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구간중도절단자료에서 생존함수와 중간생존시간에 대한 추정

        윤은영,김충락,Yun, Eun-Young,Kim, Choong-Rak 한국통계학회 2010 응용통계연구 Vol.23 No.3

        구간중도절단은 중도절단의 가장 일반적인 개념으로 구간중도절단자료는 의학 및 역학분야의 연구에서 흔히 관찰된다. 본 연구에서는 구간중도절단의 상황에서 생존함수와 중간생존시간을 추정하는 방법으로 평균대치법과 자기일치법을 비교 연구하고, 실제 자료로 혈우병환자에서 선천성면역결핍바이러스 감염시점을 추정하였다. 또한 구간중도절단자료를 생성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시하였으며, 생성된 구간중도절단자료를 이용한 모의실험을 통하여 두 추정치에 대한 다양한 비교연구를 시행하였다. 구간중도절단자료에서 생존함수와 중간생존시간을 추정할 경우 중도절단율이 크지 않다면 평균대치법이 자기일치법보다 더 우수한 추정치로 판명되었다. Interval-censored observations are common in medical and epidemiologic studies; however, limited studies exist due to the complexity and special structure of interval-censoring. This paper introduces the imputation method and the self consistency method in the interval-censored data. We propose a new method of generating random numbers under an interval-censoring set-up. Through simulation studies we compare two methods under various simulation schemes in the sense of the mean squared error for estimating the median survival time and the mean integrated squared error for estimating the survival function. Under a moderate censoring percentage, the mean imputation method showed a better performance than the self-consistency method in estimating the median survival time and the survival function.

      • 그림책을 활용한 신체표현 활동이 유아의 창의적 신체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윤은영 ( Eun Young Yun ) 한국유아체육학회 2011 한국유아체육학회지 Vol.12 No.2

        본 연구는 그림책을 교수 학습매체로 활용하여 유아 발달 특성, 흥미, 주제를 고려한 신체표현에 적합한 활동을 개발함으로써 유아의 창의적 신체표현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분석하고, 신체표현력을 향상 시킬 수 있는 구체적이면서 실제적인 교육방법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에 소재한 H어린이집의 만 5세 유아 2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의 유아는 창의적 신체표현력에 대한 사전검사와 실험처치 후 동일한 방법의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실험집단의 그림책을 활용한 신제표현 활동은 1회에 30-40 문 정도, 총 10회에 걸쳐 5주 동안 실시되었으며 통제 집단은 이야기 나누기 활동 후 신체표현 활동을 시행하였다. 본 연구는 그림책을 활용한 신체 표현활동을 시행함에 따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 유아의 창의적 신체표현력의 차이를 나타내는지 알아보기 위해 t-검증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는 그림책을 통한 신체표현 활동이 창의적 신체표현력의 하위 요소 중 유아의 동작의 다양성, 동작의 방향성, 동작의 표현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작의 지속성, 동작의 흐름변화에서는 사전검사 보다 사후검사 평균이 높아졌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연구결과 그림책을 활용한 신체표현 활동은 창의적 신체표현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며 유아기에 다양한 생각이나 느낌을 표현하도록 도와주는 중요한 매체라고 본다. 유아교육현장에서 그림책을 활용하여 신체표현 활동을 계획한다면 유아의 창의적 신체표현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고 기대해본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how physical movement activities through nursery schools affect children`s creative physical expression. In order to prove the effects of the physical movement activity program, 20 young children aged 5 years who are attending H nursery school located in Gyeonggido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The subjects were randomly assigned to two groups: 10 children were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10 children were in the control group. In addition, physical expression abilities of the children in both groups, which was investigated through a preliminary inspection, were similar. Thus, it was assumed that the children in both groups were not different. Pre and post tests were performed and the collected data were coded for the statistical analyses. After the experiment, significant differences appeared on children`s creative expression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from the control group in ``action diversity`` and ``action direction``, and ``action expression``. The movement activities through picture books affected children`s creative physical movements. Therefore, the physical movement activities through picture books can be applied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 KCI등재

