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한국산 맵시벌과(벌목(目))의 계통분류학적 연구 : 뭉툭맵시벌족의 재검토(뭉툭맵시벌아과(亞科))/Introduction/Materials & Methods Review of Tribe Tryphonini (Tryphoninae)

        이종욱,차진열 고려대학교 한국곤충연구소 1993 昆蟲硏究誌 Vol.19 No.1

        한국산 맵시벌科(벌目)의 계통분류학적 연구 15. 뭉툭맵시벌족의 재검토(뭉툭맵시벌亞科) 이종욱 · 차진열(영남대학교 이과대학 생물학과) 昆蟲硏究誌. 19 : 10-34, 1993. 한국산 뭉툭맵시벌족은 4속 11종이 기록되었으나 연구 결과 4미기록 속(**), 1미기록 아속(**), 11미기록 종 (*), 7신종 (??)이 추가되어 총 9속 29종이 분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종 목록은 다음과 같다; Genus Cosmoconus Foerster 뿔뭉툭맵시벌속; C. elongator Fabricius 뿔뭉툭맵시벌; **Genus Ctenochira Fo¨rster 가시발톱뭉툭맵시벌속; ?? C.ruficoxalis sp. nov. 붉은밑마디뭉툭맵시벌 (신칭), ?? C. nigroventralis sp. nov. 배검은 뭉툭맵시벌 (신칭); ?? C. basipectinata sp. nov. 가시발톱뭉툭맵시벌(신칭); **Genus Dyspetes Fo¨rster 경포뭉툭맵시벌속(신칭); *D. arrogator Heinrich 경포뭉툭맵시벌(신칭), *D. nigricans He & Wan 흑색경포뭉툭맵시벌(신칭),?? D. nogodanus sp. nov. 노고경포뭉툭 맵시벌(신칭); **Genus Erromenus Holmgren 얼굴뭉툭맵시벌속 (신칭); *E. melanotus Gravenhorst 수검은뭉툭맵시벌(신칭), *E. alpinator Aubert 알프스뭉툭맵시벌(신칭), *E. zonarius Gravenhorst 수염가두리뭉툭맵시벌(신칭), ??E. rufifemur sp. nov. 홍다리뭉툭맵시벌(신칭), *E. analis Brischke 얼굴뭉툭맵시벌(신칭), *E. pelbejus Woldstedt 검은발톱뭉툭맵시벌(신칭); **Genus Lagoleptus Townes 라고스뭉툭맵시벌속 (신칭); * L. rugipetus Townes 라고스뭉툭맵시벌(신칭); Genus Monoblastus Gartig 잎벌살이뭉툭맵시벌속(신칭); M. erythrurus Townes, Momoi et Townes 반빨간뭉툭맵시벌, M. clauseni Uchida 잎벌살이뭉툭맵시벌, ??M. jinjuensis sp. nov. 진주뭉툭맵시벌(신칭), ??M. nigriventus sp. nov. 청계뭉툭맵시벌(신칭); Genus Otoblastus Forster 오토뭉툭맵시벌속(신칭); O. marginator Kasparyan 오토뭉툭맵시벌(신칭); Genus Polyblastus Hartig 배작은뭉툭맵시벌속; P.(P.) wahlbergi Holmgren 배작은뭉툭맵시벌; Genus Tryphon Fallen 신라뭉툭맵시벌속; Subgenus Stenocrotaphon Kasparyan 배끝마디검은뭉툭맵시벌아속; T.(S.)kazachstanicus Kasparyan 참검은뭉툭맵시벌, T.(S.) nagahamensis Uchida 진빨간뭉툭맵시벌, T.(S.) obtustator Thunberg 배끝마디검은뭉툭맵시벌; Subgenus Symboethus Forster 신라뭉툭맵시벌아속; T.(S.) brevipetiolaris Uchida 신라뭉툭맵시벌, T.(S.) hinzi Heinrich 검은뭉툭맵시벌, T.(S.) punctatus Kasparyan 흑점뭉툭맵시벌, *T.(S.) incestus Holmgren 흑가슴뭉툭맵시벌(신칭), *T.(S.) brunniventris Gravenhorst 갈색뭉툭맵시벌(신칭); **Subgenus Tryphon Fallen 뭉툭맵시벌아속(신칭); *T.(T.) abditus Kasparyan 뭉툭맵시벌(신칭) The authors revised the Korean species of tribe Tryphonini. In the present study, we report 29 species, 9 genera including 7 new species, 11 newly recorded species and 4 newly recorded genera.

