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디지탈 시스템의 故障診斷에 관한 硏究

        李相孝,박상희,金在宇 연세대학교 산업기술연구소 1977 논문집 Vol.7 No.1

        This paper deals with an efficient algorithm for generating the complete test set of every fault in combinational logic circuit, and fault detection and diagnosis technique based on Boolean Difference and Partial Boolean Difference. This study is mainly concerned with nonredundant combinational logic circuits. The type of fault is either stuck-at-o or stuck-at-1, i.e. at the input of a gate or at the output of a gate. The combinational logic circuits show a fault when the describing conditions correspond with the combinational logic circuits, for detecting S-A-O, or S-A-1, the method of generating test patterns is proposed, and the detection of fault at the circuit is attempted.

      • SCIESCOPUSKCI등재
      • 실리콘 카바이드 쇼트키 다이오드에서 역방향 항복전압의 개선을 위한 구조 설계

        이용재,정희종 동의대학교 산업기술개발연구소 2006 産業技術硏究誌 Vol.20 No.-

        초고내압의 소자제작을 위해서 기존의 실리콘 재질 대신에 물질은 탄화규소(4H-SiC)이며, 기판은 에피층의 두께 12㎛, 농도 5×10^(15)cm^(-3)의 드리프트 층의 웨이퍼이다. 탄화규소( 4H-SiC) 기판에 접합 장벽 쇼트키 다이오드를 설계 제작하였다. 역방향 항복전압 특성을 개선시키기 위해서, 구조적으로 쇼트키 활성영역 내에 보호테의 폭 3㎛를 갖는 P^(+)형 영역을 설계하였으며, 공정은 이온주입 공정을 통해 알루미늄을 확산 형성하였다. 설계 및 제작한 소자의 온-상태 전압이 1.26V, 온-상태 저항은 45㏁/㎠이며, 개선된 역방향 항복전압은 1,260V의 최대값이며, 이 항복 전압의 역방향 누설전류 밀도는 2.26×10^(-5)A/㎠으로 비교적 낮은값으로 항복전압과 누설전류 밀도의 개선이 이루어졌다.

      • 정전분무를 이용한 MOCVD에 의해 증착된 TiO_2 박막의 특성 연구

        이영섭,박용균,이성재,조동율,천희곤 울산대학교 2002 공학연구논문집 Vol.33 No.1

        정전분무(electrostatic spray)를 이용한 MOCVD방법은 원료를 함유하는 용액을 이용함으로써 이송관의 가열이 필요 없이 장치를 간단하게 할 수 있고, 용액의 유량과 전기장의 세기에 따라 초미세 입자제어도 가능하며, 출발 용액으로부터 박막의 조성을 조절할 수 있는 등의 여러 가지 특징을 가지고 있다.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입자성장과 반응가스에 의한 표면의 밀도가 감소하여 표면조도가 증가하였다. 증착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막의 두께는 증가하지만, 증착시간이 지날수록 +전하를 띤 액적들은 이미 생성된 막의 영향으로 -가 인가된 기판으로의 전하이동을 방해받으므로 island성장과 모세관현상의 표면형상은 거칠고, porous해졌다. 인가전압이 증가할수록 분무시 액적의 사이즈가 작아지므로 막의 표면은 치밀해졌으며, 표면에는 완전분무하지 못한 모액적에 의해 생긴 입자의 수도 적은 경향을 보였다. 산소 분말이 증가할수록 Ti와 O의 세기는 증가하나, C의 세기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The electrostatic spray assisted MOCVD has the advantages of simple apparatus without the gas lines, easy control of nano-sized droplets by applied voltage and solution rates and easy control of compositions of thin films by controlling the composition of starting solution. At lower deposition temperatures the morphology of the layers are less porous and rough. With increasing deposition time and thus increasing layer thickness the morphologies of the layers are shift to porous top layer with dense bottom layer and then porous top layer with big sized grain of bottom layer as the result of low growth rates. XPS can be seen that Ti and O intensity increases but C intensity decreses with increasing O_2 flow rates.

