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수직하중이 작용하는 등단면 I-형 연속곡선보의 근사해석에 관한 연구

        장병순,류은열,백 빈 釜山大學校生産技術硏究所 1997 生産技術硏究所論文集 Vol.53 No.-

        곡선형교의 해석은 휨비틂 이론에 의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해석 절차나 설계가 상당히 복잡하고 어렵다. 현재 우리나라의 도로교 표준시방서에는 곡선형교의 반지름이 200m이상이고, 교각(交角) 30도 정도인 곡선박스 거더교에 대해서 곡선장을 지간으로 하는 직선교로 치환해서 해석해도 좋다고 명시해 놓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I형 단면을 가지는 연속 곡선보의 응력을 곡선장과 동일한 지간을 가지는 I형 연속 직선보의 응력으로 근사적으로 계산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등단면 I형 연속 곡선보의 해석시 재하 하중 및 곡률 변화에 따른 최대 휨모멘트, 최대 순수 비틂모멘트, 최대 ��비틂모멘트, 최대 바이모멘트의 크기를 유한차분법으로 구하고, 곡선장과 동일한 지간을 가지고 동일한 하중재하로 등단면 I형 연속 직선보의 최대 휨모멘트의 크기를 구한다. 곡선보와 직선보의 해석결과를 이용하여 곡선 반경 변화에 따른 곡선보와 직선보의 최대 휨모멘트의 비를 산정하였다. The general behavior of curved I-shaped girder including the warping effects can be presented as the series of differential equations developed by Vlasov. In this paper, the finite difference method based on these equations was used for the analysis of the stress resultants from the curved I-shaped girder, such as shear force, bending moment, pure torsion, warping torsion, and bimoment. Besides, the program computerized by this method was much available to calculate the values of these resultants and develop the influence lines for the continuous curved I-shaped girder with 3 spans which was subjected to an unit vertical load. Finally, the ratios related to the maximum bending moments which were obtained from the analysis for both the curved beam and the straight beam at the each point given were produced and the influence lines were evaluated as well. Therefore, the maximum bending moment ratios and the influence lines for bending moment can help to estimate the general behavior of the continuous I-shaped girder curved beam as well as to design this structure.

      • 삼출성 중이염 환자에서의 혈중 및 아데노이드 면역글로불린 E의 면역혈청학적 연구

        장혁순,강성호,유창수,김성현,이병돈,박영진,윤세동,안희영,강주원 순천향의학연구소 1997 Journal of Soonchunhyang Medical Science Vol.3 No.1

        Otitis media with effusion (OME) is one of the most common disease in children but its pathogenesis is not clear. In particular the role of allergy has revealed conflicting support with widely varing opinions as to its importance. Within recent years, striking biochemical and immunochemical analytic techniques have opened a new approach the study of otitis media with effusion. So we focused on distributions of IgE in adenoid tissue and serum IgE levels. Authors compared the serum IgE and the distribution of IgE in adenoid tissue between the 20 patients underwent tonsillectomy, adenoidectomy and ventilating tube insertion and control group of 11 patients underwent tonsillectomy and adenoidectom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In the distribution of IgE in adenoid tissue, there was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group of patients with OME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P<0.01). 2. In the analysis of serum IgE levels, the levels of IgE in the OME patients an control group were higher than normal level, although the level of IgE in the OME patients were less than that of control group, there was no significance P>0.05).

      • KCI등재

        성형조건에 따른 무연탄계 활성탄의 세공특성

        이송우,나영수,김도한,류동춘,최동훈,류병순,송승구 한국화학공학회 2002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HWAHAK KONGHA Vol.40 No.1

