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국 이주 한인노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김범중(Kim Bum-jung),이홍직(Lee Hong-jik) 경기연구원 2011 GRI 연구논총 Vol.13 No.1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factors that affected quality of life among elderly Korean immigrants in Los Angeles County. In particular, it aimed to explore how the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and social capital of the elderly Korean immigrants affected their quality of lif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05 elderly Korean immigrants who were living in Los Angeles County at the time of the study. Quality of life was measured using an 8-item questionnaire and the social capital was measured by norm, trust, partnership in community, information sharing, and participation in community. Also, personal, familial, and human capital traits were introduced as socioeconomic features of each of the respondents. This study conducted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e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to explore the determinants of quality of life for the elderly.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us that various socioeconomic and social capital attributes, including subjective health condition, employment status, income, subjective economic status, trust, and partnership in community,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redictors of quality of life for elderly Korean immigrants in the full model. Elderly who were employed, had higher income, who felt healthier and wealthier, and who experienced more trust and partnership in their communities enjoyed higher quality of life than their counterparts.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it also delivered some policy and practice implications that more policy and program considerations should be made for elderly Korean immigrants to strengthen their social capital as well as human capital in order to improve their quality of life.

      • KCI등재후보

        미국 이주 한인노인의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탐색

        김범중(Bum Jung Kim),이홍직(Hongjik Lee) 대한스트레스학회 2010 스트레스硏究 Vol.18 No.4

        본 연구는 미국 이주 한인노인의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개인특성, 가족특성, 인적자본 특성 등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규범, 신뢰, 집단 내 협력, 정보공유, 지역사회참여 요인 등의 사회자본 특성을 통해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교회 및 성당을 비롯한 종교시설, 노인회, 그리고 양로보건센터 등 Los Angeles County에 소재한 시설을 거점으로 60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수거된 205명분의 설문 자료를 기초로 빈도분석, 기술통계, 평균비교, 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있어서는 연령, 주관적인 건강상태, 주관적인 경제상태 등이 미국 이주 한인노인의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자본 특성에 있어서는 규범, 지역 사회 내 협력, 정보공유, 지역사회 참여 수준 등 네 가지 변수가 미국 이주 한인노인의 정신건강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제시되었다. 그러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사회자본 특성을 동시에 고려한 회귀분석에 있어서는 연령, 주관적인 건강상태, 규범, 지역 사회 내 협력, 정보공유만이 여전히 미국 이주 한인노인의 정신건강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미국 이주 한인노인의 정신건강 향상을 위한 사회자본 확충 방안에 대해 논의를 진행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factors that affect the Korean American elderly"s mental health. Especially, it attempted to explore how the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and social capital of the elderly affect their mental health. Data on the 205 elderly who were at the age of 60 or over and lived in the Los Angeles County were analyzed for this purpose. The level of mental health was measured by the GDSSF-K (Generic Depression Scale Short Form-Korea Version) and personal, familial, and human capital traits were measured as socioeconomic natures of the respondents. Also, the social capital was measured by norm, trust, partnership in community, information sharing, and participation in community. This study conducted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e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to explore the determinants of mental health of the Korean American elderly. Although the level of mental health for the elderly was varied significantly according to their diverse socioeconomic as well as social capital natures, only age, subjective health status, norm, partnership in community, and information sharing participation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redictors to the level of mental health in the total model. Policy and program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were delivered to help the Korean American elderly increase their social capital and finally enhance their level of mental health. (Korean J Str Res 2010;18:315∼325)

      • KCI등재

        노인일자리사업 참여여부에 따른 노인 인지기능 정도에 관한 연구

        김범중(Kim Bum Jung),고성현(Ko Sung Hyun)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2021 한국지역사회복지학 Vol.- No.77