      • 내독소로 유도되는 Nuclear Factor Kappa B 활성화에 미치는 Src Family Kinase의 조절기전

        김희재,이혜원,이희수,하종식,이지희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2003 EMJ (Ewha medical journal) Vol.26 No.2

        목적: Src family tyrosine kinases (TK)가 내독소로 인해 유도되는 NF-kB 활성화 신호전달체계에 연관되어 있음이 보고된 바 있다. 또한 내독소(LPS)나 TNF a와 같은 여러 자극제는 IkB-a 의 serine기 또는 tyrosine기의 인산화를 통하여 NF-kB를 활성화 시킨다고 알려진 바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RAW 264.7 대식세포에 내독소 투여 시 유도되는 NF-kB활성화 및 NF-kB 의존성 염증성인자 생성에 대한 Src TK의 역할에 대해 규명하고자 한다. 방법: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 에서 구입한 생쥐의 대식세포, RAW264.를 내독소(LPS)에 노출시킨 후 damnacanthal나 PP1을 처리하여, EMSA, Nitrite assay, Western blot을 통하여Src TK가 NF-kB활성과 염증인자의 생성에 있어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에 대하여 조사하였고 내독소 투여로 인한 NF-kB활성에 있어서 Src TK의 기본적인 작용기전에 대해 조사하였다. 결과: Damnacanthal이나 PP1은 Src TK 특이적 억제제로 알려져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Src TK의 특이적 억제제인 damnacanthal 이나 PP1을 사용하였고, RAW 264.7 대식세포에서 Src TK 특이 억제제의 전처치는 내독소로 유도되는 NF-kB활성을 차단시켰다. 또한 내독소 투여로 증가된 NO 생성은 damnacanthal이나 PP1에 의하여 억제되었다. 이런 TK kinase 억제제는 내독소로 유도되는 serine 기 인산화와 IkB-a 분해를 억제시켰다. 결론: Src kinase 특이적 억제제인 damnacanthal 그리고 PP1이 RAW 264.7세포에서 내독소로 유도되는 NF-kB활성과 Nitric Oxide 생성을 차단시켰다. 또한. Damna-canthal이나 PP1은 내독소로 유도된 serine기 인산화와 IkB-a의 분해를 억제시켰다. Objectives : Src family tyrosine kinases(TK) have been found to be involved in LPS induc-tion of signal cascades. Furthermore Lipopolysaccharide(LPS) or Tumor necrosis factor alpha (TNF-a) activate nuclear transcription factor kB(NF-kB) by inducing serine or tyrosine pho-sphorylation of the inhibitory subunit of NF-k B(I k B- a). In this study, it is our purpose to search the role of Src TK in LPS induced activation of NF-k B and NF-k B dependent induced inflam-matory factors. Methods : Nuclear extracts were prepared from RAW 264.7 cells pretreated with damnacan-thal or PP1 and then stimulate with LPS. After that, we figured out the dffects of inhibition of Src family kinases on LPS-induced activation of NF-kB by EMSA. We investigated effects of damnacanthal of PP1 on the production of NO by Griess assay and LPS-induced serine phos-phorylation and degradation of Ik B-a by Western blots in LPS-stimulated RAW263.7 cells. Results : Inhibition of Src TK with damnacanthal or PP1 blocked LPS-induced NF-kB acti-vation at the range of nanomolar concentrations. Substantial inhibition in LPS-induced production of NO was also observed in cells treated with damnacanthal or PP1. These kinase inhibitors blocked LPS-induced the serine phosphorylation, and the degradation of Ik B-a. Conclusion : we investigated the role of Src TK in NF-k B activation and production of nitric oxide (NO) in LPS stimulated RAW 264.7 macrophages and the underlying mechanism by which Src TK play a role in LPS-induction of the possible pathways leading to NF-k B activation. Src kinase specific inhibitors, damnacanthal and PP1 blocked LPS induced activating NF-k B and producing Nitric Oxide in Raw 264.7 machrophages. Moreover, Damnacanthal and PP1 inhibited LPS induced serine phosphorylation and degradation of Ik B-a.

      • 복 반사음 합성기에 관한 연구

        신재범,이상영,김재수,박성희,임준석 韓國海洋大學校 附設 海洋科學技術硏究所 1992 硏究論文集 Vol.1 No.1

        In the active sonar development, the reverberation is one of the major factors to be overcome like the clutter in the rader development. Unfortunately real reverberation data in various cases cannot be achieved so easily as real clutter data can be and there is a trend to build a simulator before a complex sonar system is developed. In the sonar simulator, the synthesized reverberation signal is necessary. In this paper we propose an algorithm to simulate the reverberation for the moving active sonar to use it in a simulator, and show some simulated results.