        원자층 증착법에 의한 Al₂O₃ 박막 형성에 따른 모스아이 구조 반사방지 필름의 기계적 물성에 미치는 영향

        윤은영(Eun Young Yun),이우재(Woo-Jae Lee),장경수(Kyung Su Jang),최현진(Hyun-Jin Choi),최우창(Woo-Chang Choi),권세훈(Se Hun Kwon) 한국표면공학회 2015 한국표면공학회지 Vol.48 No.2

        Al₂O₃ thin films were deposited on the moth eye anti-reflective nanostructured polycarbonate films by atomic layer deposition (ALD) techniques. Without ALD-Al₂O₃ thin films, moth eye anti-reflective nanostructured films had a high optical transmittance of 95.47% at a wavelength of 550 nm and a very poor hardness of 0.1381 GPa. With increasing the thickness of Al₂O₃ thin films from 5 to 25 nm, the transmittance of moth eye anti-reflective nanostructured films was gradually decreased from 94.94 to 93.12% . On the other hand, the hardness of the films was greatly increased from 0.3498 to 0.7806 GPa with increasing the thickness of Al₂O₃ thin films. This result shows that ALD thin films can be applied to improve mechanical properties with an adequate optical transmittance of the conventional moth eye anti-reflection nanostructure films.

      • KCI등재후보

        영아반 담임교사의 어려움에 관한 연구

        윤은영 ( Yun Eun Young ),이정수 ( Lee Jung Soo ) 한국영유아교육보육학회 2009 영유아교육.보육연구 Vol.2 No.1

        본 연구는 영아반 담임교사의 생활, 갈등, 보람, 어려움 등을 구체적으로 파악함으로써 앞으로 영아반을 맡게 될 교사들을 위한 하나의 자료로 도움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2주간 연구 설계 및 연구대상을 선정하였고, 8주 동안 교사와 면담을 20회 실시하였다. 영아반 담임교사와의 심층면접을 통해 얻은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교사들이 느끼는 어려움으로 첫째, 영아들이 엄마와 헤어져서 처음으로 어린이집에서의 적응. 둘째, 기본생활습관 지도. 셋째, 체계적인 수업전개. 넷째, 관찰일지 작성. 다섯째, 교사연수에 따른 시간과 기회부족. 여섯째, 영아반 담임교사에 대한 낮은 학부모의 인식. 일곱째, 교사마다 가지고 있는 자질이나 능력을 고려하지 않은 영아반 담임배정. 여덟째, 교사 대 영아비율이 높아서 영아의 개인별 요구에 맞추어 주기가 어렵다고 하였다. 따라서, 앞으로는 영아반 담임교사의 고충을 들어주고 해결하려는 사회적 관심이 요구되며, 소외된 영아반이 아니라 교육 중심으로써의 영아반이 되도록 교사의 어려움을 이해하며 해결하려는 모두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life, struggle, fruitfulness, and bothersomeness of teachers of infants and toddlers, and to present helpful data for those who would be the teachers. For doing this, research design and subjects were prepared for two weeks and interviews with the teachers were performed 20 times for eight weeks. The results of the study from the in-depth interviews with teachers of infants and toddlers are as follows. The bothersomeness felt by the teachers included; (1) Adaptation of infants and toddlers who are separated from their mothers and stay in nurseries, (2) Guidance on basic daily habits, (3) Systematic development of teaching, (4) Preparation of observation journals, (5) Insufficiency of time and opportunities according to teacher training, (6) Insufficient recognition of parents on teachers of infants and toddlers, (7) Assignment of the teachers without consideration of their qualifications or competence, and (8) Difficulties to accept individual demands of infants and toddlers due to the high proportion of infants and toddlers to the teachers. Therefore, further social interests on the bothersomeness of the teachers and its resolution are necessary, and it is needed to make efforts to understand and solve their bothersomeness in order to make education-centered classes for infants and toddlers, not the existing isolated classes.

