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부역량에 대한 국민인식이 정부성과인식에 미치는 영향 : 정부의 내·외부역량을 중심으로

        황창호(Hwang, Changho) 한국지방정부학회 2020 지방정부연구 Vol.23 No.4

        본 연구는 정부의 대표적인 역량변수를 내부역량과 외부역량 변수로 구분하여 정부역량에 대한 국민의 인식이 정부성과인식에는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정부의 내부역량 변수 중에서 재정자원관리와 정보공개에 대한 국민들의 긍정적인 인식은 정부성과인식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결과 나타났다. 둘째, 정부의 외부역량 변수 중에서 정부의 시민참여에 대한 국민들의 긍정적인 인식은 정부성과인식에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정부의 인적자원관리 역량과 시민지지 역량에 대한 국민들의 인식은 정부성과인식에는 통계적으로는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분석결과 나타났다. 분석결과를 통해 제시할 수 있는 연구의 시사점은 정부는 국민의 세금을 낭비 없이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재정자원관리 역량을 한층 강화하고, 정부의 의사결정과정을 국민에게 충분히 공개하여 알권리를 보장하는 동시에 다양한 경로와 채널을 확대하여 국민의 요구를 적극적으로 반영하려는 노력을 통해 정부성과에 대한 국민들의 긍정적인 인식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s how citizen perception of government capacity affects government performance perceptions by dividing representative capacity variables of government into internal and external capacity variabl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itizen s positive perception of financial resource management and information disclosure has a positive effect on government performance perception. Second, The citizen s positive perception of the government s citizen participation was foun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government performance perception. Thir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 that the citizen s perception of the government s human resource management capacity and citizen support capacity has no statistical effect on government performance perception. This study has an academic value because it can be utilized as an important policy reference material for improving government performance.

      • KCI등재

        챗봇의 자연어 이해 학습데이터 증강을 위한 의도 분석/생성용 언어자원의 구축

        황창회 ( Hwang Changhoe ),유광훈 ( Yoo Gwanghoon ),남지순 ( Nam Jeesun ) 서강대학교 언어정보연구소 2021 언어와 정보 사회 Vol.44 No.-

        This study aims to propose language resources named Deco-TIA/TIG, meticulously developed to annotate and generate TIAD (Topic-Intent-Annotated Datasets) as a NLU (natural language understanding) training dataset for customer service chatbots in the FinTech field. Deco-TIA/TIG are based on Semi-automatic Symbolic Propagation methodology with the DECO (Dictionnaire Electronique du COréen) Korean dictionary and Local-Grammar Graphs. By analyzing actual data web-scraped from fintech services, we found canonical linguistic constructs consisting of topic, event, discourse components with diverse patterns in Korean queries, complaints, and request texts. Deco-TIA/TIG are built to effectively provide high-quality annotated training data for Fintech CS chatbots by covering 32 topics, 38 events, and 15 discourse types extensively. For performance evaluation, we trained DIET (dual intent and entity transformer) and KoBERT framework with TIAD datasets. DIET-only shows F1-score 0.936 (Intent) / 0.854 (Slot/Entity), and DIET+KoBERT shows F1-score 0.95 (Intent) / 0.932 (Slot/Entity).

      • KCI등재

        역대 대통령 연설문의 유형과 특징에 대한 비교연구

        황창호(Hwang, Changho),이혁우(Lee, Hyukwoo),임동완(Lim, Dongwan) 한국공공관리학회 2015 한국공공관리학보 Vol.29 No.4