      • 한국산 맵시벌과(벌목(目))의 계통분류학적 연구 : 넓적수염맵시벌속(屬)(넓적수염맵시벌 아과(亞科) Genus Euceros (Eucerotinae)

        이종욱,차진열,서경인 고려대학교 한국곤충연구소 1992 昆蟲硏究誌 Vol.18 No.1

        한국산 맵시벌科 (벌目)의 계통분류학적 연구 14. 넓적수염맵시벌屬(넓적수염맵시벌 亞科), 이종욱 · 차진열 · 서경인(영남대학교 이과대학교 생물학과), 昆蟲硏究誌. 18 : 25~30, 1992. 한국산 넓적수염맵시벌 亞科의 넓적수염맵시벌 屬을 연구한 결과 4종을 정리하였다. 이중 3종(*)은 국내에서 처음으로 기록되는 종들이다. Subfamily Eucerotnae 넓적수염맵시벌 亞科 (신칭) Genus Euceros Gravenhorst 넓적수염맵시벌屬(신칭) E. rufocinctus (Ashmead) 넓적수염맵시벌 (신칭) *E. serricornis (Haliday) 가시넓적수염맵시벌(신칭) *E. kiuskuensis Uchida 민 가시 넓적수염맵시벌 (신칭) *E. sensibus Uchida 의가시넓적수염맵시벌 (신칭) The study on the subfamily Eucerotinae unrecorded in Korea was conducted. As the result, four species of genus Euceros including three unrecorded species E. kiushuensis Uchida, E. sensibus Uchida, E. serricornis(Haliday) were identified.

      • 한국산 잎벌 과(벌 목(目) : 잎벌 아목(亞目)에 대한 계통분류학적 연구 : 잎벌 과 13 미기록 종에 대하여 Thirteen unrecorded species of the Tenthredinidae

        이종욱,류성만 고려대학교 한국곤충연구소 1995 昆蟲硏究誌 Vol.21 No.1

        韓國産 잎벌 科(벌 目: 잎벌 亞目)에 대한 系統分類學的 硏究 1. 잎벌 科 13 未記錄 種에 대하여 이종욱 류성만 (영남대학교 이과대학 생물학과) 잎벌 科의 13種[Phyllocolpa puella (Thomson), Dineura virididorsata (Retzius), Phymatoceropsis japonica (Malaise), Monophadnus nigritarsis Togashi, Monophadnus nigriceps (Smith), Athalia kashmirensis Bensen, Hemibeleses nigriceps Takeuchi, Beleses satonis (Takeuchi), Eriocampa albipes Matsumura, Eriocampopsis subtruncata Takeuchi, Rhogogaster convergens Malaise, Conaspidia guttata (Matsumura), Tenthredo babai Takeuchi]이 韓國産 未記錄 種으로 報告되며, 이들중 6屬[Phyllocolpa Benson, Phymatoceropsis Rohwer, Beleses Cameron, Eriocampa Hartig, Eriocampopsis Takeuchi, Conaspidia Konow]은 韓國産 未記錄 屬이다. Thirteen species of Tenthredinidae [Phyllocolpa puella (Thomson), Dineura virididorsata (Retzius), Phymatoceropsis japonica (Malaise), Monophadnus nigritarsis Togashi, Monophadnus nigriceps (Smith), Athalia kashmirensis Bensen, Hemibeleses nigriceps Takeuchi, Beleses satonis (Takeuchi), Eriocampa albipes Matsumura, Erioeampopsis subtruncata Takeuchi, Rhogogaster convergens Malaise, Conaspidia guttata (Matsumura), Tenthredo babai Takeuchi] are reported for the first time from Korea. Among them, six genera [Phyllocolpa Benson, Phymatoceropsis Rohwer, Beleses Cameron, Eriocampa Hartig, Eriocampopsis Takeuchi, Conaspidia Konow] are also newly recorded from Korea.