        본 연구는 무연탄으로 활성탄을 제조할 경우 성형이 세공특성에 미치는 효과를 고찰한 것이다. 3가지 다른 방법으로 활성탄(파쇄형 활성탄, 압축성형 활성탄, 압축성형 활성탄)을 제조하여 특성을 비교했다. 이중에서 25%의 콜타르와 7%의 물을 혼합하여 압출 성형한 활성탄이 비표면적, 세공부피, 그리고 경도에서 가장 좋은 물성을 나타내었다. 압축 및 압출 성형체의 표면은 무연탄 원탄과는 달리 무연탄 분말이 바인더와 혼합되어 있으므로 매우 거친 상태를 나타내었고, 활성화시 거칠게 형성되어 있는 입자사이로 활성화제인 수증기가 쉽게 침투하여 많은 세공을 형성시킴을 알 수 있었다. 이렇게 형성된 세공을 통해 수증기 활성화반응이 잘 일어나 직경 3,000-50,000Å 범위의 거대세공이 발달하였다. 파쇄형 활성탄에 비해 약 2배의 거대세공(macropore)부피를 가지고 있었으며 경도도 30%에서 95% 이상으로 상승되었다.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granulation process on pore characteristics in manufacturing anthracitebased activated carbons. The activated carbons were made by three different methods to compare characteristics: the crushed activated carbon, the compressed activated carbon, and the extruded activated carbon. Among these activated carbons, the extruded activated carbon using a binder that consists of 25% coal tar and 7% water showed the best characteristics in specific surface area, pore volume, and hardness. Since the compressed and the extruded substances had coarser surfaces than a raw material, steam could penetrate easily through particles and produce macropores especially in the diameter ranges of 3,000-50,000Å during activation process. The extruded activated carbon showed about twice more macropore volumes than the crushed activated carbon and the hardness was increased from 30% up to 95%.

      • KCI등재
      • KCI등재

        Protein Expression in Pig Species Longissimus dorsi Muscles among Different Breeds and Growth Stages

        Byung Uk Kim(김병욱),Sam Woong Kim(김삼웅),Yeon Hee Hong(홍연희),Mi Ae Jeong(정미애),Yeon Sun Ryu(류연선),Hwa Chun Park(박화춘),Jong Hyun Jung(정종현),Young Min Kwon(권영민),In Soon Choi(최인순),Sang Suk Lee(이상석),Chul Wook Kim( 한국생명과학회 2012 생명과학회지 Vol.22 No.6

        Landrace와 Berkshire의 longissimus dorsi muscle으로부터 단백질 발현양상의 차이를 보기 위하여 2-DE실험을 통하여 분석한 결과 Landrace 에서 특이적으로 발현 양이 증가한 단백질들은 serum albumin precursor, troponin T (TnT; slow skeletal muscle), myoglobin였다. Berkshire에서 특이적으로 발현 양이 증가한 단백질들은 heat shock 27 kDa protein 1, troponin T (fast skeletal muscle), muscle creatine kinase, phosphoglucomutase 1, triosephosphate isomerase (Tpi 1), adenylate kinase isoenzyme 1 (AK1)였다. Landrace의 longissimus dorsi muscle에서는 slow skeletal muscle과 연관된 단백질들이 발현된 반면에 Berkshire에서는 fast skeletal muscle, 물질대사경로, 에너지 생산과 관련된 단백질들이 발현되었다. Berkshire를 이용하여 성장단계별로 단백질 발현을 분석해 본 결과 growing Berkshire에서 발현이 증가한 단백질은 aldehyde dehydrogenase 1 family, member L1 (ALDHL1)와 muscle creatine kinase이고 finishing Berkshire에서 발현이 증가한 단백질은 heat shock 27 kDa protein 1, TnT (slow skeletal muscle), TnT (fast skeletal muscle), serum albumin precursor, PGM 1, AK 1, Tpi 1였다. 이 결과는 Finishing Berkshire의 등심에서는 growing Berkshire에 비교하여 골격근육, 에너지물질대사, 세포골격 등이 보다 활성화된 것으로 사료된다. When proteins extracted from longissimus dorsi muscles of Landrace and Berkshire at the finishing stage were compared by 2-DE, the Landrace demonstrated a quantitative increase in proteins related to slow skeletal muscle function, such as serum albumin precursor, troponin T (slow skeletal muscle; sTnT) and myoglobin. In contrast, the Berkshire exhibited comparatively elevated enzymes involved in metabolic pathways, fast skeletal muscle function, and energy production, such as heat shock 27-kDa protein (HSP27)-1, TnT (fast skeletal muscle; fTnT), muscle creatine kinase, phosphoglucomutase 1 (PGM1), triosephosphate isomerase (Tpi1) and adenylate kinase isoenzyme 1 (AK1). When compared to growing Berkshire, finishing Berkshire showed increased levels of aldehyde dehydrogenase 1 family, member L1 (ALDHL1), and muscle creatine kinase. In contrast, the growing Berkshire muscle had elevated levels of HSP27-1, sTnT, fTnT, serum albumin precursor, PGM1, AK1, and Tpi 1 as compared to the finishing Berkshire. The Landrace longissimus dorsi muscle may be composed of slower skeletal muscle, whereas Berkshire is composed of a faster skeletal muscle. The uniquely elevated quantities of proteins involved in skeletal muscle function, energy metabolism, and cytoskeleton function in the growing Berkshire indicate that these factors support growth and maintenance during the growing stage when compared with the finishing Berkshire.

