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성별과 보행 속도에 따른 하지 관절의 기여도 분석

        김로빈 ( Ro Bin Kim ),조준행 ( Joon Haeng Cho ) 한국운동역학회 2013 한국운동역학회지 Vol.23 No.2

        본 연구는 일반 걷기(1.34 m/s)와 빠른 걷기(1.70 m/s)시 남녀 간 하지 관절의 운동역학적 차이와 보행 패턴 및 운동역학적 변화를 분석하고자 설계 되었다. 보행은 각 관절의 굴곡과 신전 동작을 통해 두 발을 앞뒤로 교차시키며 앞쪽으로 밀고 나감으로써 전진하게 되는 동작이다(Coutts, 1999). 본 연구에서는 보행 시 남녀 간 하지 관절의 움직임과 보행 패턴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각 관절의 가동범위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각 두 속도 모두에서 남녀 간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속도의 증가와 함께 발목과 엉덩 관절의 가동범위가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Cho와 Kim (2012)은 보행 속도의 증가와 함께 발목과 엉덩 관절의 가동범위는 증가하지만 무릎 관절에서는 감소한다고 보고하였고 본 연구에서도 남성의 경우에는 발목과 엉덩 관절의 가동범위가 증가하고 무릎에서는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나 선행연구와 유사한 결과가 나타났다. 반면 여성의 경우에는 엉덩 관절만이 유의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전체적인 패턴에서는 남녀 간 통계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보행 중 인체는 지면으로부터 발생하는 충격(Sutherland, Olsen, Cooper, & Woo, 1980)을 흡수하기 위해 신장성 수축을 통한 굴곡 동작을 실시하며, 추진을 위해서는 단축성 수축을 실시하게 된다(Kulas et al., 2008; McNitt- Gray, 1993). 본 연구의 결과 충격을 흡수하고 추진력을 얻기 위한 움직임의 가동범위에서는 남녀 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하지만 움직임이 비슷하다고 해서 인체 내부의 기전이 같다고 할 수 없으므로, 운동역학적인 분석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보행 시 관절 내 운동 역학적인 변화를 알아보기 위한 방법으로 각 관절의 신장성 일량 및 단축성 일량을 살펴보았다. 먼저 신장성 일량의 크기를 살펴본 결과 남녀 간 큰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남녀 모두 발목 관절의 일량은 감소한 반면 무릎 관절의 일량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속도의 증가할 경우 무릎 관절이 많이 사용되고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Teixeira-Salmela, Nadeau, Milot, Gravel과 Requiao (2008)의 결과와 유사하였다. 무릎 관절의 역할에 대해 Torry, Wyland, Sterett, & Richard Steadman (2003)과 Zhang 등 (2000)은 착지 시 충격을 흡수하기 위해서는 무릎 관절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고 하였으며, 보행을 분석한 본 연구에서도 속도의 증가와 함께 충격이 커지므로 무릎 관절의 역할이 증가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각 관절의 사용 비중에 대해 Teixeira-Salmela 등 (2008)은 0.67 m/s의 속도에서는 발목과 무릎의 비중이 각각 47.6%와 24.9%였으나 약 2배가 빠른 1.42 m/s의 속도에서는 각각 25.1%와 45.4%로써 속도의 증가와 함께 발목과 무릎 관절의 비중이 역전된다고 하였다. 본 연구에서도 각 관절의 일량을 모두 합한 후 각 관절의 일량으로 나누어 백분화시킴으로써(Decker, Torry, Wyland, Sterett, & Richard Steadman, 2003),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각 관절의 역할과 비중을 살펴보았으며, 이를 통해 각 관절의 기여도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 결과 모든 관절에서 남녀 간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남녀 모두 속도의 증가와 함께 발목 관절의 비중은 감소한 반면 무릎 관절의 비중은 증가하여 Teixeira-Salmela 등 (2008)의 결과와 유사하였다. 역전현상은 특히 여성에게서 뚜렷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그 이유는 발목 관절의 비중이 남성은 약 27% 감소한데 반해 여성은 40%나 감소하였기 때문이며, 이로 인해 여성에게서 보상작용이 더 크게 나타난 것이라 생각된다. 운동학적 패턴에서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신장성 일량과 비중을 통해 알 수 있었던 남녀 간 충격 흡수 기전 및 전략적 차이는 다음과 같다. 먼저 남성의 경우 일반 속도에서는 엉덩 관절의 비중이 가장 높았던 반면, 여성은 발목 관절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나 보행시 남녀 간 충격 흡수 기전 및 전략적 차이가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충격 흡수를 위한 가장 비중 있는 관절로써 남성은 일반 속도(엉덩, 발목, 무릎 순)와 빠른 속도(엉덩, 무릎, 발목 순)로 모두 엉덩 관절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였으나, 여성은 일반 속도(발목, 엉덩, 무릎 순)에서는 발목 관절이었던 반면 빠른 속도(무릎, 엉덩, 발목순)에서는 무릎 관절로 변화가 나타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Figure 3). 즉, 남성은 충격흡수를 위한 역할과 변화가 근위부에서는 잘 나타나지 않지만, 여성은 원위부에서 잘 나타남으로써, 남녀 간 차이가 있음을 보여준 것이라 생각된다. 충격을 적절하게 흡수한 이후에는 각 관절의 움직임을 조절하는 근육들의 단축성 수축에 의해 추진력을 얻어 앞으로 전진하게 되므로, 보행 시 추진력을 얻기 위한 각 관절의 단축성 일량의 크기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속도의 증가와 함께 남녀 모두 발목과 엉덩 관절에서 단축성 일량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효과의 크기가 높게 나타나 남녀 간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여성은 남성보다 발목 관절에서 단축성 일량의 크기는 작았던 반면 엉덩 관절에서는 그 크기가 컸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무릎 관절의 경우에는 남성만이 속도의 증가와 함께 단축성 일량의 크기가 증가하였는데, 이는 추진력을 얻기 위한 과정에서 남성이 여성보다 무릎 관절을 잘 사용하고 있음을 보여준 것이라 생각된다. 