      •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Wet Oxide Gate and Nitride Oxide Gate for fabrication of NMOSFET

        Yi, Jae-Young,Lee, Young-Hui,Yi, Cheon-Hee 청주대학교 산업과학연구소 2005 産業科學硏究 Vol.23 No.1

        이 논문에서는 HP 4145 소자 테스터를 사용하여 핫 케리어 효과와 트래핑차지, SILC의 특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질화 산화막 게이트와 습식게이트 산화막을 가지고 0.26㎛ NMOSFET를 테스트하고 생성시켰다. 그 결과로 습식게이트 산화막소자보다 질화 산화막 게이트의 특성이 더 좋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특히 핫 케리어 라이트 타임이 (질화 산화막 게이트 소자는 30년이나 습식 게이트 산화막은 10년) 길고 Vg의 변화 및 항복전압이나 트래핑의 충전 등이 좋음을 알 수 있었다. In this paper we fabricated and tested the 0.26㎛ NMOSFET with wet gate oxide and nitride oxide gate to compare that the characteristics of hot carrier effect, charge to breakdown, transistor Id_Vg curve, charge trapping, and SILC(Stress Induced Leakage Current) using the HP4145 device tester. As a result we fin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nitride oxide gate device better than wet gate oxide device, especially hot carrier lifetime (nitride oxide gate device satisfied 30years, but the lifetime of wet gate oxide was only 0.1year), variation of Vg, charge to breakdown and charge trapping etc.

      • 개인화 서비스 프레임워크 : 사용 예

        김동희,이재오 한국기술교육대학교 2006 論文集 Vol.12 No.1

        현대인들은 타인들과 동일한 서비스 보다는 자신에게 맞추어진 서비스를 제공 받길 원하고 있다. 또한 변화하는 서비스에 개인의 습관이나 스타일을 변경하여 맞추기 보다는 서비스가 개인에게 맞춰 제공되기를 원하고 있다. 이러한 사용자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개인화 서비스 개념이 등장하였다. PDA, 셀룰러 폰, 노트북 컴퓨터 등 다양한 이동이 가능한 기기들이 컴퓨팅 환경의 구성 요소로 등장했으며, 그들의 인기는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이동 기기들은 사용할 수 있는 대역폭 및 디스플레이 능력에 있어 한계를 가지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OPES(Open Pluggable Edge Service) 프레임워크에 인증서버(Authentication Server), 권한부여 서버(Authorization Server), 정책 관리자(Policy Manager) 등을 추가함으로써 개인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컨텐츠 변환 프레임워크를 제안하는 동시에 간단한 구현을 통해 이동 기기에서의 개인화 서비스 제공의 예를 보여주고자 한다. 정책 관리자는 사용자 및 네트워크 자원정보를 근거로 룰을 생성하며, OPES 중개자는 사용자가 원하는 서비스 제공을 위해 서비스 응용 호출 시 룰을 이용함으로써 개인화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 Thermal MOCVD와 DC pulsed PA-MOCVD에 의해 증착된 TiN 박막 연구

        박용균,이영섭,이태수,이성재,조동율,천희곤 울산대학교 2001 공학연구논문집 Vol.32 No.1

        유기화합물(TDEAT;Ti[N(C2H5)2]4)과 NH3를 이용하여 thermal MOCVD와 dc pulsed plasma assisted MOCVD(PA-MOCVD)인 2종류의 TiN박막을 증착하여 비교하였다. TiN박막의 특성분석은 XRD, AES, FE-SEM, α-step과 XPS로 연구하였다. DC pulsed plasma assisted MOCVD로 증착된 Tin박막은 ion bombardment 효과에 의해 열적으로 증착된 것보다 더 fine한 columnar구조를 나타내므로써 막의 결정질이 향상되었다. 플라즈마에서의 아르곤 이온의 충돌로 인해 탄소(C)는 오히려 유기 화합물보다 탄소 라디칼로 존재하였다. 따라서 탄소 라디갈은 기판의 강한 (-) potential에 의해 TiN박막에 trap되기 때문에 탄소(C)는 열적으로 증착된 TiN박막보다 더 많은 양이 존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By using of (TDEAT;Ti[N(C2H5)2]4)and ammonia gas source, we deposited two different TiN thin films with thermal MOCVD and dc pulsed plasma assisted MOCVD (PA-MOCVB). The properties of TiN thin films were studied by XRD, AES, FE - SEM, α - step and XPS analyses in this work. The TiN films deposited by dc pulsed PA - MOCVD have a little higher density and a fine columnar structure, compared with thermally deposited TiN thin films. This may be due to ion bombardment effect resulting in improved crystallinity in films. Carbon in the film may exist in the form of carbonic radical rather than organic compound because of collision with Ar ion in the plasma. Consequently, the content of carbon in the film of dc pulsed PA - MOCVD was higher than that in thermally deposited TiN films, because carbon radicals could be trapped in the film by strong negative potential of the substrat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