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소비자-브랜드 관계가 확장된 브랜드 평가에 미치는 영향

        박은아,김태형,성영신,강정석 한국소비자학회 2004 소비자학연구 Vol.15 No.4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브랜드 관계(BRQ)가 확장된 브랜드 평가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고, 또한 소비자-브랜드 관계의 강도에 따라 확장된 브랜드에 대한 평가시에 적정한 불일치성 효과(MIE)가 나타나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소비자-브랜드 관계 강도에 따라 확장된 브랜드에 대한 태도와 구매의도는 다른 것으로 나타났으며, BRQ의 여섯 개 하위차원 중에서 확장된 브랜드 평가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것은 관계의 질 차원과 사랑과 열정 차원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BRQ가 높은 집단에서 확장된 브랜드에 대한 적정한 불일치성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속성 유사성 효과도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 BRQ가 낮은 집단에서는 기존의 연구들과 마찬가지로 속성 유사성에 따라 확장된 브랜드에 대한 평가가 다른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확장된 브랜드에 대한 평가에는 기존 브랜드와의 BRQ가 중요하며, 관계가 강할 때에는 속성 유사성 정도에 관계없이 확장 브랜드에 대해 호의적인 평가가 일어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We examined how consumer-brand relationship affects the evaluation of extended brands. Specifically,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the sub-dimensions of consumer- brand relationship quality (BRQ) on the evaluation of extended brands and the existence of moderate incongruity effect (MIE) in high BRQ consumers. The results shows that the BRQ sub-dimensions have different effects to the attitude toward the extended brand and purchase intention to the extended brands. We tested MIE in high BRQ consumers, the result did not support of moderate incongruity effect in brand extension. It means that strong BRQ consumers evaluate positive to the extended brands regardless of the degrees of the product attribute similarities. For the weak BRQ consumers, the product attribute similarities with parent brands affect their attitudes and purchase intentions of extended brands in the same result of the previous study.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strong consumer-brand relationship is key important factor to the favorable evaluations to the brand extensions. Finally,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Pd 촉매 하에서 알릴 디올의 아릴화 연구 : 방향족 히드록시 케톤 및 페닐 치환된 알릴디올의 합성 Highly Selective Synthesis of Phenyl-Substituted Allylic Diols

        강석구,정경윤,박찬희,남궁은영,김태현 성균관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1995 論文集 Vol.46 No.2

        The coupling reaction of iodobenzene with allylic diols in the presence of Pd(OAc)_2 and nBu_3P as catalysts using K_2CO_3 as base afforded the phenyl-substituted allylic diols. However, under the same reaction conditions with Et3N as base, phenyl-substituted α-hydroxy ketone was obtained.