추진력을 얻기 위한 각 관절의 사용 전략 및 비중을 알아보기 위해 단축성 일량의 비율을 살펴본 결과 여성은 두 속도 모두에서 남성보다 발목과 엉덩 관절의 비중이 높았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남성은 속도가 증가하더라도 발목, 무릎, 엉덩 관절이 각각 약 77, 11, 11%로 비중에 변화가 나타나지 않아 보행의 패턴에 변화가 없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지만 여성은 발목 관절의 비중은 늘고 무릎 관절의 비중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 추진력을 얻기 위한 전략 또한 남성과는 다름을 확인할 수 있었다(Figure 4). 마지막으로 추진력을 얻기 위한 각 관절의 비중은 남성과 여성 모두 발목 관절이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더불어 남성은 무릎과 엉덩 관절의 비중에서 큰 차이가 없었던 반면 여성은 발목 다음으로 엉덩 관절과 무릎 관절 순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여성은 속도가 증가할 경우 무릎 관절의 역할이 감소함으로써 발목 관절의 역할이 증가한다는 것 또한 확인할 수 있었다(Figure 4). 여성은 남성보다 발목 관절을 효율적으로 사용하지 못하며(Eckel et al., 2012), 엉덩 관절의 움직임은 커 남녀 간 차이가 있다고 하였다(Cho et al., 2004). 본 연구의 운동학적 측면에서는 남녀 간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지만 운동학적 측면에서는 발목 관절의 비중이 작고 엉덩 관절의 비중은 커 운동학적 측면에서는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각 관절 일량의 비율에 대한 결과를 종합해보면 먼저 충격흡수 차원에서 남성은 두 속도 모두에서 충격흡수를 위한 엉덩 관절의 비중이 가장 컸지만 여성은 일반 속도에서는 발목 관절의 비중이 중요하였으나 속도가 빨라질 경우 무릎 관절의 비중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나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전략이 남성과 여성 간 차이가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엉덩 관절의 경우 남성과 여성 모두 보행 속도가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그 사용 비중에는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여성의 경우에는 발목 관절에서 무릎 관절로 변화하여 무릎 관절의 비중이 더 크게 늘어났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남녀 간 보행 패턴의 차이 뿐만 아니라 발목 관절의 비중이 감소함으로써 무릎 관절에서 사용 비중이 늘어나게 되는 보상작용에도 차이가 있음을 보여준 것이라 생각되며, 특히 여성에게서 더 크게 나타났음을 보여준 것이라 생각된다. 다음으로 추진력 차원에서 남성과 여성 모두 발목 관절의 비중이 가장 컸음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남성은 속도가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발목, 무릎, 엉덩 관절의 비중이 변화하지 않았던 반면 여성은 무릎 관절의 비중이 감소하는 대신에 발목 관절의 비중이 증가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남성은 무릎과 엉덩 관절의 비중에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여성은 무릎보다 엉덩 관절의 비중이 커 추진력을 얻기 위한 전략 또한 남성과 다르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지금까지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운동학적 측면에서 가동 범위를 통한 남녀 간 보행 패턴에서는 차이가 없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운동역학적인 측면에서는 남녀 간 차이와 속도 간 차이가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gender differences on gait pattern and the kinetics on lower extremities according to the different gait speed. Ten collegiate male students (age : 23.80±2.94 yrs, height : 179.40±5.04 cm, weight : 66.57±5.64 kg) and ten female students (age : 23.40±2.91 yrs, height : 166.06±5.61 cm, weight : 53.76±2.75 kg) participated in this study. To investigate the role, the ratio of the use, and the effectiveness of each joint during gait, we examined the joint work and the contribution to total work.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gait pattern was not differ between male and female, hip joint ROM increased with the increase of gait speed both male and female. Second, the eccentric work of the ankle joint decreased with the increase of the gait speed both male and female, on the other hand increased on the knee joint. Third, in the result of the contribution to total eccentric work, male in both the two gait speed was the biggest on the hips joint. However, female in normal gait speed was the greatest on the ankle joint, was the most on the knee joint in the fast gait speed. Forth, the concentric work on the ankle and hip joint increased with the increase of gait speed both male and female. Fifth, in the result of the contribution to total concentric work, there is no difference in the male both the two gait speed, however decreased in the female on the knee joint with the increase of the gait speed, on the other hand increased on the ankle joint.

