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통합상담론적 집단수련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예비연구

        이장호,최송미,최원석 한국건강심리학회 2009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14 No.1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Integral Group Counseling with supplementary procedure of yoga-meditation as a preliminary approach to develop an integral group counseling program. In the group program of this study, the yoga exercise and meditation were included in each weekly group sessions, along with the group members' invdividual log for yoga-meditation reported to the counselor's weekly in-session feedbacks. The major results of the study are in such that, upon completion of 10 group sessions of college students(n=9), the pre-post reduction rate of anxiety-depression-anger affects measured by MAACL turned out significant thus supporting the main tenet of the Integral Counseling approach. Some implications relevant to this result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제 1공동연구자의 통합상담론(이장호, 2005)을 대학, 대학원생 집단 상담에 적용한 결과를 토대로 통합상담론적 집담수련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시도적 연구이다. 본 연구의 통합상담론적 집단수련의 회기는 요가동작-명상 절차의 도입과 집단원들의 주간 명상기록(명상일지) 보고에 대한 상담자 논평으로 진행되는 전반부와, 집단구성원 개별관심사의 대처방안 관련 교류적 대화-상담자 피드백으로 진행되는 후반부의 두 부분으로 구성된다. 즉 회기 초 요가-명상절차의 도입 및 회기 외 명상일지 과제가 통합상담론적 접근의 뚜렷한 특징이며, 집단원 관심사 관련 집단원 상호작용 및 상담자의 정리-종합적 개입 등의 과정은 전통적 집단상담의 접근과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본 연구결과는 총 10회기 프로그램의 진행전․후의 사전-사후 MAACL척도의 비교에서 통합상담집단(n=9명)은 통합상담론적 집단수련 프로그램 실시 전보다 프로그램 실시 이후 통계적으로 의미 있게 전반적 정서상태가 긍정적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불안수준이 의미있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통합상담론적 집단수련의 건강심리학적 함의 및 타 명상 관련 타 연구결과와의 이론적 연계 필요성이 고찰되었고, 본 연구의 한계 등이 논의되었다.

      • KCI등재
      • KCI등재

        그리드 기반의 토목공학 원격실험 시스템

        이장호,정태경,Lee, Jang-Ho,Jeong, Tai-Kyeong 한국정보처리학회 2007 정보처리학회논문지 A Vol.14 No.2

        최근 공학 분야에서 실험시설에서 진행된 실험에 대한 실험 결과를, 지리적으로 떨어진 곳에 있는 연구자들이 직접 해닝 실험 시설을 방문하지 않고서도 효과적으로 공유할 필요가 늘어나고 있다. 특히 토목 공학의 경우, 연구자들이 원격지의 실험 시설에서 진행 되는 실험에 참여할 필요성이 점점 증가하고 있다. 게다가 구축 비용이 매우 높은 실험 시설의 경우 보다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원격으로 사용되는 것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이용률을 높일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그리드 기술을 이용하여 분산된 주요 토목 공학 실험 시설들을 연결하여, 지리적으로 떨어져 있는 연구자들에게 원격 실험에 참여할 수 있게 하고, 실험 시설들에서 이루어진 실험들의 결과들이 자동적으로 원격지의 연구자들에게 공유될 수 있게 하는 KOCED(Korea Construction Engineering Development)라고 불리는 프로젝트에서 개발 중인, 토목 공학 분야의 원격 실험 환경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이를 기반으로 하여, 지리적으로 떨어져 있는 2개의 물리적 실험 장비 사이트와 1개의 수치해석 시뮬레이션 사이트를 연동시키는 하이브리드 실험시설에 대한 설계를 하고 그 프로토타입의 구현 및 테스트를 통하여 그리드 기반의 토목 공학 실험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Recently, in the engineering area, there is an increasing need for researchers at a distance to share the result of the experiment, without having to visit the experiment facilities. Especially in the civil engineering, researchers feel the need for participating in a experiment conducted at a distant location. In addition, it is suggested that high-cost facilities should be used by remote researchers thereby increasing the utilization rate. This paper proposes a remote experiment environment in civil engineering that are being developed in a project called Korea Construction Engineering Development(KOCED), which connects major civil engineering experiment facilities using grid technology, allows researchers to participate in a remote experiment, and has the experiment results shared by remote researchers automatically. Then, based on the suggested environment, we designed a hybrid test facility that involves two physical experiment facility sites and one numerical simulation site that are geographically apart. Then, we implemented its prototype and ran some tests, which showed a possibility of grid-based civil engineering experiment.

