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A Study on the Facilitators & Performance of Cooperative Activation between SMEs

        Goosang Jung,Tae-Sung Kim,Jae-Sun Lee 한국산업경영시스템학회 2014 한국산업경영시스템학회 학술대회 Vol.2014 No.춘계

        This study analyze the effects of cooperative activities between SME’s(Small and Medium Company’s). To research the empirical analysis, we divide type of cooperation into four dimensions such as technical cooperation, human resource cooperation, sales cooperation and finance cooperation. We examine the role of cooperation philosophy as precedence factor. In addition, this study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cooperation philosophy, cooperation activities and performance. The finding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result of path analysis between cooperation philosophy and cooperation activities is that cooperation philosophy have significant effect on technical cooperation, human resource cooperation, sales cooperation and finance cooperation. Second, the result of relationship between cooperation activities and performance, technical cooperation, human resource cooperation, sales cooperation have significant effects on cooperation performance. In particular, the effect of haman resource cooperation is relatively high because cooperation through personnel exchanges is effective in the short-term performance. In addition,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this study analyze the empirical test by using PSBP Model in terms of partnership. Until now, many researcher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big and small company, but we try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small business company. So, we can present a beneficial implications to explain importance of cooperation activities between SME’s. Second, there is the problem of technical information disclosure issue when SME’s business unit have a partnership. To overcome this problem, we use cooperation philosophy and it can be escape the negative views.

      • KCI등재

        미숙과 복분자 열매 추출물이 고콜레스테롤 식이를 섭취시킨 C57BL/6 Mice의 지질대사 개선 효과

        정명아(Myung-A Jung),조숙현(Sook-Hyun Cho),이선영(Sun young Lee),김지혜(Ji Hye Kim),오교녀(Kyonyeo Oh),김영숙(Young-Suk Kim),유구상(GooSang Yoo),이동욱(Dong-Wook Lee),김선오(Sunoh K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4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3 No.5

        미숙성 복분자 5% 주정 추출물의 지질대사 개선 효과를 구명하고자 본 연구에서는 고콜레스테롤혈증 모델에게 미숙성 복분자 5% 주정 추출물 50, 100, 300 mg/kg/day의 농도(uRC 50군, uRC 100군, uRC 300군)로 60일간 경구 투여하였다. 체중증가량은 HC군과 N군 간의 차이가 없었으며 uRC 투여에 의해서도 유의차는 없었다. 식이섭취량은 HC군에 비하여 uRC 100군, BO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식이효율은 각 군 간에 유의차는 없었다. 간 조직의 무게는 HC군이 N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uRC 100군, uRC 300군, BO군에서는 HC군에 비하여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그중 uRC 100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신장의 무게는 거의 유사하여 복분자 추출물 투여에 의한 변화는 없었다. 비장의 무게는 HC군은 N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uRC 50군, uRC 100군, uRC 300군에서는 감소한 경향을 보였으며 BO 투여군에서는 HC군에 비하여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총 콜레스테롤 함량은 N군에 비해 HC군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이러한 고콜레스테롤혈증을 유발시킨 C57BL/6 mice에 uRC 300군, BO군에서 총 콜레스테롤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HDL-cholesterol은 HC군이 N군에 비해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HC군에 비해 uRC 50군, uRC 100군, uRC 300군, BO군으로 증가한 경향을 보였으며 BO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LDLcholesterol은 NC군에 비해 HC군에서 유의한 증가를 나타내었다. 이에 비교하여 uRC 50군, uRC 100군, uRC 300군, BO군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유의차는 나타나지 않았다. GOT와 GPT 활성 모두 HC군이 N군에 비해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HC군에 비하여 uRC 100군, uRC 300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혈청의 동맥경화지수와 심혈관지수는 HC군이 N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uRC 100군, uRC 300군에서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미숙과 복분자 5% 주정 추출물은 고콜레스테롤 식이로 유발된 고콜레스테롤혈증 모델에서 지질대사 함량을 감소시킴으로써 혈중 지질대사의 개선 효과와 더불어 동맥경화의 예방과 치료에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그 외에 미숙과 복분자 추출물의 어떠한 생리활성 성분이 어떻게 작용을 하는지에 대해서는 추후 더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Hypercholesterolemia is the presence of high levels of cholesterol in the blood, and it is regarded as a risk factor for cardiovascular disease due to the effects of cholesterol.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unripe Rubus coreanus Miquel (uRC) extract on lipid metabolism in hypercholesterolemic mice fed a high cholesterol diet (HC). uRC 50 (unripe R. coreanus 5% ethanol extract 50 mg/kg/day), uRC 100 (unripe R. coreanus 5% ethanol extract 100 mg/kg/day), uRC 300 (unripe R. coreanus 5% ethanol extract 300 mg/kg/day), and BO (borage seed oil containing minimum of 20% γ-linolenic acid 30 mg/kg/day) were orally administered for 60 days after HC. Oral administration of uRC 50, uRC 100, uRC 300, and BO significantly reduced serum total-cholesterol, triglyceride, LDL-cholesterol, glutamic oxaloacetic transaminase, glutamic pyruvic transaminase, atherogenic index, and cardiac risk factor levels. Similarly, uRC treatment elevated serum HDL-cholesterol levels. These results suggest that unripe R. coreanus extract could be established as a functional food for the improvement of lipid metabol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