        본 연구에서는 역대 대통령들의 연설문이 어떤 유형(type)으로, 어떤 분야(where)에서, 어떤 주제(what)를 중심으로, 그리고 어느 시점(time)에 활발하게 생성되어 왔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연설문의 유형별로는 전두환 대통령과 김영삼 대통령, 그리고 노무현 대통령은 치사 유형의 연설문이 가장 많이 생성되었으며, 노태우 대통령은 성명/담화문, 김대중 대통령은 기념사 유형의 연설문이 가장 많이 생성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설문이 주로 생성되는 정책분야로는 외교통상 분야를 중심으로, 산업경제, 정치사회, 행정 분야에서 연설문이 활발하게 생성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주제별로는 일상적이고 반복적인 주제의 대통령 연설이 생성되기도 하며, 대통령별로 특정사건이나 국가의 중대사와 관련하여 연설을 해야하는 경우가 발생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연설문이 활발하게 생성된 시점으로는 집권 초반이나 후반보다는 주로 집권 중반에 대통령 연설이 집중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3,500여개의 역대 대통령 연설문을 통계적인 방법론 보다 내용분석을 통한 좀 더 사실적이고 현실적으로 다가올 수 있는 서술적 방식을 바탕으로 역대 대통령 연설문의 유형과 경향, 그리고 특징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의미를 찾을 수 있다.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type and characteristics-related Presidential Speeches. Particularly, this study surveys characteristics-related type and subject of Presidential Speeches, as well as field and timing of occurrence. There are several findings in this study. First, the type of speech in President Chun Doo-Hwan and Kim Young Sam, and Roh Moo-hyun was the most created the praise speech of type while President Roh Tae-Woo and President Kim Dae Jung showed that the most produced commemorative speech of type. Second, the policy area of presidential speeches are mainly produced by diplomacy & trade sector and the industrial economy, political society, administrative sector. Thirdly, the subject of presidential speeches are mainly created speeches with regard to a particular case or the fate of the country. Fourth, the timing of Presidential Speeches to be mainly focused on the early and mid-ruling rather than later. This study indicates that more sophisticated analyses of type and characteristics-related Presidential Speeches need to be pursued beyond simple identification of problems and solutions.

      • KCI등재

        공공조직 리더십이 구성원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조직구조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황창호 ( Changho Hwang ),김정숙 ( Jungsook Kim ),최정인 ( Jungin Choe ),문명재 ( M. Jae Moon ) 중앙대학교 국가정책연구소 2019 국가정책연구 Vol.33 No.1

        기업가정신은 기업의 혁신을 주도하는 정신이나 가치관이며, 기업가정신이 발현하기 위해서는 조직의 리더가 기업가적 리더십을 갖출 것이 요구된다. 본 논문은 공공 부문의 혁신을 위하여 강조되는 기업가적 리더십이 조직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어떠한 조직구조 하에서 조직 몰입을 높일 수 있는지를 실증적으로 규명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기업가적 리더십이 조직 몰입에 주는 영향과 함께 공식화, 집권화, 공식화의 조절효과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정부기관과 공공기관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방법으로 조절회귀분석을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기업가적 리더십은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고 조직구조의 세 가지 특성 중 집권화가 기업가적 리더십과 조직몰입을 조절하는 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같은 결과는 통제의 권한이 집중된 집권화된 조직에서는 기업가적 행동과 리더십의 발현이 조직구성원들의 조직몰입에 긍정적인 영향력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entrepreneurial leadershipon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a context where the importance of innovation for the public sector is increasing. The authors further explores how the entrepreneurial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relationship changes depending on the organizational structure types.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 that entrepreneurial leadership have impact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centralization, one of organizational structure types, has a moderating effect.

