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소방관을 위한 트라우마 집단교육의 사전 사후 인식

        이미나,나옥희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7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7 No.10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pre-to-post through trauma group education for fire fighters. Due to the nature of fire fighters, they are exposed to various emergency and critical accidents, a traumatic experience that is trauma can lead to symptoms such as depression, anxiety, panic disorder and aggression when becoming chronic. In this study, subjects were twenty one fire fighters who lives in K city and were conducted trauma group education with six themes and the questionnaire on pre-to-post recognition showed the effect of the questionnaire. The topics of group education consist of understanding of trauma, treatment and prevention of trauma, psychological state and dream, stress management, psychological health support system and success case. As a result, trauma group education for fire fighters showed 'Needs and necessity of standardized trauma education materials for 18(84.7%)' 'Participated in helping psychological problems through education for 16(76.2%)' 'I would like to have a psychological test if I have a chance for 16(76.2%)' and 'Necessity of visiting education and counseling support for 14(66.7%)' in general recognition. Based on this study, trauma group education for fire fighters with traumatic experience exposed to various accident incidents, it can be seen that the education for recognition of professional education and counseling has increased. 본 연구는 소방관을 위한 트라우마 집단교육을 통해 사전 사후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소방관의 특성상 다양한 응급과 위급한 사건사고 현장에 노출되고 있으며, 외상적 경험인 트라우마는 만성화되는 경우, 우울, 불안, 공황장애 및 공격성 등의 증상으로 이어지기도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K시에 거주하고 있는 소방관 21명을 대상으로 6가지 주제를 중심으로 트라우마 집단교육을 실시하였으며, 사전 사후 인식에 대한 설문지를 통해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집단교육의 주제로는 트라우마 이해, 트라우마 치료와 예방법, 심리상태와 꿈, 스트레스 관리, 심리건강 지원제도, 성공사례 등로 구성되어 있다. 연구결과 소방관을 위한 트라우마 집단교육을 통해 일반적인 인식에서는 ‘표준화된 트라우마 교육자료의 요구와 필요성 18명(84.7%) ‘교육을 통해 심리적 문제를 도움 받고자 참여하였다’. 16명(76.2%), ‘기회가 있으면 심리검사를 받고 싶다’ 16명(76.2%), ‘찾아오는 교육과 상담지원의 필요성’ 14명(66.7%)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토대로 다양한 사건사고에 노출된 외상적 경험이 있는 소방관을 위한 트라우마 집단교육을 실시한 결과 교육을 받은 후 전문적인 교육과 상담을 받아야한다는 인식이 높아진 것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케냐 차보생태지역 농민 주도 산림 및 토지 복원 접근법(FMNR) 도입 주민의 환경보전에 대한 인식 분석: ‘한국국제협력단(KOICA)-월드비전(World Vision) 케냐 차보생태지역 복원기반 통합적 기후변화 대응 사업’을 중심으로

