolled studies from Western countries.

      • KCI등재후보

        고혈압 환자에서 Nicardipine과 Esmolol의 병용 투여가 기관내삽관시 혈압과 심박수에 미치는 영향

        김혜경,이지향,이상곤,반종석,민병우 대한마취과학회 2002 Korean Journal of Anesthesiology Vol.43 No.5

        Background: This study was designed to determine the efficacy of a combined use of esmolol and nicardipine for blunting hypertension and tachycardia after tracheal intubation in hypertensive patients. Methods: Forty-five hypertensive patients were randomly divided into three group: group E (esmolol 0.5 mg/kg, n = 15), group N (nicardipine 30㎍/kg, n = 15), group EN (esmolol 0.25 mg/kg, nicardipine 15㎍/kg, n = 15). All patients received midazolam 0.5 mg/kg, and glycopyrrolate 0.2 mg IM for premedication. Fentanyl 1㎍/kg was injected before induction of anesthesia, and then esmolol, nicardipine, or the mixed drugs were administrated as an IV bolus and immediately followed by the induction drugs: thiopental 5 mg/kg, and succinylcholine 1 mg/kg. Endotracheal intubation was performed 90 seconds after injection of the experimental drugs. Thereafter 50% Nitrous Oxide in oxygen and 2 vol % enflurane were inhaled. BP and HR were recorded at the resting state, before fentanyl injection (base {T0}), after injection test drug (T1), after induction (T2), immediately after intubation (T3), 2 min (T4), 3 min (T5), 4 min (T6), and 5 min (T7) after intubation. Results: There was a significant attenuation in SBP, MBP, DBP after tracheal intubation on the nicardipine & mixed groups compared to the esmolol group. HR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esmolol and mixed groups than in the nicardipine group after tracheal intubation. Conclusions: Combined administration of esmolol (0.25 mg/kg) and nicardipine (15㎍/kg) was effective in attenuating an increase of BP and HR during tracheal intubation in hypertensive patients. (Korean J Anesthesiol 2002; 43: 581~587)

      • KCI등재후보

        훈증소독에 따른 서화류의 안료변색 및 pH변화 유무 조사

        유혜영,김경수,이용희 국립중앙박물관 1999 박물관보존과학 Vol.1 No.-

        문화재의 생물피해 예방에 주로 활용되는 壎蒸消毒[메틸브로마이드와 에틸렌옥사이드 혼합 가스]이 書畵類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간략한 調査를 실시하였다. 彩色이 있는 조선시대 古地圖와 繪畵 등 13점을 대상으로 훈증소독 前과 後의 顔料의 變色 또는 退色의 有無 그리고 종이의 pH변화 등에 대하여 測定하였다. 그 結果 旣存의 문화재 훈증소독 適用基準[가스의 湯度, 暴露시간 등]을 지킨 조건에서는 안료의 변·퇴색 현상을 발견하지 못했으며 종이의 酸性化에도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This is a brief study on the influence of fumigation (using mixed gas of methyl bromide and ethylene oxide) on old paintings. Fumigation is principally used to prevent biological damage of objects. Thirteen objects, including old colored map from Choson Dynasty and some paintings, were selected for this research. Before and after fumigation, color measurements were made and changes of pH value were measured. The result is that the fumigation did not affect on discoloration of colored area and acidity of paper, as far as the standard of application (such as concentration of gas, exposing time and ect.) of fumigation was kept.

      • KCI등재
      • 多樣한 黃芩藥鍼製劑의 安全性 및 效能에 關한 硏究

        김호경,마진열,전원경,윤수영,강은정,주혜정,고병섭 한국한의학연구원 1997 한국한의학연구원논문집 Vol.3 No.1

        In order to detect the safety and effect of various aqua-acupunctures from Scutellariae Radix, the modifications of boiling, filtration and dilution were employed for the manufacture of aqua-acupunctures. We injected 0.2cc of aqua-acupunctures into Joksamri(足三里) of rat, repeatedly. we compared subacute toxicity of them with saline group, distilled water(D.W.) group, acupuncture group and control group.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groups were all healthy and alive, and there was no special abnormality in physical condition and autopsy. And there were not any toxic symptoms in repeating application of aqua-acupunctures to the rat, including changes of body weight, organ weight, haematological examination and serum biochemical test. 2. There was slight change of body weight in acupuncture group : We could see significance after 3 days (p<0.05) and after 7 days (p<0.001) in body weight loss. After 9 days, all tested groups were suppressed in body weight increment. 3. Result of organ weight: In Palking aqua-acupuncture(D-2 group), saline group and acupuncture group there were some statistical significance. Especially, acupuncture group revealed significant result in liver and spleen than aqua-acupunctures. From this result, we could suggest that the efficacy of acupuncture was preceded herbal medicine. 4. In serum biochemical test, we examined glucose(GLU), triglyceride(TG) and cholesterol(CHOL). In comparison with control group, the diluted 10 times of hwanggum aqua-acupuncture (× 10 group) was recognized significant decrease of glucose, but the diluted 100 times of Hwanggum aqua-acupuncture (× 100 group), D-2 group, saline group were confirmed significant increment. There was not any meaningful change of CHOL in all of tested group, excepting the acupuncture group was exhibi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p<0.05). In TG level all tested group except complex injection of standard compound (CPA group) and HG, there were significant value in statistically. The diluted solution was more significant decrease than Hwanggaum aqua-acupuncture(HG). The mutual relationship of components of aqua-acupuncture tended to decrease level of TG, regardless of its concentration. In acupuncture group, we gained some interesting result in meaningful decrease in TG. 5. Haematological examination showed significant increment of gramulocytes(GR) in all tested groups except Hwanggum aqua-acupuncture. And the diluted solutions of HG expressed very high increment of them(p<0.001). The GR and Mean Corpuscular Volume(MCV) of acupuncture group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e.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칭찬활동 프로그램이 청소년의 희망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김혜숙,민순,박종,김경미,하윤주,김은아,정선주 韓國學校保健學會 2009 韓國學校保健學會誌 Vol.22 No.2

        Purpos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praising activity program on hope and self-esteem of adolescents. Methods: From Jan 26th to 29th 2009. 193 of subjects were participated in investigation in G city. After 4 days of data collecting in praising activity program, research is the pre and post similarity test to investigate hope and self-esteem of adolescents. Results: The average hope score of adolescents significantly increase from 3.39 before the program to 3.60 after the program. The average self.esteem score of adolescents significantly increased(p<.00l) from 3.01 before the program to 3.15 after the program. From the resuits. the program showed that it has significant effect on hope and self-esteem of adolescents. Conclusion: The praising activity program as an affirmative mass psychological program is confirmed that it affects on hope and self-esteem. Therefore. it is expected to be utilized as promotion of health program for adolesc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