      • 댐시설물 지진가속도 계측기 운영 및 댐내진안전성 관련 연구사례

        이종욱 한국방재학회 2011 한국방재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10 No.-

        일본 고베지진(1995), 타이완 지지(Chichi)지진(2000), 우리나라 남해안 지역 및 대도시지역에서 지반 흔들림이 감지된 일본 후쿠오카지진(2005), 중국 쓰촨성대지진(2008), 일본 이와떼·미야기지진(2008), 최근의 일본 동북지방대지진(2011)과 같은 한반도 주변지역에서의 지진발생 사례와 함께 한반도내에서 최근 발생된 강원도 월정사지진(2007년) 등은 한반도의 지진발생 빈도 증가와 더불어 지진에 대한 안전지대가 아니라는 경각심과 함께 지진 피해 가능성에 대한 인식을 제고시키고 있다. 최근 일본 동북지방대지진(M9.0)과 중국에서 발생한 쓰촨성대지진(M8.0), 일본 이와떼·미야기지진(M7.2)은 진앙지 주변지역에 위치한 많은 댐들에 크고 작은 지진 피해를 발생시켰다. 특히, 중국 쓰촨성 대지진은 쓰촨성 일대 약 400개의 중·대형댐에 크고 작은 손상을 입힘으로써 지진대비 댐시설물 안전관리에 대한 대책 마련의 필요성을 부각시키고 있다. 댐 시설물은 국민생황과 안전에 밀접한 공공성이 강한 국가 주요시설물이므로 댐 관리주체는 지진대비 댐의 안전성을 확인함으로서 지진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 할 의무가 있다. 일본 고베지진 이후 국내 내진설계기준(건설교통부, 1997)이 개정되었으며 2011년 개정된 댐설계기준·해설(건설교통부)에는 내진특등급 댐의 경우에는 의무적으로 지진계를 설치하고 정상상태를 유지하여야 함을 규정하고 있다. 이에 국내에서 대부분의 중요한 대댐을 관리하고 있는 한국수자원공사는 31개의 신규댐 및 설계당시 지진계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기존댐에 총 99대의 지진가속도계 설치를 2008년 완료하여 운영중에 있으며, 4대강살리기사업 16개 보에 총 30대의 지진가속도계 설치를 완료하였다. 현재 31개 댐에 설치된 99대의 지진가속도계는 실시간으로 각 댐에서 감지되는 지진파형을 모니터링하고 최대 가속도를 분석하여 댐의 내진안전성을 신속히 파악하기 위해 댐 실시간지진감시시스템(Dam Earthquake Monitoring System)에 연계되어 통합운영되고 있으며, 향후 4대강 16개 보 지진가속도계의 추가연계와 소방방재청 등 국가지진관측망과의 자료공유를 위해 시스템을 업그레이드할 계획이다. 댐의 내진안전성에 대한 연구사례는 다음과 같다. 한국수자원공사는 2001년에서 2003년까지 고베지진이후 강화된 내진설계기준에 따라 동적해석기법으로 다목적댐과 용수전용댐에 대한 내진성능평가를 실시하였으며, 평가결과 다목적댐과 용수전용댐은 현재의 강화된 내진설계기준에 대해 모두 내진안전성을 확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치해석을 이용한 지진발생시 댐의 안전성 평가는 댐재료의 동적물성 및 해석결과의 적정성을 평가하여야만 그 결과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지진계측기록을 활용하여 댐의 실제 고유주기(Fundamental period)를 산정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하익수, 2008)가 수행되었고 수치해석에 의한 고유주기를 계측에 의한 고유주기와 일치시켜 동적물성을 검증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하익수와 오병현, 2011)와 기존댐 실대규모 발파진동실험을 실시하여 댐의 발파진동가속도 응답특성 및 동적물성 역산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었다(이종욱 등, 2011).

      • KCI등재후보

        상생협력·동반성장 참여 협력사의 성과와 과신 - 행동경제학적 해석: 정성적 및 정량적 성과 갭-

        이종욱 중소벤처기업연구원 2022 중소기업정책연구 Vol.7 No.3

        As a result of the empirical analysis, the consistency of the determinants of quantitative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technical capacity of SMEs’ partners is high, but the consistency of th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empirical analysis results is low. SMEs’ suppliers value qualitative performance highly in order to continuously enjoy the free support provided by large corporations, but fail to create quantitative performance suitable for such qualitative evaluati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qualitative performance and quantitative performance of partners can be said to indicate the existence of overconfidence from mutual growth which ignores the difference in technical skills. Llarge corporations unilaterally support their partners, but the evaluation of them on the win-win cooperation and mutual growth only reflects the survey data of SMEs' partners. Therefore, the current asymmetric evaluation, which does not consider a capability evaluation of partner companies by large corporations, must be improved to alleviate overconfidence in mutual growth. To achieve this paradigm shift, there is a need for a policy to reshuffle a win-win growth evaluation system, manpower capacity, and criteria for selecting external experts.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정부 주도로 동반성장위원회가 추진하고 있는 상생협력의 정성적 성과와 정량적 성과의 결정요인들이 협력사의 기업역량에 따라 달라지는 것을 경제학과 심리학이 결합 된 행동경제학의 과신으로 설명하려는 것이다. 행동경제학이나 심리학에서 과신을 측정하는 것이 쉽지 않아, 다양한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 정부가 주도하여 대기업이 일방적으로 지원하는 상생협력·동반성장으로 인한 협력사의 정성적 성과와 정량적 성과를 결정하는 요인들의 통계적 유의성 차이를 과신을 발생시키는 원인 중 하나인 난이효과 가설과 연결하게 된다. 정성적 평가는 기업의 성과를 과대평가하여 쉽게 응답할 수 있지만, 정량적 평가는 기업의 경영현황 숫자로 답해야 하므로 과대평가하여 응답할 수 없다. 상생협력과 동반성장은 경제 이론상 실현하기 어려운 협력에 기반을 두고 있어서, 그 성과를 창출하는 것이 어렵다. 협력은 어려운 과제인데도 불구하고, 협력사는 이에 대한 지식 부족으로 협력을 쉬운 과제로 생각하여, 동반성장을 과신하고 있다. 실증분석 결과로 보면, 협력사의 역량에 따라 정량적 성과의 결정요인에서 일관성이 높게 나타나고, 정성적·정량적 실증분석 결과의 일관성이 낮게 나타난다. 협력사는 대기업이 제공하는 무상 지원을 지속적으로 누리기 위해 정성적 성과를 높이 평가하지만, 그러한 정성적 평가에 적합한 정량적 성과를 창출하지 못하고 있다. 협력사의 정성적 성과와 정량적 성과 차이는 협력사의 역량에 따라, 협력사의 동반성장에 대한 과신이 나타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상생협력과 동반성장의 평가는 대기업이 협력사를 일방적으로 지원하고 중소기업의 체감도 평가만 반영하게 되어 있어서, 대기업의 협력기업 역량 평가가 없는 현재의 비대칭적 평가를 개선해야, 동반성장에 대한 과신이 완화될 수 있다. 이러한 패러다임 전환에 부합되는 동반성장의 평가제도, 인력 역량 및 외부 전문가 선정 기준이 마련될 수 있는 정책이 필요하다.