      • KCI등재후보

        광역철도사업의 지정기준 개선방안 연구

        이장호 한국재난정보학회 2012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Vol.8 No.3

        광역철도사업 추진과 관련하여 분류기준, 지정요건 등이 모호하여 지방정부는 재정지원비율이 높으면서 동시에 운영부담이 없는 국가시행사업으로 요구하게 되는 문제점을 낳았다. 이에 본 연구는 광역철도 사업이 본래의 기능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도록 지정기준을 재정립하였으며, 광역철도 사업의 세부 유형구분, 시행주체, 지정절차 등에 대해서도 규정의 정립을 제안하였다. 인구주택총조사 결과를 이용하여 광역철도의 범위를 정하고, 표정속도를 높여 도시철도와의 차별성을 확보하는 등의 형태로 광역철도 지정요건 개선방안을 마련하였다. 이에 따라 중앙정부의 재정소요를 경감하고 지방정부의 책임성을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보행의 건강제고 효과를 고려한 도시철도 이용 편익 연구

        이장호,우연식,우승국,이동윤 한국교통연구원 2018 交通硏究 Vol.25 No.3

        The current economic feasibility analysis of public transport facilities does not reflect the benefits of health promotion to the increase in walking distance necessarily associated with public transportation. In this paper, we suggested a methodology for estimating the walking health benefits from the urban railway use and applied it to actual cases. The reduction of social cost due to the increase of walking distance was estimated based on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In case of the railway project, the method of calculating the benefit by decreasing the mortality rate, decreasing the medical expenses, and reducing the number of absent days was suggested by using the walking access ratio and the average access distance to/from the railway station. The walking health benefit by railroad users who use railroads more than five times a week was estimated at about 903,000 won per year. Specifically, the benefit from the decrease in mortality rate was the largest at 860,000 won. The benefit for the reduction of medical expenses was 36,000 won and the benefit for the decrease in absent days was at about 7,000 w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an promote the utilization of railway and it can provide a basis for the estimation of benefit from the health promotion in the feasibility of the railway facility investment project. 현재 대중교통 시설투자와 관련한 경제적 타당성 평가에서는 대중교통 이용 시 필연적으로 연계되는 보행거리 증가에 대한 건강증진편익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대중교통, 특히 도시철도 이용 시 필연적으로 연계되는 보행거리 증가에 대한 건강증진편익 산정방법론을 제시하고 실제 사례에 적용해 보았다. 국내외 선행연구에 대한 검토를 통하여 보행량 증가에 따른 질병 및 사망률 감소를 추정한 연구들을 살펴보고, 이러한 선행연구 검토결과를 기초로 보행거리 증가에 따른 사회적 비용 감소를 편익산정 시 반영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철도사업 시행에 따라 철도역 접근통행에 있어서 도보접근 비율 및 평균 접근거리를 이용하여 사망률 감소, 질병(의료비)감소, 결근일수 감소에 따른 편익 산정 방법론을 제시했다. 제시한 방법론에 따라 주5회 이상 철도를 이용하는 신규 출근목적 보행접근 철도이용객 1인의 보행에 따른 건강 제고 편익은 연간 약 90만원으로 분석되었다. 이 중 사망률 감소에 따른 편익이 86만원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며, 질병(의료비) 저감편익이 3.6만원, 결근감소 편익이 0.7만원 수준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철도의 이용증대를 도모할 수 있고, 철도시설 투자사업의 타당성 평가 시 해당 사업의 편익으로 반영할 수 있도록 하는 근간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 KCI등재

        임상검체에서 분리된 병원성 사상균의 분자생물학적 분석

        이장호,권계철,구선회,Lee, Jang Ho,Kwon, Kye Chul,Koo, Sun Hoe 대한임상검사과학회 2020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KJCLS) Vol.52 No.3

        임상 검체에서 분리된 65개의 사상형 진균을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이 균주들은 형태학적으로 동정이 불가능한 진균, 형태학적으로 유사하여 동정이 까다로운 균주, 종(species) 수준의 동정이 요구되는 균종들이다. PCR과 염기서열분석은 ITS. DiD2, 그리고 β-tubulin 유전자를 표적 부위로 하였고, 증폭된 염기서열은 상동성 분석을 위하여 GenBank 데이터베이스의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형태학적으로 속 수준의 동정이 가능한 진균은 61.5%이었고, 65주의 염기서열분석으로 62 균주는 속과 종의 동정이 가능하였다. 형태학적 검사와 염기서열분석의 결과, 속과 종이 불일치한 경우 14주(21.5%)이었고, 형태학적으로 동정이 불가능하였던 사례는 11 균주이었다. B. dermatitidis, T. marneffei, 그리고 G. argillacea 등은 염기서열분석으로 국내에서 처음으로 확인하였다. Aspergillus와 같이 흔히 분리되고 성장이 빠른 진균들의 경우에는 형태학적인 검사가 보고시간과 비용 면에서는 매우 유용한 방법이다. 분자유전학적인 검사 방법은 비용과 임상적 중요성 등을 고려하여야 하지만 분자유전학적 검사를 병행하여 신속하고 정확한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Sixty-five molds isolated from clinical specimen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All the isolates were molds that could be identified morphologically, strains that are difficult to identify because of morphological similarities, and strains that require species-level identification. PCR and direct sequencing were performed to target the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region, the D1/D2 region, and the β-tubulin gene. Comparative sequence analysis using the GenBank database was performed using the basic local alignment search tool (BLAST) algorithm. The fungi identified morphologically to the genus level were 67%. Sequencing analysis was performed on 62 genera and species level of the 65 strains. Discrepancies were 14 (21.5%) of the 65 strains between the results of phenotypic and molecular identification. B. dermatitidis, T. marneffei, and G. argillacea were identified for the first time in Korea using the DNA sequencing method. Morphological identification is a very useful method in terms of the reporting time and costs in cases of frequently isolated and rapid growth, such as Aspergillus. When molecular methods are employed, the cost and clinical significance should be considered. On the other hand, the molecular identification of molds can provide fast and accurate results.

      • 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