      • KCI등재

        음의 해일고 가정하의 해수위 변화에 의한 발전소 흡입수조 유동변화 및 대책방안 검토

        정병순 ( Byung-soon Jung ),방경훈 ( Kyung-hoon Bang ),신문섭 ( Moon-seup Shin ),유병로 ( Byong-ro Ryu ),고장희 ( Jang-hee Ko ) 한국환경기술학회 2016 한국환경기술학회지 Vol.17 No.5

        최근 기후변화에 의한 슈퍼태풍 내습 확률의 증가 및 매년 2개 이상의 태풍이 한반도에 내습하고 있다. 태풍 내습 시 동반되는 폭풍해일(양의 해일고)에 대한 연구는 꾸준히 수행되고 있지만, 수위하강이 발생하는 음의 해일고에 대한 검토가 거의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수치실험과 기존 조위자료 분석을 통하여 음의 해일고 발생 여부를 파악하였다. 그리고 음의 해일고 발생 시 위험성이 큰 발전소를 대상으로 수리모형실험을 통하여 수위저하에 따른 흡입수조 유동현상을 파악하였다. 또한 유속불균형 해소 및 와류강도 저감대책으로 유로연장공법과 와류저감장치공법을 제안하였다. 실험결과 발전소 운영상의 문제를 일으킬 수 있는 dye core에 대하여 수중와류는 와류저감장치공법을 적용하였을 때 와류강도 저하가 크게 나타났고, 유로연장공법은 와류저감장치공법에 비하여 강도 저하 효과가 작았다. Recently, more than two typhoons hit of the Korea peninsula every year, and then the probability of occurrence of super typhoon is increasing. Researches on plus storm surge are being carried out constantly. But there are few researches on the minus surge for generating a water level lowering. In this study, the analysis of existing tidal data and numerical simulation been identified the occurrence of minus surges. Identified the intake basin flow according to the water level lowered by hydraulic model tests of the plant with the great risk in the event of a minus surges. In addition, extend of waterway and AVD been proposed for removal disproportionate to the flow velocity and vortex strength reduction. The test results with respect to the dye core that can cause problems in plant operation, sub-surface vortex showed a significant reduction in vortex strength when applying AVD, and method of extend of waterway was smaller than the effect of the vortex strength reduction in AVD.

      • KCI등재

        총담관 결석의 내시경적 제거술 후 내시경적 경비담관 배액술의 유용성

        김순선 ( Soon Sun Kim ),황재철 ( Jae Chul Hwang ),임선교 ( Sun Gyo Lim ),이다미 ( Da Mi Lee ),최재명 ( Jae Myoung Choi ),류경호 ( Kyoung Ho Ryu ),유병무 ( Byung Moo Yoo ),김진홍 ( Jin Hong Kim ) 대한췌담도학회 2012 대한췌담도학회지 Vol.17 No.1