      • Vibrio vulnificus 박테리오 파아지의 특성

        오양효,윤소겸,공은진,김민정,김영부,박영민 대한감염학회 1995 감염 Vol.27 No.5

        목 적 : 이미 보고되어 있는 파아지들의 경우, 일반적인 형태, 숙주역과 몇 가지의 성질만 연구되어 있으므로 보다 상세한 특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해양으로부터 분리한 V. vulnificus를 숙주균으로 하여 투명한 용균반을 형성하는 파아지를 분리해 낸 다음, 분리된 V. vulnificus 파아지의 특징을 연구하고자하였다. 방 법 : V. vulnificus 를 숙주균으로 하여 해산물로부터, 숙주균에 특이적인 파아지를 분리하고, 농축 정제과정을 거쳐 파이지입자를 순수분리하였다. 파아지의 형태를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으며, 분리된 파아지의 숙주특이성을 조사하고, 파아지 입자의 물리적 특성을 검토하기 위해, 온도 안정성시험, pH 안정성 시험을 실시하였다. 파아지의 흡착율, 파아지의 흡착율에 미치는 무기염 이온의 영향, 온도의 영향과 pH의 영향을 관찰하였다. 파이지의 일단증식곡선을 구하였으며 토끼 면역과 교차 중화 시험, 파아지 핵산의 특성, 구조단백질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결 과 : 전자현미경관찰결과 본 연구에서 분리한 파아지는 두부와 미부를 가지는 형태로 미부에 꼬리판과 꼬리섬유를 가지고 있었다. 파아지의 물리적성질시험 결과 파아지는 50℃이하의 온도에서 안정하였으며 중성pH영역에서 안정하고 산성과 알칼리 영역에서는 활성을 잃었으며 자외선에는 35초 조사에 50% 정도 불활성화 되었다. 파아지는 약 65%의 흡착율을 나타내었으며 흡착에 ??, ??을 요구하였다. 파아지입자가 안정한 온도와 pH영역에서는 흡착에 영향을 받지 않았으며 일단증식시험 결과 108 PHU/ml의 파아지 입자를 생산하였다. 정제한 파아지를 항원으로 하여 토끼에 면역한 항혈청에 파아지가 중화되었으며 파아지 핵산은 이중나선 DNA였다. 파아지의 구조단백질은 SDS-PAGE polyacrylamide gel 전기영동 결과 2개의 밴드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Western blotting 결과 파아지의 전기영동 결과와 동일한 위치의 밴드에서 항원성을 나타내었다. 결 론 : 인체병원균으로 중요성이 인식되고 있는 V. vulnificus는 해산물의 위생과 국민건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세균으로 이에 대한 활발한 연구가 요구되는 실정이다. 파아지의 분리율은 숙주균의 분리율에 의존하므로 숙주균의 해수내 분포에 영향을 미친다고 추측되며, 파아지는 숙주균에 감염되어 숙주균을 용균시키므로 숙주균의 개체수를 조절하여 생태학적 측면에서 중요한 기능을 담당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Background : Vibrio vulnificus causes severe wound infection and life-threatening septicemia. In this study we present the characteristics of V. vulnificus bacteriophage and the basis of pathogenicity study of V. vulnificus related on bacteriophage. Methods : We isolated bacteriophage for V.vulnificus from marine products and examined its physiological and bi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the ultrastructure by electron microscopy (TEM,SEM). And also, we investigated host ranges, temperature stability, pH stability, inactivation by UV irradiation, DNA isolation and analysis and structural protein analysis of the bacteriophage. Results : The adsorption rate of bacteriophage was above 80% and had a little influence at 10-45℃ and pH5-10. Isolated bacteriophage was used to produce antiserum against rabbits and its antigenicity was investigated by cross-neutralization. Western blot analysis showed the capsid protein of bacteriophage had antigenicity. The bacteriophage had double-strand DNA. In restriction analysis, the phage DNA was digested HinfI. The structural protein of phage showed two bands of 34.7kDa and 18.4kDa on SDS-PAGE. Conclusion : The specificity of bacteriophage may be due to the specific binding site that be possessed by host strain surface. Therefore, it seems that virulent bacteriophage controls the number of host strain and then takes a role on natural marine environment.

      • SCOPUSKCI등재

        Case Report : A Case of Rapidly Progressive Glomerulonephritis in a Hepatitis B Virus Carrier Successfully Treated with High dose Immunosuppressive Therapy and Prophylactic Lamivudine

        ( Jung Eun Lee ),( Jung Myung Lee ),( Jung Tak Park ),( Kyu Hun Choi ),( Ho Yung Lee ),( Dae Suk Han ),( Hyeun Joo Jeong ),( Beom Seok Kim ) 대한신장학회 2008 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Vol.27 No.5

        A 35-year-old man, previously hepatitis B surface antigen (HBsAg) carrier, presented with gross hematuria and heavy proteinuria that he had been suffering from for 1 month. Serum creatinine was 4.4 mg/dL. Renal biopsy showed pauci-immune crescentic glomerulonephritis. He received plasmapheresis and was treated with high-dose steroids and cyclophosphamide. Lamivudine was started for the prevention of hepatitis B virus (HBV) activation. Serum creatinine and proteinuria were ameliorated one week after the treatment. There was no sign of HBV activation after six months of treatment. We report a case of rapidly progressive glomerulonephritis in a HBV carrier successfully treated with high dose immunosuppressive therapy and prophylactic lamivudine.