      • Modified AS1411 Aptamer Suppresses Hepatocellular Carcinoma by Up-regulating Galectin-14

        ( Hyeki Cho ),( Yun Bin Lee ),( Yuri Cho ),( Jeong-hoon Lee ),( Dong Hyeon Lee ),( Jeong-ju Yoo ),( Young Youn Cho ),( Eun Ju Cho ),( Su Jong Yu ),( Yoon Jun Kim ),( Jong In Kim ),( Jong Hun Im ),( Ju 대한간학회 2016 춘·추계 학술대회 (KASL) Vol.2016 No.1

        Aims: Aptamers are small synthetic oligonucleotides that bind to target proteins with high specificity and affinity. AS1411 is an aptamer that binds to the protein nucleolin, which is overexpressed in the cytoplasm and occurs on the surface of cancer cells. We investigated the therapeutic potential of aptamers in treating hepatocellular carcinoma (HCC) by evaluating anti-tumor effects and confirming the affinity and specificity of AS1411 and modified AS1411 aptamers in HCC cells. Methods: Cell growth was assessed using the MTS assay, and cell death signaling was explored by immunoblot analysis. Fluore- scence-activated cell sorting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affinity and specificity of AS1411 aptamers in SNU-761 HCC cells. We investigated the in vivo effects of the AS1411 aptamer using BALB/c nude mice in a subcutaneous xenograft model with SNU-761 cells. Results: Treatment with a modified AS1411 aptamer significantly decreased in vitro (under normoxic [P=0.035] and hypoxic [P=0.018] conditions) and in vivo (under normoxic conditions, P=0.041) HCC cell proliferation compared to control aptamers. AS1411 and control aptamers failed to control HCC cell proliferation. However, AS1411 and the modified AS1411 aptamer did not induce caspase activation. Decrease in cell growth by AS1411 or modified AS1411 was not prevented by caspase or necrosis inhibitors. In a microarray, AS1411 significantly enhanced galectin-14 expression. Suppression of HCC cell proliferation by the modified AS1411 aptamer was attenuated by galectin-14 siRNA transfection. Conclusions: The modified AS1411 aptamer suppressed HCC cell growth in vitro and in vivo by up-regulating galectin-14 expression. Modified AS1411 aptamers may have therapeutic potential as a novel targeted therapy for HCC.