      • KCI등재

        역대 정부의 해양수산 행정조직의 변화와 정책성과에 대한 비교연구: 해양수산부를 중심으로

        황창호(Hwang, Changho) 한국지방정부학회 2017 지방정부연구 Vol.21 No.1

        본 연구에서는 역대 정권별로 해양수산행정 조직 및 기능변화를 살펴보고, 해양수산분야의 정책성과를 설문자료와 양적자료를 중심으로 비교분석하였다. 첫째, 설문자료 분석결과 해양수산행정조직에 근무하는 구성원들은 지난 20년간 양식산업, 해양환경보전, 해양문화관광 분야에 대한 정책성과를 높이 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해양영토관리와 재난 및 안전관리 부문은 상대적으로 성과가 미흡한 분야로 평가하고 있었다. 특히 해양환경보전과 해양과학기술 부문을 집중적으로 육성해야 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양적자료 분석결과 해양투기허용 총량제도의 도입과 해양폐기물 허용품목의 축소로 폐기물 해상투기량은 지속적으로 감소하였다. 또한 어업소득과 어가자산 모두 최근 정부로 들어올수록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어업생산량 측면에서는 어장축소 등으로 인하여 어려운 생산여건 속에서도 지속적인 자원조성사업 및 감척사업의 노력으로 톤당 어업생산량은 꾸준하게 증가하는 계기가 되었다. 해운수출입 측면에서는 최근 정부로 들어올수록 해운수입과 지출 모두 대폭 증가하였으며, 그 결과 해운수지의 경우도 두배 가량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해양수산분야의 정책성과를 설문조사자료와 지난 20년간의 양적자료를 수집하여 정권별로 체계적으로 비교분석함으로써 향후 해양수산분야의 정책성과에 대한 연구결과를 축적하고, 보완, 발전시키는데 중요한 기여를 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conduct an empirical analysis policy performance of oceans and fisheries of sector based on survey data and quantitative data.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analysis of the survey data shows that the members who work in the oceans and fisheries of administrative organization are positive evaluating the policy performance of the aquaculture industry, ocean cultural tourism, ocean environment preservation but ocean territory management and safety management are relatively poor in terms of policy performance. Second, quantitative data analysis shows that the amount of waste water disposal has decreased continuously and both fishery income and fishery assets increased with the recent government entry.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literature on by linking regime to oceans and fisheries of p

      • 논 토양의 반복 차륜 트랙픽 감소를 위한 새머리 분산 경로 계획

        윤창호 ( Changho Yun ),김학진 ( Hak-jin Kim ),전찬우 ( Chan-woo Jeon ),강경민 ( Kyeung-min Kang ),박승진 ( Seung-jin Park ),황예빈 ( Ye Been Hwang ) 한국농업기계학회 2022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7 No.2

        운행 제어 농업(CTF)은 글로벌 내비게이션 위성 시스템(GNSS) 및 자율주행 기술과 결합하여 더욱 실질적인 발전을 이루고 있다. 농기계의 운행 경로를 지정하여 항상 같은 경로를 운행함으로 작물을 심는 부분의 토양 다짐을 최소로 하는 목표를 갖는 기존의 CTF 접근방법과는 달리 담수가 필요한논 토양에서는 심토 다짐에 의한 적절한 경반 형성을 위해 분배된 트래픽을 같는 CTF가 필요로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논 토양의 적정관리를 위하여 새머리 구간 경로를 최적화 및 분산하여 반복 경로를 감소시키는 데 있었다. 반복적인 휠 트래픽을 줄이기 위해 다음과 같은 전역 경로계획 전략이 수립하였다. 전략 1: 내부 왕복 경로의 순서를 최적화하여 새머리 구간의의 거리를 최소화하고 중복 경로를 따라 트래픽을 방지합니다. 전략 2: 타이어 너비에 의해 수직으로 이동하는 새머리 구간 경로를 생성하여 접촉 영역을 분산시키고 반복적인 교통을 방지합니다. 제안된 전략의 유효성을 평가하기 위해서 제안된 전역 경로계획은 가상 트랙터 시뮬레이션 환경과 GNSS 기반 내비게이션이 있는 자율주행 트랙터로 실제 논 환경에서 테스트했으며 각 주행 결과를 기록하였다. 결과를 평가하기 위해 그리드 매핑 방법을 각 타이어 위치는 차량 위치와 방향을 기준으로 변환하고 휠 트래픽을 0.1m 간격의 격자 셀에 반복 횟수를 계산하는 방식으로 트래픽을 산출하였다. 제안된 방법을 통해 실제 타이어가 접촉하는 위치를 분산하여 자율주행 트랙터의 농업적 효용성을 높일 수 있었다.