      • KCI등재

        한국과 미국의 영아와 유아의 과학교육과정의 내용 분석을 통한 교육적 시사점

        김은정 ( Eun Jung Kim ),유영의 ( Yung Eui Yoo ),신은수 ( Eun Soo Shin ) 미래유아교육학회 2015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2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과학교육의 내용표준에 근거한 0~만 2세 영아와 만 3~4/5세의 유아의 과학교육과정의 내용 영역 및 세부내용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한국과 미국 17개 주의 영아와 유아의 과학교육과정의 내용 영역 및 세부내용을 분석하고, 교육적 시사점을 제안하는 것이다. 연구결과를 제시하면 첫째, 0~만 2세 영아와 만 3~4/5세 유아의 과학교육과정의 영역 명칭과 내용 영역은 한국은 과학내용으로 동일한 구성을 유지한 반면에 미국은 동일하지 않게 구성한 주가 동일한 구성을 유지한 주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0~만 2세 영아의 과학교육과정의 내용 영역 및 세부내용에서 한국은 물리과학의 내용이 포함되지 않은 반면에 미국은 7개주에서 인지발달의 세부내용과 10개 주에서 과학적 사고와 탐구, 생명과학, 지구 및 우주과학, 생태학을 많이 포함하고 있었다. 셋째, 만 3~4/5세의 유아의 과학교육과정의 내용 영역 및 세부내용은 한국과 미국 17개 주 모두 과학내용으로 제시되어 있는데, 한국은 물리과학의 세부내용이 포함되지 않은 반면에 미국은 균형감을 이루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적 시사점을 제시하면, 첫째, 영아와 유아의 과학교육과정의 내용영역의 구성방식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둘째, 영아와 유아의 과학교육과정의 내용 영역의 구성방식은 과학교육의 내용표준에 기초하여 발달수준에 적절하게 개발되어야 한다. 셋째, 영아와 유아의 과학교육과정의 내용은 최근 UNESCO에서 강조하는 지속가능발전교육의 관점이 반영되는 생태학의 내용이 적절히 포함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materials for contents and details of science education curriculum for infants & toddler and young children for both infants aged 0∼2 and young children aged 3∼4/5 based on the content standards of science education in Korea and seventeen states of America. The results of this were as follows. First, the section titles and contents of the science contents for infants and toddlers aged from 0 to 2 years old and children from 3 to 4/5 years old represented same compositions. Second, the detailed contents of science for infants and toddler aged from 0 to 2 years old in Korea included no physics.; however, seven states in America included details in cognitive developments and ten states included scientific thinking, life science, earth science, space science, and ecology. Third, the contents and details in scienc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aged form 3 to 4/5 years old in both Korea and seventeen states of America represented scientific contents in which Korea showed no details in physics science but America showed a balance in this area. The educational message of this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necessary to fully investigate whether the composition of the contents of science education for infants and toddler aged from 0 to 2 years and children from 3 to 4/5 years old. Second, the composition of the contents of science education for infants and toddler aged from 0 to 2 years and children from 3 to 4/5 years old was to be properly developed based on the content standards of science education. Third, the contents of the science education for infants and toddler aged from 0 to 2 years and children from 3 to 4/5 years old properly included ecology that reflects the point of sustainable education stressed by UNESCO.