      • SCISCIESCOPUS

        Tenofovir Monotherapy versus Tenofovir plus Lamivudine or Telbivudine Combination Therapy in Treatment of Lamivudine-Resistant Chronic Hepatitis B

        Lee, Yun Bin,Jung, Eun Uk,Kim, Bo Hyun,Lee, Jeong-Hoon,Cho, Hyeki,Ahn, Hongkeun,Choi, Won-Mook,Cho, Young Youn,Lee, Minjong,Yoo, Jeong-Ju,Cho, Yuri,Lee, Dong Hyeon,Cho, Eun Ju,Yu, Su Jong,Park, Sung J American Society for Microbiology 2015 Antimicrobial Agents and Chemotherapy Vol.59 No.2

        <P>Tenofovir disoproxil fumarate (TDF) monotherapy is a therapeutic option for chronic hepatitis B (CHB) patients infected with hepatitis B virus (HBV) variants resistant to lamivudine (LAM). We evaluated the antiviral efficacy and safety of TDF alone compared to those of TDF plus LAM or telbivudine (LdT) combination in patients harboring HBV variants with genotypic resistance to LAM. This multicenter retrospective study included consecutive patients who had LAM-resistant HBV variants and were treated with TDF alone (monotherapy group) or TDF combined with LAM or LdT (combination therapy group) for at least 6 months. Inverse probability of treatment weighting (IPTW) for the entire cohort was applied to control for treatment selection bias. Overall, 153 patients (33 in the monotherapy group and 120 in the combination therapy group) were analyzed. The overall probability of achieving complete virologic suppression at month 12 was 91.6%: 88.6% in the monotherapy group and 92.6% in the combination therapy group. Combination therapy was not superior to monotherapy in viral suppression before and after IPTW (<I>P</I> = 0.562 and <I>P</I> = 0.194, respectively). Hepatitis B e antigen (HBeAg) loss, biochemical response, and virologic breakthrough did not differ between treatment groups. The probabilities of complete virologic suppression were comparable between treatment groups in the subsets according to HBeAg status and HBV DNA levels at baseline. No patient experienced any significant renal dysfunction during the treatment period. In conclusion, TDF monotherapy has antiviral efficacy comparable to that of TDF plus LAM or LdT combination therapy, with a favorable safety profile in CHB patients with LAM-resistant HBV variants.</P>

      • Note on some Properties of Boolean locales

        CHO, DURK-BIN,LEE, JONG-CHUN,CHO, YUNG-DUK,OH, IL-SOO 동국대학교 자연과학연구원 1998 자연과학연구 논문집 Vol.3 No.-

        In this paper, we show that if F : M -> L is a morphism of locales, then f : N(L) →N(M) preserves arbitrary joins. Using this Theorem, we show that if L is locale and N(L) is a Boolean locale, then N(L) is the coreflection of L is the full subcategory of Boolean locales.

      • Successful Engraftment of HLA-mismatched Unrelated Transplantation Using Banked Cord Blood in Korea

        Cho, Bin,Kim, Hack Ki,Kim, Chunchu,Han, Hoon 대한조혈모세포이식학회 1998 대한조혈모세포이식학회지 Vol.3 No.1