        이미나,정한나,이종욱 국제개발협력학회 2025 국제개발협력연구 Vol.17 No.1

        연구목적: 본 연구는 케냐 차보생태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FMNR(Farmer Managed Natural Regeneration) 도입 여부와 이행 정도가 주민의 환경보전 및 산림복원에 대한 기대 인식, 그리고 환경보호 활동 참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이를 통해 FMNR의 지속가능한 구현과 주민들의 자발적 참여 및 연대를 위한 시사 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의 중요성: FMNR의 근본적 가치인 환경보전과 산림복원에 대한 인식이 실제 도입⋅이행 주체들에게 얼마나 내면화되고 개인적 가치관에 통합되었는 지를 확인함으로써 FMNR 확대 및 효과 극대화를 위한 방안을 논의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연구방법론: 현지 가구 설문조사 데이터를 이용하여 FMNR 도입 및 이행 정도 가 환경보전 및 산림복원에 대한 기대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일반화된 순서형 로짓 모형(Generalized Ordered Logit)으로 분석한다. 또한, 환경보호 활동 참여 도에 미치는 영향을 다중선형회귀분석(Multiple OLS)을 통해 추정한다. 연구결과: FMNR을 도입한 가구일수록, 또 이행 정도가 높을수록 환경보전에 대한 인식이 더 긍정적이며 실제 환경보호 활동에도 더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FMNR을 도입하고 이행 정도가 높은 가구는 산림복원으로 기대할 수 있는 편익이 오히려 낮다고 인식하는 경향이 관찰되었다. 결론 및 시사점: FMNR이 성공적으로 정착 및 확산되기 위해서는 장기적인 수익 창출 체계를 제시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예컨데, 협동조합을 통한 임산물 공동판매, FMNR 기술 교육 및 이점 홍보, 소액 대출 등의 금융지원은 지역사회 구성원들이 실질적 혜택을 누릴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함으로써 지속가능성을 제고할 수 있다. Purpose: This study examines the impact of Farmer Managed Natural Regeneration (FMNR) adoption and varying implementation levels on local residents’ perceptions and attitudes toward environmental conservation and forest restoration, as well as their engagement in conservation activities, in the Tsavo ecosystem and dispersal area of Kenya. The analysis further aims to suggest strategies to ensure the sustainability of FMNR, promoting voluntary participation and solidarity among residents. Originality: By assessing the extent to which implementing actors have internalized the core values of FMNR, namely environmental conservation and forest restoration, this study provides insights into how FMNR can be more effectively expanded and integrated into the local context. Methodology: Household survey data were employed to estimate how FMNR adoption and implementation intensity influence residents’ expectations for environmental conservation and forest restoration, using a Generalized Ordered Logit model. In addition, we applied multiple linear regression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FMNR adoption and implementation levels on the degree of participation in environmental protection activities. Result: The findings indicate that households adopting FMNR, particularly those with higher levels of implementation, tend to have more positive perceptions of environmental conservation and participate moe actively in environmental protection activities. However, they also showed a tendency to perceive the expected benefits of forest restoration as somewhat lower compared to non-adopters or those with lower FMNR involvement. Conclusion and Implication: Strategies that establish long-term income-generating structures are essential for success and sustainability of FMNR. Organizing cooperatives for the joint sale of forest products, providing training on the benefits and techniques of FMNR, and offering microfinance support or improved market access can deliver tangible benefits to local communities, thereby reinforcing FMNR efforts in the Tsavo area.

      • KCI등재

        유아의 리더십과 놀이표현력과의 관계

        이미나,정주선 한국보육학회 2012 한국보육학회지 Vol.12 No.2

        본 연구는 만 5세 유아의 리더십과 놀이표현력이 어떠한 관계가 있으며 그 영향력은 어떠한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G시에 소재한 어린이집 4곳에 다니는 만 5세 유아 167명(남아 78명, 여아 89명)을 대상으로 유아의 리더십과 놀이표현력을 측정하였다. 검사도구는 이명숙(2006)이 개발한 유아 리더십과 Barnett(1990)이 제작한 것을 김영희(1995)가 번안 수정 및 보완한 놀이표현력을 사용하였으며, 검사도구 모두 담임교사에 의해 측정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연구문제에 따라 유아의 리더십과 놀이표현력 각각의 하위요인에 대한 평균(M)과 표준편차(SD), 유아의 리더십과 놀이표현력은 Pearson 적률상관 관계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유아의 리더십이 놀이표현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회귀분석을 SPSS WIN 17.0 프로그램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유아의 리더십 수준은 자기관리, 자연적 보상, 건설적 사고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놀이표현력 수준은 신체적 자발성과 즐거움의 표현, 사회적 자발성, 인지적 자발성, 유머 감각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 리더십은 전체 놀이표현력과 정적 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유아의 리더십 수준이 높을수록 놀이표현력의 수준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유아 리더십이 유아의 놀이표현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ed to explore relation between childhood leadership and play expression and to investigate effects of it. In order to measure childhood leadership and abilities of play expression, I have selected 167 five year old children (78 boys and 89 girls) from four childhood in G city. I adopted the childhood leadership scale which developed by Myeong Seok Lee(2006) and Barnett’s (1990) CPS (Children’s Playfulness Scale) which was revised by Young Hee Kim(1995). These measurements have checked by teachers of nursery schools. The relation between childhood leadership and play expression have been analysed with mean(M) and standard deviation(SD) through SPSS WIN 17.0 program, From the results of the study, first, I could confirm that there is a level of leadership shows in order self-management, natural rewards and constructive thinking was meaningful relation between leadership and play expression during early childhood. These results show that leadership in early childhood can affect a child’s abilities of play expression. Second, Children leadership came out that play expression was related to positive relationship. This means the more child level is higher, the more that the play expression is high. Third, child leadership have an effect on the child's play expression.