      • KCI등재

        Cancer in Patients on Chronic Dialysis in Korea

        Lee, Jung Eun,Han, Seung Hyeok,Cho, Byoung Chul,Park, Jung Tak,Yoo, Tae Hyun,Kim, Beom Seok,Park, Hyeong Cheon,Kang, Shin-Wook,Lee, Ho Yung,Han, Dae-Suk,Ha, Sung Kyu,Choi, Kyu Hun The Korean Academy of Medical Sciences 2009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 Vol.24 No.suppl

        <P>The study of cancer in patients treated with dialysis in Korea has not been reported.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cidence and mortality of cancer among patients on dialysis in Korea. The study subjects were 106 cancer patients (2.3%) out of 4,562 end-stage renal disease (ESRD) patients maintained on hemodialysis (HD) or peritoneal dialysis (PD) at Yonsei University Health System from 1996 to 2005. We excluded patients in whom the diagnosis of cancer preceded dialysis or those who received renal allograft or started dialysis after renal allograft. Seventy-three (69%) of our subjects were male and 33 (31%) were female. The mean age at the time of cancer diagnosis was 57.9±11.7 yr. The mean time from the start of dialysis to the diagnosis of cancer was 75.2±63.9 months. The most common cancer site was gastrointestinal tract (GIT) (51%) followed by urinary tract (20%), lung (8%), and thyroid (7%). Sixty nine percent of the total mortality was due to cancer. The mean time from diagnosis to death was 2.9±2.5 yr. In ESRD patients with canc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mortality rates by dialysis modality. In ESRD patients, the most common cancer was GIT cancer followed by urinary tract cancer. Therefore, careful surveillance of these cancers in ESRD patients is highly recommended.</P>

      • 이더넷 환경에서의 모니터링 방법

        정영은(Yung-eun Jung),김경일(Kyung-il Kim),신규상(Gyu-sang Shin) 한국정보과학회 1997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4 No.2Ⅲ

        수많은 컴퓨터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는 환경에서 이 컴퓨터들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원거리에 설치되어 있는 컴퓨터를 관리하고 감시할 수 있는 모니터링 시스템의 운용이 필수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가장 널리 쓰이고 있는 근거리통신망이 이더넷(Ethernet) 환경하에서 단말기들을 효율적으로 감시할 수 있는 모니터링 방법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시하고 있는 방법에 의하면 이더넷으로 연결된 클라이언트 · 서버 환경하의 이더넷으로 구성된 네트워크 상에서 단말기들을 효율적으로 감시하고 관리할 수 있으며, 각 단말기의 이용현황 등의 통계정보를 이용하여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 KCI등재

        미국의 조기학습기준의 분석을 통한 영아와 유아를 연계한 유아교육과정의 방향 모색

        김은정 ( Eun Jung Kim ),유영의 ( Yung Eui Yoo ),신은수 ( Eun Soo Shin ) 미래유아교육학회 2014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21 No.1

        본 연구는 2000년 이후 영유아기 공교육 체제로 전환하고, 유치원에 입학하기 이전의 0∼만 2세와 만 3~4/5세의 조기학습기준을 연계하여 국가교육정책을 실행하고 있는 미국의 조기학습기준의 분석을 통하여 한국의 영아와 유아를 연계한 유아교육과정의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미국의 조기학습기준은 0∼만 2세는 발달중심으로, 만 3∼4/5세는 교과중심의 특성이 있었다. 구체적으로, 0∼만 2세와 만 3∼4/5세의 조기학습기준은 첫째, 연령의 연계 혹은 분리에 관계없이 거의 모든 미국의 주에서 언어발달, 사회정서발달, 신체발달 영역을 포함하고 있었다. 둘째, 발달의 인지발달 영역과 교과의 하위 영역은 0∼만 2세 영아와 만 3∼4/5세 유아의 조기학습기준에서 분명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사회정서발달과 교과의 사회연구 영역은 0∼만 2세 영아 조기학습기준에서는 대부분의 주에서 사회정서발달을 포함하고 있었지만, 만 3∼4/5세, 0∼만 4/5세 연령이 연계되어 개발된 주의 조기학습기준에서는 대부분의 주에서 사회정서발달과 교과의 사회연구 영역 모두를 포함하고 있었다. 넷째, 0∼만 2세와 만 3∼4/5세의 조기학습기준 모두에서 학습에 대한 접근 영역이 공통적으로 포함되어 있었다. 연구결과를 통해 얻은 교육적 시사점을 통하여 첫째, 0∼만 2세와 만 3∼4/5세 유아교육과정 영역의 내용을 발달과 교과 형태로 적절히 구분하여 연계하는 방안의 필요성, 둘째, 학습에 대한 접근 영역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In this study, the America`s early learning standards before staring kindergarten education was analyzed to investigate a way of future-focused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America`s early learning standards solidifying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by turning it as a public education system since 2000 and was implementing the national education policy and developing the early learning standards for 0~only two years old and only three~four years old children. In the results, the America`s early learning standards for 0~only two years old represented development-centered and three~four children represented subject-centered characteristics. In particular, there were large changes in cognitive developments and subject contents including social emotional developments and social studies in the early learning standards for 0~only two years old and only three~four years old children. In addition, there existed a characteristic of including the approach to the early learning standards for 0~only two years old and only three~four years old children. The educational message obtained in this study showed a necessity of investigating a way of connecting the curriculum for each subject ages as developments and subjects based on proper identifications. Also, a necessity of approaches to learning was proposed.