        급성골수성 백혈병 2차관해 상태의 13개월 남아를 대상으로 가톨릭 골수 정보은행의 제대혈을 이용하여 주조직적합항원 불일치 비혈연간 제대혈이식을 시행하였다. 전처치로 busulfan, cyclophosphamide, melphalan 및 ATG를 투여하였다. 주입된 총유핵세포수는 1.3×10^(8)/㎏이었다. 이식편대숙주병을 예방하기 위하여 cyclosporime A와 MTX를 사용하였다. 이식 15일에 백혈구수가 0.6×10^(9)/L에 도달하였으며 17일에 Grade Ⅱ GVHD가 발생하였고 methylprednisolone투여로 잘 조절되었다. 이식 20일에는 HLA-DR이 공여자형으로 전환되었다. 이식 23일에는 백혈구수가 2.6×10^(9)/L로 상승하였다. 저자들은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성공적으로 생착된 제대혈 이식을 보고하는 바이며, 본 증례는 국내 최초로 제대혈은행의 비혈연 제대혈을 환자에게 이식한 경우이다. HLA-mismatched unrelated cord blood transplatation was carried out on a 13-months-old male infant with acute myelogenous leukemia in second remission using cryopreserved cord blood at Catholic Hematopoietic Stem Cell Information Bank in Seoul. The patient was prepared for HLA-mismatched unrelated umbilical cord blood transplantation with busulfan, cyclophosphamide, melphalan and antithymocyte globulin. He was transplanted with 21mL cord blood unit containing a 1.3×10^(8)/㎏ nucleated cells per killogram, of patient weight. Methotrexate and cyclosporine A were given for the prophylaxis of GVHD. On day 15 the leukocyte count reached to 0.6×10^(9)/L. Grade Ⅱ GVHD was observed on day 17. It was easily controlled with methylprednisolone. HLA type of recipient was converted to donor pattern on day 20. Total leukocyte count increased to 2.6×10^(9)/L on day 23. In Korea, this is the first report of sucessfully engrafted cord blood clinical transplantation and the first use of banked cord blood for clinical transplantation.

      • KCI등재

        State and Political Violence

        Cho, Won-Bin(조원빈) 한국아프리카학회 2016 한국아프리카학회지 Vol.48 No.-

        정치 폭력은 아프리카 내 주요한 안보 이슈 중 하나다. 최근 케냐를 비롯해 코트디부아르와 나이지리아 등의 국가에서 정치 폭력은 매우 현저하게 발생해 왔다. 정치 폭력에 대한 기존 연구는 이 지역 국가가 본질적으로 능력이 미약하기 때문에 정치 폭력이 자주 발생한다고 주장해 왔다. 이러한 연구는 좀 더 구체적으로 국가의 어떠한 측면이나 기능이 이 지역에 자주 발생하는 정치 폭력에 기여하는지 체계적으로 설명하지 못한다. 이에, 본 논문은 정치 폭력 발생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국가의 구체적 기능들을 세분화하고 그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기존 연구의 한계를 극복하려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논문은 아프로바로메터 여론조사 데이터를 이용해 아프리카의 일반 시민들이 국가의 다양한 기능을 어떻게 구분하며 그들이 정치적 목적으로 폭력을 행사할 때 국가의 다양한 기능의 역할에 대하여 어떻게 바라보는지 경험적으로 분석한다. 분석결과 본 논문은 국가가 치안 확보를 충분히 못한다고 느낄 때와 국가의 정당성이 취약하다고 생각할 때, 국가가 개인의 재산을 제대로 보호하지 못한다고 느낄 때, 자신이 속한 집단이 피해를 보고 있다고 생각할 때일수록 아프리카인들은 정치적 목적으로 폭력을 행사하는 것에 대하여 관대한 태도를 보인다는 것을 발견했다. 반면, 국가의 존재를 느끼거나 국가가 공공서비스를 제대로 제공한다고 생각하는 지는 이 지역의 시민들이 정치 폭력을 수용할 수 있다고 느끼는 것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Political violence has emerged as one of Africa"s most pressing security issues and recent events in Kenya, Cote d"Ivoire and Nigeria point to the salience of the phenomenon. Existing studies argue that the weak and incapacitated nature of African states is a significant factor contributing to high levels of political violence. Yet this insight does not help us to understand which aspect of a weak state affects political violence. This study attempts to bridge this gap in the literature by specifying which aspects of state weakness influence political violence. Using Afrobarometer survey data, this study identifies and measures citizens’ perceptions of the dimensions of state weakness and explores how these popular attitudes shape perceptions of the use of violence for political purposes. We find that widespread crime and insecurity, lack of state legitimacy, inadequate protection of private property and the existence of group grievances vis a vis the state are strongly associated with popular acceptability of political violence. However, we do not find any significant effect of weak presence of the state and poor provision of public goods on an individual’s proclivity to engage in political violence.