        본 연구는 노인일자리사업 참여노인과 비참여노인 간의 인지기능 수준 차이를 살펴보고, 노인일자리사업 참여와 노인의 인지기능 간의 연관 관계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2017년 6월 12일부터 8월 28일 기간 동안 조사된 노인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조사대상은 만 65세 이상의 노인으로 전국 17개 시ㆍ도의 지역적 특성을 고려하여 층화 2단 집락추출 표집으로 조사되었다. 65세 이상 노인 10,058명을 대상으로 성향점수매칭을 실시한 결과, 최종 분석에는 총 1,598명이 선정되었다. 이후, t-test 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일자리사업에 참여하는 노인은 노인일자리사업에 참여하지 않는 노인보다 통계적으로 높은 수준의 인지기능을 가질 가능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인일자리사업 참여가 노인 인지기능과 정의 상관관계를 맺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노인일자리사업 정책이 활성화 및 다양화될 필요가 있음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the level of cognitive function between older adults participating in senior employment program and non-participating older adults, and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rticipation in the senior employment program and the cognitive function among older adults. To this end, the Propensity Score Matching was conducted on 10,058 older adults aged 65 and overusing the data from the 2017 survey on older adults. As a result, a total of 1,598 (799 older adults participating in the senior employment program, 799 non-participating older adults) were selected. Subsequently, T-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Primary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found that the older adults who participated in the senior employment program had a statistically higher level of cognitive function than the older adults who did not participate in the senior employment program. Second, the study found that participation in the senior employment program ha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cognitive function of the older adult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suggested that the senior employment policy needs to be activated and diversified.

      • 한국 중고령자의 은퇴와 건강 관계에 관한 연구

        김범중(Kim, Bum Jung),고성현(Ko, Sung Hyun) 중앙사회복지연구회 2020 사회와 복지 Vol.2 No.1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retirement and health among Korean middle-aged and older adults. To this end, the propensity score matching was conducted on 10,254 people and overusing the data from the 2014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ing. Afterward, Ordinary Least Squares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he matching group is the retirement status and pre-retirement job, respectively. In the regression model,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retirement and health in the state of controlling the covariate, the relationship was different depending on the type of retirement. Retirement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a higher number of chronic diseases, higher depression, lower cognitive level, and higher social participation than non-retired persons. Also, special-job workers retirement showed a higher cognitive level, and higher social activity and statistical significance than general retirees.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the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retirement and health by examining the retirement types among Korean middle-aged and older adults. In addition, by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tirees of special-job workers who retire in a relatively stable state and the retirees of general workers who are relatively unstable, the need to strengthen the public pension and establish a multi-class retirement income guarantee system was to be emphasized. 본 연구의 목적은 중·고령자의 은퇴와 건강의 관계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고령화연구패널조사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은퇴와 건강 간의 연관관계를 검증하기 위하여 성향점수매칭을 통하여 자료를 매칭한 후,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은퇴와 건강의 관계를 검증한 결과, 은퇴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은 은퇴의 유형에 따라 상이하게 나타났다. 은퇴자는 비은퇴자에 비해서 많은 만성질환 수, 높은 우울, 낮은 인지수준, 높은 사회참여와 유의한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특수직 은퇴자는 일반직 은퇴자에 비해서 높은 인지적 수준, 높은 사회활동 수준과 통계적 유의성을 보였다. 본 연구는 은퇴가 중고령자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특수직 은퇴자와 일반직 은퇴자와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공적연금의 강화와 다층노후소득보장체계 구축의 필요성을 강조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요양보호사의 고용특성과 시설장에 대한 변혁적 리더십 인식이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혜지(Hye Ji Kim),박상희(Sang Hee Park),김범중(Bum Jung Kim) 한국노년학회 2021 한국노년학 Vol.41 No.2