      • KCI등재

        유아교사의 전문성 발달 수준과 유아인권의식의 관계 연구

        이미나,장정백 한국보육학회 2015 한국보육학회지 Vol.15 No.3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전문성 발달 수준과 유아인권의식의 관계를 알아보고 영향력이 어떠한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 및 연구기간은 광주, 전남에 소재한 25개 유아교육기관 유아교사 280명(어린이집 교사 162명, 유치원 교사 118명)을 2014년 9월 1일부터 10월 10일까지 실시하였다. 측정도구는 유아교사의 전문성 발달 수준 측정을 위해 백은주․조부경(2004)이 개발한‘유아교사의 전문성 발달 수준’척도와 1989년 UN 아동권리에 관한 국제협약에 근거하여 Hart, & Zeider(1993)가 개발한 척도 현영렬(2009)이 사용한 유아인권의식의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연구문제에 따라 각 하위요인별 평균(M)과 표준편차(SD) 및 Pearson 적률상관 관계를 SPSS WIN 17.0 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유아교사의 전문성 발달 수준과 유아인권의식의 상관관계는 모든 영역에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교사 전문성 발달 수준에 가장 많은 영향력을 주는 것은 유아인권의식 하위변인 중 보호할 권리, 발달할 권리였으며, 이는 유아의 발달권과 보호권에서 교사의 의식이 높았다. 이를 통해 유아교사 전문성과 유아인권의식에 대한 교육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시사한다. The study to know teacher's Developmental level expertise and the relationship of early child-right ethics to fine the effectiveness. The subjects and the experimental dates were 280 teachers out of 25 child educational organization(162 kindergarten teachers, 118 preschool teachers) which are tested from 1st, 9, 2014 to 10, 10, 2014. the measurement tool for knowing The teachers developmental level expertise was used 'The teachers Developmental level expertise' tool by bak eun ju, jo boo kyung(2004) and based on UN child-right by UN international agreement in 1989, fundamentally tools by Hart & Zeider(1993) is used with young child right ethics by hyeon young ryel(2009). However, assembled papers are depend on study problems to be analysed the teacher Developmental level expertise and the child-right ethics, with under each groups which are average(M), standard deviation(SD) and pearson Product-moment correlation. And knowing the effectiveness of the teachers Developmental level expertise to the early child-right ethics, analyzed through rare analysis SPSS WIN17.0 program. The final result, The teachers Developmental level expertise and The child-right ethics are correlated in the whole sections. especially, the most effectiveness among the early child-right ethics by The teachers Developmental level expertise is right of protection and right of development. As far as teachers ethics are revealed high points on the child development right and protection right. Eventually, Implied in the child education places are necessary to more various educational support for The teachers Developmental level expertise and The early child-right ethics.

      • 집단모래놀이 활동이 유아의 정서 및 또래관계에 미치는 효과

        이미나,차영희 한국심리협회 2011 심리행동연구 Vol.3 No.1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에서 유아를 대상으로 집단모래놀이 활동이 유아 의 정서와 또래관계 향상의 효과성을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K시에 위치한 유아 교육기관 만 5세 유아 28명이며,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뉘었다. 집단모래놀이 활동은 각 회 기는 주 2회 10주 동안 실험집단에게 실시되었다. 본 연구에서 구안한 모래놀이를 통한 심리상담(모래놀이)활동은 2007년 개 정 유치원교육과 정의 사회생활영역을 기초로 구성되었다. 모래놀이 활동구성은 초기, 중기 , 말기로 이루어 지며 각 회기별로 상담목표를 세워 실제 활동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목 적은 유아교육기 관 교사들이 일반 유아나 발달적·심리적 어려움이 있다고 예측되는 유아들 을 돕고자 본 프로그램을 유아교육현장에서 활용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는 유치원 교육과정의 사회생활영역을 보다 심도 있게 실천한 것이 므로 교육적 가치의 효과는 크다. 연구결과 집단모래놀이 활동은 유아의 정서와 또래관 계를 향상시키는 것으 로 나타났다.