        배경 및 목적: 총담관 결석의 내시경적 제거 후 일상적인 내시경적 경비담관 배액술 (ENBD)의 유용성은 논란이 있다. 이에 저자들은 총담관 결석의 내시경적 제거술을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ENBD를 시행한 군과 시행하지 않은 군의 임상 치료성적 및 담도염과 잔류 결석의 발생률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법: 2003년 3월부터 2008년 8월까지 총담관 결석 진단 하에 경구적 내시경적 담석 제거술을 받은 환자 중, 경피적 담관배액술 또는 경피적 담낭배액술을 먼저 시행한 환자, 간내 결석을 동반한 환자, 내시경적 역행성 담도배액술을 시행한 환자를 제외한 532명의 환자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총 532명(남자 282명, 평균나이 62.4세) 중 경구적 내시경적 담석 제거술에 의하여 담석이 완전 제거된 환자는 523명으로 98.3%의 성공률을 보였으며, 이들 523명의 초회 성공률은 96.9%였다. 적응증에 관계 없이 ENBD를 삽입한 군(ENBD-1군, n=28)과 삽입하지 않은 군(Non-ENBD-1군, n=504)을 비교하였을 때 담도염의 발생률(3.6% vs. 2.2%, P=0.48)과, 잔류 총담관 결석 발생률(3.6% vs. 0.6%, P=0.08)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총담관 결석의 내시경적 완전 제거 후 일상적인 ENBD삽입이 담도염 및 잔류 총담관 결석의 발생률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ENBD를 삽입한 군(ENBD-2군, n=9)과 삽입하지 않은 군(Non-ENBD-2군, n=500)을 비교하였을 때, 담도염발생률(0.0% vs. 2.2%, P=1.00)과 잔류 총담관 결석 발생률 (0.0% vs. 0.8%, P=1.00) 역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총담관 결석의 내시경적 제거술후 담도염 및 잔류 결석 발생률은 낮고, ENBD를 시행한 군과 시행하지 않은 군에서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총담관 결석의 내시경적 제거 후 ENBD의 일상적인 시행은 신중하여야 하며, 향후 이에 대한 전향적 연구가 필요하다. Background/Aims: We aimed to compare the clinical outcomes between endoscopic nasobiliary drainage (ENBD) group and non-ENBD group after endoscopic common bile duct (CBD) stone extraction. Methods: From March 2003 to August 2008, a total of 532 patients (282 men; mean age 62.4 years) underwent 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pancreatography (ERCP) for CBD stone extraction. Results: Among 532 patients, CBD stones were completely extracted in 523 patients (98.3%). Among 523 patients, CBD stone were completely extracted by 1st ERCP attempt in 507 patients (96.9%). ENBD-1 group comprised of 28 patients who received ENBD with any indication. ENBD-2 group comprised of 9 patients who received ENBD routinely after complete CBD stone removal.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occurrence of post ERCP cholangitis or residual CBD stone between ENBD-1 group (n=28) and Non-ENBD-1 group (n=504) (3.6% vs. 2.2%, 3.6% vs. 0.6%, P=0.48 and P =0.08, respectively), and between ENBD-2 group (n=9) and Non-ENBD-2 group (n=500) (0.0% vs. 2.2%, 0.0% vs. 0.8%, P =1.00 and P =1.00, respectively). Conclusions: Post ERCP cholangitis and residual CBD stone occurred rarely after CBD stone extraction. Therefore routine insertion of ENBD for biliary decompression after CBD stone extraction should be considered prudently.

      • 롤투롤 그라비어 오프셋 중첩인쇄에 의한 EL Lamp 전극인쇄

        최병오(Byung-Oh Choi),김동수(Dong-Soo Kim),조정대(Jeong-Dai Jo),임규진(Kyu-Jin Lim),류병순(Byung-Soon Ryu) 대한기계학회 2010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10 No.11

        A new gravure-offset printing unit is developed, and utilized to construct a R2R(Roll-to-Roll) gravure-offset press with 3 units in line. The rear electrodes of EL Lamp are printed on 125 ㎛ PET film by using the R2R mutilayer gravure-offset press. Electrode pattern is 600 ㎛ line width, Barrier line 200 ㎛, and the gap is 100 ㎛. One pattern pitch is 1000 ㎛. Printing results show that its registration accuracy is in the range of 10 ㎛, and thickness is around 6 ㎛ of 3-layer printing and 4 ㎛ of 2-layer printing. Using the printed electrodes, test samples of EL Lamp were fabricated and tested. Preliminary lighting tests were successful and satisfacto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