      • KCI등재

        B형간염 간경변증 환자에서 발생한 간세포암종과 신경내분비암종의 혼합 종양 1예

        윤은영 ( Eun Young Yun ),김태효 ( Tae Hyo Kim ),이상수 ( Sang Soo Lee ),김홍준 ( Hong Jun Kim ),김현진 ( Hyun Jin Kim ),정운태 ( Woon Tae Jung ),이옥재 ( Ok Jae Lee ),송대현 ( Dae Hyun Song ) 대한소화기학회 2016 대한소화기학회지 Vol.68 No.2

        Primary hepatic neuroendocrine carcinoma (PHNEC) is rare and its origin is not clearly understood. The coexistence of PHNEC and hepaotcellular carcinoma has been reported in only a few cases. We report a rare case of combined PHNEC and hepatocellular carcinoma in a patient with liver cirrhosis caused by chronic hepatitis B that resulted in aggressive behavior and poor prognosis. (Korean J Gastroenterol 2016,68:109-113)

      • KCI등재
      • KCI등재

        인지적 가정환경과 유아 쓰기능력과의 관계

        윤은영 ( Eun Young Yun ) 대한아동복지학회 2007 아동복지연구 Vol.5 No.2

        본 연구는 인지적 가정환경의 과정 변인인 인지적 자극정도와 유아 쓰기능력과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유아의 쓰기능력 향상을 위한 인지적 가정환경 모색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연구 대상은 서울시와 경기도에 소재한 만 5세 유아 197명(남아 101명, 여아 96명)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인지적 가정환경의 전반적인 수준은 133점 중 전체 평균 90.77점으로 나타났다. 특히 ‘교육에 대한 관심과 장래에 대한 기대’가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교육 기대수준 및 열의와 직업에 대한 성취 기대, 장래성, 자녀교육을 위한 구체적이고 장기적인 계획 등에 대한 인식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인지적 가정환경의 전체적 수준에서는 연령, 직업 유?무에 따른 차이는 없었으나, 어머니의 학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배경변인별로 각각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어머니의 연령에 따라 ‘가정내 학습도구’면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학력에 따라 ‘일상생활 외 특별한 경우 제공되는 교육적 자료’, ‘교육에 대한 관심과 장래에 대한 기대’, ‘교육적 자료 및 학습경험’에 차이가 나타났으며, 직업 유?무에 따라서는 인지적 가정환경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쓰기능력을 하위척도별로 살펴보면 최하위 수준에서 상위수준에 이르기까지 분포되어있었다. 유아의 쓰기능력에 대한 성별 차이를 분석한 결과, 의미표현적 쓰기능력과 관습적 쓰기능력에서 여아가 남아보다 높은 수준에 있음이 나타났다. 하위척도별로 ‘글/내용의 복잡성과 통합성’, ‘구두법’, ‘띄어쓰기’, ‘유창성’, ‘상세성’에서 성별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인지적 가정환경과 유아의 쓰기능력과의 관계는 전체적으로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인지적 가정환경의 하위요인에서 ‘교육에 대한 관심과 장래에 대한 기대’와 의미표현적 쓰기능력간에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본 연구의 제안점과 후속연구를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서울, 경기도 일부 지역에 국한된 적은 수의 대상에서 얻은 결과이기 때문에 확대하여 해석하는데 무리가 따를 수 있을 것이다. 앞으로 후속연구에서는 지역의 확대와 연령의 다양화를 통하여 비교하거나 가정 내에서 유아의 쓰기능력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가 지속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home environment and young children`s writing ability, and to obtain the fundamental data to help young children improve their writing ability as a home educa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197 five-year old children and their mothers.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of the study: First, The average score of young children`s cognitive home environment is 90.77 (total score;133). The level of ‘The interest in the education and the expectation for the future’ is high. There are no differences according to mothers` ages or careers. But the level of cognitive home environment is high when mothers` education level is high. Second, Young children`s writing ability varies from the lowest to the highest level. The level of girls` writing ability is higher than that of boys` writing ability. Third, There are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cognitive home environment and the writing ability of young children. But there is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interest in education and the expectation for the future’ and writing ability of meaning expressions.