        본 연구는 요양보호사의 고용특성과 시설장에 대한 변혁적 리더십 인식이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을 위계적 선형모형 (Hierarchical linear model)을 통해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시에 위치한 45개의 노인 장기요양시설에 거주하는 노인 240명과 장기요양서비스를 제공하는 요양보호사 200명을 대상으로 설문자료를 수집하고, SPSS 26.0과 HLM 8.0을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시설장에 대한 변혁적 리더십 인식은 서비스 질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요양보호사의 고용특성 중 고용형태와 근무시간은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요양보호사가 정규직인 경우, 근무시간이 적을수록, 요양보호사들이 인식하는 시설장의 변혁적 리더십이 높을수록 서비스 질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임금, 총경력, 근속기간은 서비스 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첫 번째, 요양보호사의 시급제 비정규직의 지위를 월급제 정규직화하기 위한 인센티브제 활용 및 급여체계 개편과 관련예산 확보, 나아가 전문성 강화를 바탕으로 근본적인 직업적 가치 인정을 통한 고용안정 강화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장기요양의 공공성 강화 및 거점 공공장기요양시설 설립을 통한 지향 모델 제시 또한 방안으로 제시될 수 있을 것이다. 두 번째, 근로기준법상 요양보호사의 근로시간, 휴게시간, 연차사용 등을 준수하는 등 적정 근로시간 유지 및 야간 근무자에 대한 수당 강화와 근무시간 감소 노력이 필요하다. 세 번째, 시설장의 변혁적 리더십 고취를 위한 교육과 개입이 필요하며, 시설장의 자격 기준을 강화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요양보호사의 고용안정 및 근무시간에 대한 정책적 지원과 시설장의 변혁적 리더십 증진을 위한 정책적 지원은 정책 입안자들뿐만 아니라 현장의 종사자들이 서비스 질 제고를 위한 방안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중요한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care workers employment characteristics and perception of facility directo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n quality of service through a hierarchical linear model. For this aim, survey data were collected amongst 240 lder adults and 200 care workers who are affiliated within 45 long-term care facilities in Seoul, and analyzed using SPSS 26.0 and HLM 8.0. As a result, one’s perception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had a positive effect, whereas, among employment characteristics, employment type and working hours had negative effects on quality of service. Regular workers with fewer working hours and higher awareness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oward the director provided higher quality of service. But wage, total experience and tenure didn t meaningfully affect it. Therefore, the following suggestions were presented. First, it is necessary to reorganize incentive, salary systems and budgets, changing the status of temporary workers hourly wage system into that of regular workers’ monthly one in order to strengthen employment security with acknowledging fundamental professional values through reinforcement of expertise. Reinforcement of long-term care’s publicness and establishment of base facilities are also suggested. Second, maintaining appropriate hours of work and rest including annual leave under the Labor Standards Act is needed. Also, increasing the salary of and decreasing working hours for night shift workers are required. Third, education and intervention for inspiring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directors and strengthening qualification standards of them are required.

      • KCI등재
      • KCI등재

        Design of Dance Game Using Wearable Device for Older Adults

        길태숙(Taesuk Kihl),김범중(Bum Jung Kim) 한국컴퓨터게임학회 2019 한국컴퓨터게임학회논문지 Vol.32 No.2

        우리나라는 초고령 사회(super-aged society)를 향해 가고 있으며, 이러한 압축적 고령화(compressed aging) 현상은 여러 가지 다양하고 복잡한 노인문제를 야기할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고령화 시대 노인의 건강 증진과 삶의 질 향상을 목표로 노인 대상 댄스 게임 콘텐츠를 제안한다. 노인 대상 댄스게임을 디자인하기 위해 기존의 운동을 통한 노인 건강 유지 및 활동 개선에 대한 연구, 노인 대상 신체 운동 게임에 대한 연구 성과와 현재 서비스하고 있는 댄스게임을 살펴보았다. 운동은 정신적, 신체적, 사회적으로 건강하고 독립적인 삶의 질을 확보하기 위해 필요한 행동이다. 노화과정에서 나타나는 신체적, 인지적, 정신적 변화를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댄스의 강도, 빈도, 시간 등을 고려하여 운동 프로그램을 제안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손목에 착용할 수 있는 Gear S3와 같은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활용하여 헬스앱과 연동하여 노인이 심박수를 체크하면서 안전하고 즐겁게 운동을 할 수 있는 노인대상 댄스게임을 디자인하고 이를 제안하였다. 제안하는 댄스게임은 운동, 음악, 게임성이 합쳐진 콘텐츠로써 안전하고 지속적으로 노인들이 운동할 수 있도록 유인할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South Korea is heading for a super-aged society, and this phenomenon of compressed aging will lead to a variety of complex and problems for older adults. In this paper, we propose dancing game content targeting older adults to improve their health and quality of life in the era of aging society. In order to design dance game for older adults, we examined the previous studies focusing on health maintenance and activity improvement through the existing exercise. Also, the study investigated the previous research findings about the physical exercise game for older adults, and the dance game currently being served. Exercise is a necessary action to ensure a healthy and independent quality of life for mental, physical and societal reasons. It is important to examine the physical, cognitive, and mental changes in the aging process and propose an exercise program based on the intensity, frequency, and time of the dance. In this study, we designed a dancing game for older adults who can exercise safely and happily while checking the heart rate using a wearable device such as Gear S3 which can be worn on the wrist. The proposed dance game is a combination of exercise, music, and gaming so that the study expect that it will attract and encourage older adults to exercise safely and consistently.

