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李來英 梨花女子大學校 韓國生活科學硏究院 1990 韓國生活科學硏究院 論叢 Vol.45 No.-
서귀포와 제주의 지상관측소로부터 얻은 시간별 지상풍 자료를 이용하여 1988년 제주도에서의 해륙풍 특성을 조사하여 보았다. 이 논문에서는 2차원 시계열의 분산 spectrum을 주파수별로 나타내는 회전 spectrum 분석방법을 사용하였다. 월별 회전 wind hodograph 타원궤도 그리고 rotary coefficients를 얻었다. 전체적인 분산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성분이 더 컸으며 일일주기에 해당하는 음의 주파수에서 의미있는 peak가 나타났다. 특히 여름철에 hodograph 타원궤도의 장축들은 해안선에 직각으로 놓여 있었다. Rotary coefficients의 계산에서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성분이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다. 해륙풍의 특성은 제주와 서귀포 지점에서 모두 잘 나타났다. 그러나 해륙풍은 제주에서 좀더 뚜렷하였다. The characteristics of land and sea breezes over Cheju Island on 1988 have been investigated using hourly wind data from Seogwipo and Cheju meteorological stations. The rotary spectrum analysis which is a repesentation in frequency space of the variance spectrum of a two-dimensional(vector) time series was used. Monthly rotary wind spectrum, wind hodograph ellipses and rotary coefficients were obtained. Total variance was some what large for the clockwise rotating components and significant peaks were found at negative frequency which corresponds to one-day period. Especially, in summer, the long axes of wind hodograph ellipses were oriented in perpendicular along the coastal lines. The computed rotary coefficients showed that clockwise rotating component was prevailling. The characteristics of land and sea breezes were well represented in Cheju and Seogwipo stations. The land and sea breezes were more distinct in Cheju.
반미여론과 한미동맹 2002년 12월과 2003년 6월의 여론조사 자료의 분석을 중심으로
이내영,정한울 세종연구소 2003 국가전략 Vol.9 No.3
Anti-American sentiments among Korean public reached the highest point in December 2002 when massive political rallies were staged to blame USFK for the death of two teenage girls and to demand a revision of “unequal” provisions of SOFA. There have been increasing concerns that escalated anti-American public opinion may undermine the legitimacy of Korea-U.S. alliance, which has been a main security framework to deter threats from North Korea during the last half century,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scope and nature of anti-american public opinion by analyzing the survey data collected in December 2002 and June 2003. The major findings of survey data analysis are twofold. First, while escalated anti-american sentiments indicated Korean public's strong demand for the improvement of unequal aspect of Korea-U.S. relations, the majority of Korean public maintained positive appraisal of Korea-U.S. alliance as a deterrence to the North Korean threats. Second, the polarization of public opinion in the realm of security issues, especially by age groups, can be a serious threat to Korea-U.S. alliance. Given the serious security crisis pending in Korean peninsula, Sou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need to make cooperative efforts to alleviate anti-American sentiments among Korean public. Prolonged anti-American public opinion is harmful to security partnership of two allies. 2002년 겨울 대규모 촛불시위를 통해 반미여론이 고조되면서 한미동맹이 위기에 봉착했다는 우려가 제기되었다. 이 논문의 목적은 반미여론이 한미동맹을 위협하는 내용과 성격을 가진 것인가를 2002년 12월과 2003년 6월에 수집한 두 차례의 여론조사자료를 통해 검증하는 것이다. 자료의 분석결과 지난 12월에 나타난 반미여론의 성격은 한미동맹의 정당성에 대한 반대보다는 한미동맹의 운영과 관련 제도의 개선을 요구하는 측면이 두드러졌다. 또한 2003년 6월 여론조사에서는 반미여론이 빠르게 약화되고 한미동맹을 지지하는 여론이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따라서 반미여론이 한미동맹을 위협할 정도의 수준과 내용을 가지고 있다고 볼 수는 없다. 그러나 작년 촛불시위와 대선정국에서 나타난 세대별, 이념별 안보의식의 양극화는 한미동맹의 미래에 심각한 위협이 될 수 있기 때문에 그 원인과 해소방안 등에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이내영 江南大學 不動産學科 1988 不動産學報 Vol.4 No.-
소매상은 영리를 목적으로하는 계속기업이라 할 수 있으므로 소매상 입지선정의 상권분석은 개점전후를 막론하고 가장 중요한 문제이기 때문에 유통업계의 상호간 지도, 조언으로 임하여야 할 것이다. 소매상의 입지적 경영상태는 일반적으로 소규모경영이며 영세성, 가족노동에 의한 경영이기 때문에 물적유통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정부당국에서 재정적인 지원도 모색하여 유통의 원활과 경영의 합리화를 기하여야 할 것이며 또한 대규모제조회사는 대량생산에서 대량판매에 이르기 까지 유통단계를 거쳐서 판매할 것이지 소매상의 영역까지 침범하는 누를 끼쳐서는 안될 것이다. 상업입지의 포괄적인 문제에 관하여 정부당국이나 학회 내지 연구기관에서는 산업협동의 유기적 관계하에 적극적인 방법으로 입지선정을 좌우하는 제요인, 즉 소비인구, 교통 소득계층별 세대수의 통계뿐만 아니라 지역성장 등을 학문적이고 실무적인 입장에서 조사 실시하여야 하겠으며 복잡다양한 상업의 종류를 입지와 관련시켜 효과적이며 능률적인 방법에 의하여 개별적 입지조건을 분류하는데 더욱 연구가 필요할 줄 안다.
이내영,정한울 한국의회발전연구회 2013 의정연구 Vol.19 No.3
최근 한국 선거정치에서 세대 요인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지만 기존 연구의 대부분은 횡단면 비교방법에 의존해 왔다. 이에 따라 세대 효과를 구성하는 연령효과와 코호트 효과를 경험적으로 구별하여 분석하지 못했을 뿐 아니라, 특히 연령효과와 세대효과 사이의 교호작용에 대한 경험적 분석을 찾아보기 힘들다. 본 논문의 목적은 세대효과를 코호트효과와 연령효과로 구분하여 측정하고, 또한 코호트효과와 연령효과 간의 교호작용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5세 단위의 동일한 출생코호트를 기준으로 16대 대선과 18대 대선까지 투표선호와 정당지지의 변화를 검증하는 종단면적인 비교분석을 시도하였다. 분석의 결과 1973년 이후 출생자들은 시간 변화에 따른 연령효과를 찾아보기 힘들었지만, 1953년 이전 출생자 들은 세 선거 동안 보수화 경향이 나타나는 뚜렷한 연령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1958-67년생 출생자 코호트의 경우 2002년 선거 시점을 기준으로 보면 2012년 현재 보수화 경향이 확인되지만, 1953년생 이전 출생자들처럼 일관된 선형관계를 보여주지 않았다. 또한 개인 수준에서 코호트*연령효과의 교호작용을 검증하기 위해 연령코호트를 45세를 기준으로 두 집단으로 나누고 대선지지, 정당지지, 주관적 이념평가에 미치는 연령변수의 효과를 검증했다. 2012년 EAI·SBS·중앙일보·한국리서치의 KEPS패널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로지스틱회귀분석, 다중회귀분석 모델을 적용한 결과, 44세 이하에서는 연령변수의 통계적 유의성이 검증되지 않았다. 반면, 45세 이상 코호트에서는 세 종수 변수 각각에 대해 모두 일관된 유의성이 검증되었다. 연령효과가 45세 이후 코호트에서 본격적으로 나타나는 코호트*연령효과의 교호작용을 경험적으로 추론할 수 있는 결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