      • KCI등재

        예비 유아교사의 자기효능감 및 탄력성과 적응성과의 관계

        이미나,나명희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7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7 No.2

        The research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efficacy, resilience and adaptability for preliminary teacher. Subjects were 19 male students and 171 female students who go two and three year course at community college located in G city. The research tool which used in this study were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fes Instrument; STEBI developed by Riggs and Enochs (1990), and Student Adaptation to College Questionnaire: SACQ. To calculate the frequency, percentage and correlation of each sub factors through SPSS WIN 18.0, the collected data were used the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The self-efficacy, resilience and adaptability of preliminary teachers have mild emotions, so they can look at their behaviors effortlessly and accept as they are without evading negative emotions. They also have the ability to cope with or control stress, and feel more comfortable and positive happiness in social relationships. They have the capacity to accommodate and adjust themselves and have the ability to empathize with the current situation, enabling them to live a healthier, more positive and positive life in social adjustment. Through the research, self-efficacy and resilience are main factors in adaptability for preliminary teachers, and it is also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developing education program to improve adaptability for preliminary teachers who are preparing for employment. 본 연구는 예비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자기효능감 및 탄력성과 적응성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은 G시에 소재한 2년제와 3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남 19명과 여 171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본 연구에 사용한 연구도구는 효능감을 측정하기 위해 Riggs와 Enochs(1990)가 개발한 자기효능감과 탄력성 척도, 그리고 적응성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8.0을 통해 빈도와 백분율 및 각 하위요인간 상관계수를 계산하기 위해 Pearson 상관분석을 사용하였다. 자기효능감 및 탄력성과 적응성이 높은 예비 유아교사는 온화한 정서를 지니고 있어 자신의 행동을 여유롭게 바라볼 수 있으며, 부정적 정서를 회피하지 않고 있는 그대로를 수용할 수 있다. 또한, 사회관계에서 보다 편안하고 긍정적인 행복감을 느끼며 스트레스에 대처하거나 조절하는 능력이 있고, 수용 및 조절 능력이 증가되어 현재 상황에 대한 공감하는 능력이 있어 사회 적응하는데 있어 보다 건강하고 적극적이고 긍정적인 생활을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유아교육기관에 취업을 위해 준비하고 있는 예비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적응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KCI등재

        부모의 의도적 통제, 사회적 양육행동, 유아의 의도적 통제와 유아-교사관계 간의 관계

        이미나,강수경,김민정 한국유아교육학회 2018 유아교육연구 Vol.38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parents' effortful control and child-teacher relationships with the mediating effects of parenting style and child’s effortful control. Participants were 450 parents and 82 teachers from Gyeonggi province. Data was analyzed by the IBM SPSS 23.0 and AMOS 21.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parent’s effortful control, parental style and child’s effortful control directly affected child-teacher relationships. Mother's effortful control had a direct effect on maternal parenting behavior, and father's effortful control affected paternal parenting behavior. Furthermore, maternal parenting style and paternal parenting style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child’s effortful control. Child’s effortful control exerted negative influence on conflict relationship of child-teacher and positive influence on intimacy relationship. Second, the indirect effects of parent’s effortful control, parenting style, and child’s effortful control to child-teacher relationships were found to be indirectly influenced by child’s effortful control through parenting style. Maternal parenting behavior and paternal parenting behavior showed indirect influence on conflict relationship of child-teacher through child’s effortful control. Similarly, paternal parenting style had an indirect influence on intimacy relationship of child-teacher through child’s effortful contro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