      • KCI등재

        Design of Dance Game Using Wearable Device for Older Adults

        Taesuk Kihl(길태숙),Bum Jung Kim(김범중) 한국컴퓨터게임학회 2019 한국컴퓨터게임학회논문지 Vol.32 No.1

        우리나라는 초고령 사회(super-aged society)를 향해 가고 있으며, 이러한 압축적 고령화(compressed aging) 현상은 여러 가지 다양하고 복잡한 노인문제를 야기할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고령화 시대 노인의 건강 증진과 삶의 질 향상을 목표로 노인 대상 댄스 게임 콘텐츠를 제안한다. 노인 대상 댄스게임을 디자인하기 위해 기존의 운동을 통한 노인 건강 유지 및 활동 개선에 대한 연구, 노인 대상 신체 운동 게임에 대한 연구 성과 와 현재 서비스하고 있는 댄스게임을 살펴보았다. 운동은 정신적, 신체적, 사회적으로 건강하고 독립적인 삶의 질을 확보하기 위해 필요한 행동이다. 노화과정에서 나타나는 신체적, 인지적, 정신적 변화를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댄스의 강도, 빈도, 시간 등을 고려하여 운동 프로그램을 제안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손목에 착용할 수 있는 Gear S3와 같은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활용하여 헬스앱과 연동하여 노인이 심박수를 체크하면서 안전하고 즐겁게 운동을 할 수 있는 노인대상 댄스게임을 디자인하고 이를 제안하였다. 제안하는 댄스게임은 운동, 음악, 게임성이 합쳐진 콘텐츠로써 안전하고 지속적으로 노인들이 운동할 수 있도록 유인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South Korea is heading for a super-aged society, and this phenomenon of compressed aging will lead to a variety of complex and problems for older adults. In this paper, we propose dancing game content targeting older adults to improve their health and quality of life in the era of aging society. In order to design dance game for older adults, we examined the previous studies focusing on health maintenance and activity improvement through the existing exercise. Also, the study investigated the previous research findings about the physical exercise game for older adults, and the dance game currently being served. Exercise is a necessary action to ensure a healthy and independent quality of life for mental, physical and societal reasons. It is important to examine the physical, cognitive, and mental changes in the aging process and propose an exercise program based on the intensity, frequency, and time of the dance. In this study, we designed a dancing game for older adults who can exercise safely and happily while checking the heart rate using a wearable device such as Gear S3 which can be worn on the wrist. The proposed dance game is a combination of exercise, music, and gaming so that the study expect that it will attract and encourage older adults to exercise safely and consistently.

      • KCI등재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수행인력의 직무소진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지지와 자기효능감의 순차적 매개효과

        윤열(Yoon, Yeol),이승태(Lee, Seung tae),김범중(Kim, Bum Jung) 한국사례관리학회 2021 사례관리연구 Vol.1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수행인력의 직무소진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사회적지지와 자기효능감의 순차적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경기도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수행기관에서 근무하고 있는 수행인력 24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여 Hayes(2013)가 개발한 SPSS PROCESS MACRO Model 6를 활용한 순차적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수행인력의 직무소진이 높아질수록 직무만족도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수행인력의 직무소진과 직무만족도의 관계에서 사회적지지의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셋째, 수행인력의 직무소진과 직무만족도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은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수행인력의 직무소진과 직무만족도의 관계에서 사회적지지와 자기효능감은 순차적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즉, 직무소진이 높을수록 사회적지지는 낮아지고, 낮아진 사회적지지는 자기효능감을 낮추어 최종적으로 직무만족도가 낮아지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끝으로 본 연구결과에 기반한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수행인력의 직무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실천적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and self-efficacy on the effect of job burnout of personnel performing customized care services for the elderly on job satisfaction.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244 performers working at a customized care service implementation agency in Gyeonggi-do, and sequential mediating effect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SPSS PROCESS MACRO Model 6 developed by Hayes (2013).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it was found that job satisfaction decreased as burnout of personnel performing customized care services for the elderly increased. Second, it was found that social support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burnout and job satisfaction of performing personnel. Third, it was found that self-efficacy did not show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burnout and job satisfaction of performing personnel. Fourth, it was found that social support and self-efficacy showed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burnout and job satisfaction of performing personnel. In other words, it was verified that the higher the burnout, the lower the social support, and the lower the social support, the lower the self-efficacy, and finally the job satisfaction. Finall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practical policy implications to increase job satisfaction of personnel performing customized care services for the elderly were presen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