      • KCI등재후보

        분리 대두 단백질과 옥수수 전분을 혼합하여 제조한 복합 필름의 특성

        이종욱,정종훈,박상규,김재연 한국산업식품공학회 2005 산업 식품공학 Vol.9 No.1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hysical properties of composite films manufactured from soy protein isolate(SPI) solution and corn starch solution. For all types of films, tensile strength(TS), percent elongation at break(E), water vapor permeability(WVP), Hunter color values and puncture strength were determined. TS of composite films was higher than SPI film, but not significantly different(p<0.05). E and WVP of composite films decreased significantly(p<0.05) as the concentration of corn starch increased. Puncture strength of composite films was more significantly increased(p<0.05) than that of SPI film.

      • KCI등재

        정부의 연구비 지원이 연구자의 연구성과에 미친 영향 분석

        이종욱 한국기술혁신학회 2011 기술혁신학회지 Vol.14 No.4

        이 연구의 목적은 정부의 연구비 지원이 연구자의 연구 성과에 미친 영향을 실증 분석하는 데 있다. 이 연구에서는 공학 분야와 자연과학 분야에서 각각 두 개의 전공분야를 선정하여 각 전공별 연구자를 대상으로 하는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실증분석 결과를 간략히 요약하면, 정부의 연구비 지원은 KCI급 연구업적과 SCI급 연구업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분석결과에서, 학문분야별로 연구비와 연구업적의 관계에 상이한 차이가 있다는 점을 감안할 때, 향후 연구비 지원 정책을 수립하는 과정에서 학문의 특성이 반영된 정책수립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duct an in-depth analysis of the effect of support on the quality of research. Involved in this study were two areas of studies, namely; engineering and natural science and the respondents were accordingly selected among those who majored in the studies. The findings of the research are summarized as follows;The timely support for the research had a positive effect in rasing the quality of research to KCI and SCI. Granting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effect of support on research quality depending on the areas of studies, it is essential that the process of formulating support policies take into account the characteristics of the area of study.

      • KCI등재
      • KCI등재

        SERS-based Nanoplasmonic Exosome Analysis: Enabling Liquid Biopsy for Cancer Diagnosis and Monitoring Progression

        이종욱,김수현,심상준 한국바이오칩학회 2020 BioChip Journal Vol.14 No.3

        Exosomes, membrane-bound vesicles having a diameter of 30-150nm, are secreted by most cell types, including tumor cells. These vesicles mediate intercellular communication by transferring bioactive molecules (including a variety of proteins and nucleic acids) from donor to recipient cells. Notably, tumor cells secrete more exosome into microenvironment than nontumoral cells. Tumor-derived exosomes are enriched in molecular and genetic traits of tumor cells that facilitate cancer initiation, progression, and metastasis. Due to their abundance and stability, exosomes are one of the promising diagnostic and prognostic biomarkers for various cancers. Despite promising clinical potential, exosome-based diagnostics remains challenging because of the heterogeneity of exosome and difficulties in the profiling of exosomal contents. Therefore, there is a necessity to develop the sensing platform for molecular fingerprinting of exosomes toward clinical application. In this critical review, we explore the emerging use of nanoplasmonic biosensors to detect exosomal biomarkers and the application of this technology to the diagnosis and monitoring of canc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