      • 차량형 로봇 플랫폼을 이용한 농기계의 상위 제어기 평가 방법 개발

        윤창호 ( Changho Yun ),김학진 ( Hak-jin Kim ),전찬우 ( Chan-woo Jeon ),강민석 ( Minseok Gang ),황예빈 ( Ye Been Hwang ),박승진 ( Seung-jin Park ) 한국농업기계학회 2021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6 No.1

        프로토타입 테스트 또는 컴퓨터 시뮬레이터는 자율주행 농기계 개발의 설계 프로세스를 줄이기 위해 중요한 요소이다. 컴퓨터 시뮬레이터의 경우에는 자율주행용 상위 제어기를 개발을 위해 농업환경에서 외부 요인을 물리적 특성 반영하는 데 어려움을 겪어 왔다. 이 연구는 위치 결정, 내비게이션 및 추적의 실증적 솔루션을 개발하기 위해 모바일 로봇 플랫폼을 사용하여 농기계의 프로토타입 시스템의 구성을 통해 자율주행 상위 제어기를 평가하는 방법을 제시합니다. ERP 42는 전륜 조향 드라이브와 차동 기어가 있는 모터 동력을 이용한 4륜 구동형 자율주행 로봇 플랫폼으로서 상위 제어기에서 내려주는 조향각, 속도, 브레이크 명령을 시리얼 통신을 통해 수행하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연구에서 자체적으로 구성된 상위 제어기는 GNSS 수신기, 관성 측정 장치 및 비전 센서로 이뤄진 센서부와 임베디드 보드를 이용하여 경로생성 및 추종 알고리즘을 처리하는 제어 명령부 그리고 사용자와 기계 간의 소통을 위한 인터페이스로 구성됩니다. 개발된 시스템은 야외 환경에서 동작 실험을 통해 위치 결정, 내비게이션 및 추적 알고리즘 솔루션을 검증하기 위한 테스트베드로 설계되었습니다. 더불어 GPIO 방식의 버튼형 인터페이스 통해 자율주행 동작 변수를 입력하고 MQTT 프로토콜을 이용한 텔레매틱스 기술 통해 자율주행의 상태 정보를 관찰할 수 있도록 구현하였다. 이를 통해 자율주행 알고리즘을 농기계가 동작하는 야외 환경에서 효율적으로 검증함으로써 자율주행 농기계의 개발 프로세스를 단축하였다.

      • KCI등재
      • 클라우드 기반의 자율주행 농기계의 경로 계획 프레임워크

        윤창호 ( Changho Yun ),김학진 ( Hak-jin Kim ),전찬우 ( Chan-woo Jeon ),강경민 ( Kyeung-min Kang ),박승진 ( Seung-jin Park ),황예빈 ( Ye Been Hwang ) 한국농업기계학회 2022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7 No.1

        자율 트랙터의 경로계획은 특정 위치에서 트랙터의 동작을 나타내기 위해 미리 정의된 요소이며 작업 효율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이다. 농기계 작업 경로는 농가의 경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어 최적화된 경로계획이라고 할지라도 모든 사용자의 요구를 만족시키는 데 한계가 있다. 클라우드 컴퓨팅, 특히 SaaS(Software as a Service)는 클라우드에서 소프트웨어를 제공함으로서 빠르고 쉽게 정보를 공유해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를 반영할 수 있다는 점에서 큰 장점이 있다. 본 연구는 클라우드 네트워크를 통해 자율 트랙터의 전역 경로 계획 리소스 제공을 위한 프레임워크를 제안한다. 제안된 클라우드 기반 농작업 경로계획 프레임워크는 소프트웨어 제공자, 농기계 제공자 그리고 농기계 소비자로 구성되며 각 구성요소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됨으로 써 상호 간의 정보 교류가 이뤄짐으로써 높은 완성도를 갖춘 농기계 작업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먼저 소프트웨어 제공자는 자율농작업이 가능한 경로를 생성할 수 있어야 하며 경로 편집이 가능한 툴을 제공한다. 나아가 사용자가 편집한 경로가 적용 가능함을 실제 작업 전에 판단하기 위해 시뮬레이션 결과를 제공함으로써 활용성을 높인다. 농기계 제공자는 경로계획에 따라 자율작업 농기계의 동작 제어를 수행할 수 있어야 하며 하드웨어적 정보 제공 및 발전을 모색할 수 있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농기계 소비자는 자신의 경험을 통해 더 작업 경로를 제공된 소프트웨어를 통해 자신에 맞는 경로를 만들어 나아갈 수 있으며 다양한 정보를 받음으로써 더욱 나은 농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자율주행 트랙터 경운 및 정지작업에 나타나는 문제를 제안하는 프레임워크를 연구실 규모에서 구현함으로써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