      • KCI등재

        지속가능발전교육의 실천적 역량 증진 프로그램개발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 및 요구 조사

        김은정 ( Eun Jung Kim ),유영의 ( Yung Eui Yoo ),박은혜 ( Eun Hye Park ) 미래유아교육학회 2016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23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 교사의 지속가능발전교육의 실천적 역량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290명의 유치원 교사가 요구하는 지속가능발전교육의 실천적 역량 증진 프로그램의 필요성, 프로그램의 내용 및 운영방식을 조사하는 것이다. 연구결과를 제시하면 첫째, 지속가능발전교육의 실천적 역량 증진 프로그램의 필요성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은 대부분의 교사가 필요하다고 요구하였고, 학력에 따라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지만 기관유형에 따라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공립의 유치원 교사가 사립의 유치원 교사보다 더 필요하다고 인식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유치원 교사들은 지속가능발전교육의 실천적 역량 증진프로그램에서 다루어야 할 교사역량의 내용을 필요하다고 요구하고 있으며 학력이 높을수록 더 많이 요구하고 있었고 공립유치원 교사가 더 많이 필요하다고 요구하고 있었다. 셋째, 지속가능발전교육의 실천적 역량 증진 프로그램의 운영 방법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요구에 있어서는 대부분의 교사들이 참여할 의향이 있다고 하였으며, 교육 시기의 적절성에서는 학기 중 평일 오후 혹은 저녁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방학 중으로 나타났다. 교수방법에 대해서는 강의, 워크샵 순으로 나타났다. 선호하는 교육기간으로는 단기 집중교육의 경우는 2-3일이 가장 많았고 장기 지속교육의 경우는 4-5주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활동 구성 유형에 있어서는 이론과 실제가 균형있게 구성되기를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20명 이하의 집단에서 교육받는 것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survey kindergarten teachers’demands and cognition of the necessity of a program to enhance the competency of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nd the contents and operation of such a program and ultimately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developing a program to enhance kindergarten teachers’ practical competency of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For these purposes 290 kindergarten teachers were surveyed and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with regard to the necessity of a program to enhance the practical competency of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most of the kindergarten teachers recognized the necessity and it was not different according to the teachers’ education level but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institution type. That is, the necessity was recognized more highly by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than private ones. Second, with regard to the necessity of teachers’ competency as part of contents to be included in the program to enhance the practical competency of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the kindergarten teachers recognized the necessity and it was higher in those with a high education level and in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Third, with regard to how to operate the program to enhance the practical competency of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most of the kindergarten teachers were willing to participate in the program and the most preferred time of education was weekday afternoon or evening during a semester and the second most preferred one was during a vacation. Preferred teaching methods were lecture, workshop, and cyber lecture in order of preference. The most preferred length of education was 2∼3 days for a short.term intensive course and 4∼5 weeks for a long.term intensive course. With regard to the composition of education activities the teachers wanted balance between theory and practice and the preferred class size was not larger than 20.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