      • SCISCIESCOPUS
      • Synthesis and electrocatalytic activity of highly porous hollow palladium nanoshells for oxygen reduction in alkaline solution

        Cho, Yun-Bin,Kim, Ji Eon,Shim, Jun Ho,Lee, Chongmok,Lee, Youngmi The Royal Society of Chemistry 2013 Physical chemistry chemical physics Vol.15 No.27

        <P>A series of hollow Pd nanoshells are prepared by employing Co nanoparticles as sacrificial templates with different concentrations of a Pd precursor (1, 6, 12, 20, and 40 mM K<SUB>2</SUB>PdCl<SUB>4</SUB>), denoted hPd-<I>X</I> (<I>X</I>: concentration of K<SUB>2</SUB>PdCl<SUB>4</SUB> in mM unit). The synthesized hPd series are tested as a cathodic electrocatalyst for oxygen reduction reaction (ORR) in alkaline solution. The morphology and surface area of the hPd catalysts are characterized using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high-resolution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HR-TEM), and cyclic voltammetry (CV). Rotating disk electrode (RDE) voltammetric studies show that the hPd-20 (prepared using 20 mM K<SUB>2</SUB>PdCl<SUB>4</SUB>) has the highest ORR activity among all the hPd series, while being comparable to commercial Pd and Pt catalysts (E-TEK). The more facilitated ORR at hPd-20 is presumably induced by the enhanced Pd surface area and efficiently high porosity of Pd nanoshells.</P> <P>Graphic Abstract</P><P>An optimized Pd precursor concentration allows the most efficient porosity and largest active surface area of hollow Pd nanoshells exhibiting improved electrocatalytic activity for oxygen reduction. <IMG SRC='http://pubs.rsc.org/services/images/RSCpubs.ePlatform.Service.FreeContent.ImageService.svc/ImageService/image/GA?id=c3cp50661d'> </P>

      • KCI등재

        An Open-Label, Multicentre, Observational, Post-Marketing Study to Monitor the Safety and Effectiveness of Umeclidinium/Vilanterol in Korean Patients

        Cho Eun-Yeong,Cho Jung-Eun,Lee Eun-Bin,Yoo Seung Soo,장중현 대한결핵및호흡기학회 2023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Vol.86 No.1

        Background: Umeclidinium/vilanterol (UMEC/VI; ANORO ELLIPTA, GSK) is a commonly used dual bronchodilator. This study evaluated the safety and effectiveness of UMEC/VI in Korean patient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 over a 6-year period.Methods: This was an open-label, multicentre, observational, post-marketing surveillance study. A total of 3,375 patients were enrolled consecutively in 52 hospitals, by 53 physicians, between July 2014 and July 2020. Patients who were administered UMEC/VI (fixed-dose 62.5 μg/25 μg) at least once and were monitored for safety and effectiveness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Incidence and severity of adverse events (AEs) reported after administrating at least one dose of UMEC/VI were monitored, including unexpected adverse events (UAEs) and adverse drug reactions (ADRs). Effectiveness of UMEC/VI after 24 weeks of administration was also assessed using physician’s evaluation (effective, ineffective/no change, worsening, indeterminable) and lung function improvement.Results: Of 3,375 patients, 3,086 were included in the safety assessment group (mean age±standard deviation: 69.76±8.80 years; 85.9% male [n=2,652]; 73.1% aged ≥65 years [n=2,255]). The overall incidence of AEs was 28.8% (n=890), of which 2.2% (n=67) were ADRs. Serious AEs and UAEs were reported in 181 (5.9%) and 665 (21.6%) patients, respectively, and two patients (<0.1%) reported unexpected severe ADR. Of the 903/3,086 patients analysed for effectiveness, most (82.8%, n=748) showed overall disease improvement after UMEC/VI treatment.Conclusion: This study confirmed UMEC/VI administered to Korean patients according to the prescribing information was well-tolerated and can be considered an effective option for COPD treat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