      • KCI등재

        자유선택활동에 대한 어린이집 교사의 인식 및 운영실태

        윤은영 ( Eun Young Yun ),이정수 ( Jung Soo Lee ) 대한아동복지학회 2008 아동복지연구 Vol.6 No.2

        본 연구는 자유선택활동에 대한 어린이집 교사의 인식 및 운영실태를 파악하고 조사함으로써, 향후 자유선택활동의 보다 효율적인 운영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둔다. 연구를 위해 어린이집 교사를 대상으로 24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여 교사의 인식 및 운영실태를 파악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유선택활동의 목적에 대해 교사는 ‘특정한 개념 소개’에 가장 긍정적인 인식을 보였다. 자유선택활동의 목적에 대한 전반적인 교사의 인식은 기관유형별, 경력, 연령별로 차이가 있었으나, 학력별로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유선택활동의 역할에 대해서는 ‘자료를 선택하도록 하며 활동을 지시’하는 것에 긍정적인 인식을 보였다. 자유선택활동의 역할에 대한 전반적인 교사의 인식을 살펴보면, 기관유형별, 학력별로 차이가 있었으나 경력과 연령별로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가 인식하는 문제점으로는 ‘다양한 문제 상황에서 적절한 지도방법을 모르는 경우’가 가장 많이 나타났다. 셋째, 교사의 자유선택활동에 대한 운영실태를 살펴보면 운영시간은 50~60분, 하루 2회 운영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자유선택활동의 계획 방법은‘교사 혼자서 계획’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고, 영역을 선택하는 방법은 ‘상징물을 걸고 놀이계획표에 표시’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또한 활동을 결정하는 방법에서는 ‘전체적으로 유아 스스로 선택하게 하는 경우’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가장 활발하게 운영되는 영역은 블럭 영역이며 활발한 이유는 유아들이 ‘영역자체를 선호하기 때문’이라고 인식하였다. 반면 자유선택활동에서 운영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 영역은 수?과학 영역이며 ‘영역자체를 유아가 싫어하기 때문’이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자유선택활동을 위한 환경구성 방법은 ‘단원, 계절, 학기에 따라 구성’하는 교사가 가장 많았고, 한 영역에 몰리는 경우 인원수를 제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유선택활동 후 대부분의 교사들은 평가를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and examine child care center teachers` awareness and management of free play activity, and to provide fundamental data for more effective future management of free play activity. For this study, 240 surveys were distributed to teachers in child care centers to explore their awareness and management of free play activ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most child care center teachers were positively aware of the purpose of free play activity as introducing specific concepts to children. There were differences in teachers` overall awareness of the purpose of free play activity by a type of center, teaching experiences, and ages, while there was no difference by teachers` educational background. Most teachers were positively aware of their role in free play activity as solving a problem through intervention in fights between children. There were differences in teachers` overall awareness of their role in free play activity by a type of center and educational background, while there was no difference by teaching experiences and ages. Second, most teachers were highly aware of a problem in free play activity as not knowing how to guide children properly in various problem situations. Third, schedule of free play activity for most child care center teachers was 50~60 minutes and twice a day. Most teachers make an arrangement of free play activity alone, and they don`t choose an area of free play activity in an established way. Most teachers allow children to choose the next activity for themselves in general. Teachers were aware that the most active area in free play activity is the black area because children prefer to the black area itself. On the other hand, teachers were aware that the most inactive area in free play activity is the number/science area because children dislike this area itself. Most teachers set up free play activity according to section, season, and term. And they limit the number of children when a certain area is crowded. After free play activity, most teachers evaluate the activity.

      • KCI등재
      • 무용/동작치료 프로그램이 유아의 정서적 자기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윤은영 ( Eun Young Yun ) 한국유아체육학회 2008 한국유아체육학회지 Vol.9 No.1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young children`s Dance/Movement therapy and the development of a program, and any effect on emotional self-control ability studies.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are 20 young children`s attending 4-year-old who are studying in K nursery school located in Seoul.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50 minutes Dance/Movement therapy program 3 times a week after school. The total number of Participation is 16. Dance/Movement therapy program consists of Marian Chace`s a Rhythmic group activity, Blanche Evan, Trudi Schoop`s educational approach, rhythm and repetition, Laban Movement Analysis (LMA). The goal of Dance/Movement therapy program, is to improve young children`s self-awareness ability, self-control skills, ability to awareness others, and other-control skills. The following are the research results of program effect. 1. Overall, Dance/Movement therapy program helps young children`s their emotional self-control ability. 2. In terms of self-awareness ability,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3. In the aspect of self-control skills,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4. In others-awareness ability and other-control skills, the two groups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