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몽골 남동부 Bayan Tohom Gobi 지역 호수 퇴적물 분석에 의한 후기프라이스트세 이후의 고수문환경 변화

        강수민(SuMin Kang),Tanaka Yukiya,배경민(Bae Kyung Min),Altansukh Ochir 대한지질학회 2021 대한지질학회 학술대회 Vol.2021 No.10

        연구지역은 과거 호수가 분포했던 몽골 남동부의 고비사막에 위치한다. 이 지역은 태평양 몬순 (EASM)의 한계선의 가까운 지역이기에 환경의 변화가 자주 있었을 것으로 보아 이 지역의 호수 퇴적물을 가지고 고수문학적 방법론을 이용하여 과거 호수 주변 환경 특성과 태평양 몬순(EASM)의 한계선 변화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 지역의 후기 플라이스토세 고수문환경변화에 관한 연구사례는 많지 않으며, 이 시기의기후변화에 대하여 충분히 밝혀지지 않았다. 또한 후기 플라이스토세의 기후변동을 보여주는 Dansgaard-Oeschger Cycle과 태평양 몬순 (EASM)의 한계선 변동이 어떻게 연동되었는가에 대하여도 이지역에서 충분히 규명되어 있지 않았다. 연구 지역에서 호수 퇴적물을 4 m 시추하여 과거 호수의 수문환경 변화와 요인을 추적하기위해 탄소 연대측정, OSL 연대측정, 입도 분석, 유기물 함량 변화, 탄산염 함량 변화, BGS 측정을 위한 흡광도 측정 등을 실시하였다. OSL 연대 측정 결과와 탄소 연대 측정 결과는 기존 몽골 지역의 고 수문학적 연구가 홀로세 시대에 치우친 것과 달리 초기 홀로세에서 후기 플라이스토세 까지의 결과가 도출되었다. 시추한 코어는 퇴적물의 입도, 유기물 함량, 탄산염 함량 및 BGS 함량으로 Unit1에서 4까지로 분류하였다. Unit2는 Unit1에 비하여 유기물 및 BGS 함량이 급격하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준다. 이것은 Unit2가 EASM의 경계선이 연구지역까지 들어와 그 영향을 받아 상대적으로 습윤했던 시기 였음을 을 의미한다. Unit2 와 Unit1의 경계는 OSL 연대측정과 탄소연대측정 결과에 의하면 약 12 ka이며 Younger Dryas (11.8~12.8 Ka) 와 Bolling-Allerod-Industadial 시기를 포함한다고 추측된다. 특히 시추 당시 퇴적물의 색깔이 위에서 아래쪽으로 빨간색에서 회색으로 바뀌는 구간을 확인 할 수 있었는데 이는 Unit3과 Unit4의 경계에 해당한다. 이 부분에서 입도가 조립질이 되며 (모래질 함량 증가), 유기물과 BGS의 함량이 감소한다. 조립질로의 변화는 호수수위가 급격하게 떨어진 것을 의미한다. 유기물과 BGS의 함량의 감소한 것은 강수량이 감소했음을 나타낸다. 색깔이 바뀌는 경계의 OSL 연대측정 결과는 약 28 ka이며 이는 MIS2와 MIS3의 경계에 해당한다. 따라서 MIS3에서 MIS2로 갑작스러운 건조화가 일어나며 최종 빙기의 전성기로 인한 강수량의 급감이 생겼던 시기의 경계에 해당하고 EASM의 경계에 벗어나 영향을 받지 못했을 것으로 추측된다. Unit4 층은 유기물 함량, 탄산염, BGS의 함량의 변화가 짧은 주기로 크게 변동되는 특징을 보여준다. 이것은 건조-습윤기후의 cycle이 짧은 주기로 나타났음을 의미한다. 이 시기는 Greenland 대륙 빙상에서 나타난 Dansgaard-Oeschger Cycle과 경향이 비슷하게 나타남을 볼 수 있다. 이는 북대서양에서 일어난 현상이 해당 연구지역을 포함한 유라시아 대륙 동부 지역까지 영향을 주었음을 추측할 수 있다. 따라서 이번 연구 결과는 후기 플라이스토세부터 초기 홀로세까지 몽골 동부 지역에 강수량 변동은 EASM의 경계선 변화와 연결되어 있으며 이는 북대서양과 유라시아 동부지역 간의 텔레커넥션을 뒷받침할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한다고 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