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SCOPUSSCIEKCI등재

        성견에서 수직적 골결손부에 골이식후 교정력 적용시기에 따른 치주조직의 반응

        이상열,이기헌,황현식 대한치과교정학회 2001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31 No.3

        본 연구는 수직적 골결손부에 골이식을 시행한 후 교정력 적용시기에 따른 치주조직의 반응을 알아보고자 시행하였다. 체중 15 kg 내외의 성견 9마리에서 상악 좌우측 제3절치의 원심 치근면에 수직적 골결손을 형성하고 치주질환을 유발시킨2주 후 치주판막술을 시행하고 골결손 기저부 수준의 치근면에 기준 흠을 형성하였다. 골이식 후 치유기간에 따라 2주군, 4주군, 6주군으로 각각 3마리씩 분류하고 우측 제3절치는 치주판막술만 하는 비이식측으로, 좌측 제3절치는 치주판막술과 골이식을 병용한 이식측으로 설정하여 양측 모두 술후 2주, 4주, 또는 6주부터 120 gm의 교정력을 적용하여8주 동안 치체이동 시킨 후2주간 보정하였다. 이후 동물을 희생시키고 조직표본을 만든 후 치주조직의 반응을 비교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모든 실험동물에서 비이식측에 비해 이식측의 골재생양이 많이 나타났다. 2. 6주군에서는 홈에서 백악-법랑 경계부까지 거리의 1/2이상 치조골과 백악질이 재생되었고 상피의 하방증식없이 결합조직대가 치근면과 부착을 이루었다. 3. 4주군에서는6주군과 유사한 치주조직 재생소견을 보였으나 그 양은 더 적게 나타났다. 4. 2주군의 경우 골재생이 양측 모두 홈에 한정되어 나타났으며 상피의 하방증식이 홈의 기저부까지 연장되고 백악질과 결합조직의 재생은 관찰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는 치주질환에 의한 수직적 골결손 환자에서 치주판막술과 골이식을 시행하고 교정적 치아이동을 할 경우 교정력 적용시기에 따른 치주조직의 반응이 차이가 있음을 시사하였다. (주요 단어 : 수직적 골결손, 골이식, 교정력 적용시기, 치주반응)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iodontal response according to the timing of orthodntic force application after bone graft into the angular bony defect. Nine dog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2, 4, and 6 weeks, according to the timing of orthodontic force application after bone graft. Periodontal angular bony defects were created surgically at the distal aspect of both maxillary third incisors. Two weeks later, flap operation was performed to eliminate inflammation and reference notch was made on the root surface at the level of the bottom of each defect. Demineralized freeze-dried bone was implanted on the left side whereas only debridement was done on the other side. Experimental tooth movement was executed during 8 weeks on both graft and non-graft sides. After 2 weeks of retention period, animals were sacrificed for histologic specimens. The results were obtained as follows : 1.New bone formation was more pronounced in the graft side than in the non-graft side in all experimental animals. 2.In the 6-week group, new bone and cementum formation was observed in more than half from the notch to the cemento-enamel junction, and the zone of connective tissue attachment was found without apical migration of junctional epithelium. 3.In the 4-week group, the amount of new bone formation was smaller than in the 6-week group whereas the overall remodeling pattern was similar. 4.New bone formation was confined to around the notch and the junctional epithelium migrated apically to the level of the notch with no connective tissue attachment and cementum formation in the 2-week group.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suggest that periodontal response may be influenced by the timing of orthodontic force application after bone graft into angular bony defect. Key words : Angular bony defect, Bone graft, Timing, Periodontal response

      • 유전자 알고리즘을 이용한 다중 레이더 펄스열 분리

        이상열,윤기천 대한전자공학회 2003 電子工學會論文誌-SP (Signal processing) Vol.40 No.6

        본 논문은 유전자 알고리즘을 이용한 새로운 레이더 펄스열 탐지 기법을 제안하며, 전자전 시스템의 위협식별을 위한 펄스열 분리에 사용될 목적으로 개발되었다. 기존의 펄스열 탐지는 히스토그램 혹은 연속 웨이브렛 변환을 이용한 결정론적 접근이 일반적이었으나, 전자전 신호환경에서 빈번히 발생하는 신호누락, 잡음 및 대전자전 레이더 신호에 대해서는 탐지 신뢰성이 떨어진다. 제안한 기법은 펄스 도래시간만을 이용하는 펄스열 탐지 기법으로서 유전자 알고리즘의 확률론적 특성을 이용하여 설계되었다. 본 기법에서는 펄스의 도래 시간차를 초기 염색체로 구성하였으며, 펄스위상을 정의하여 이를 이용한 적합도 검증을 수행하였다. 그리고 다중 신호원의 분리를 목적으로 하는 레이더 펄스열 탐지를 위해서 비용함수를 이용한 조기 종료 및 그룹화를 적용하였다. 제안한 기법을 이용하여 모의 레이더 신호에 대해 실험한 결과 기존의 방법에 비해 탐지 위협개수 및 펄스 반복 주기의 탐지 정확도가 향상되었음을 확인하였다. We propose a new technique of deinterleaving multiple radar pulse sequences by means of genetic algorithm for threat identification in electronic warfare(EW) system. The conventional approaches based on histogram or continuous wavelet transform are so deterministic that they are subject to failing in detection of individual signal characteristics under real EW signal environment that suffers frequent signal missing, noise, and counter-EW signal. The proposed algorithm utilizes the probabilistic optimization procedure of genetic algorithm. This method, a time-of-arrival(TOA) only strategy, constructs an initial chromosome set using the difference of TOA. To evaluate the fitness of each gene, the defined pulse phase is considered. Since it is rare to meet with a single radar at a moment in EW field of combat, multiple solutions are to be derived in the final stage. Therefore it is designed to terminate genetic process at the prematured generation followed by a chromosome grouping. Experimental results for simulated and real radar signals show the improved performance in estimating both the number of radar and the pulse repetition interval.

      • CdS/Cu_xS 이종접합 박막태양전지의 특성

        李相烈,徐東珠 조선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1985 自然科學硏究 Vol.8 No.1

        CdS polycrystalline films were deposited on the ITO substrate by the chemical bath deposition method. CdS/Cu_xS heterojunction thin film solar cell formed on CdS thin films using a chemical reaction method. The maximum short-circuit current, open-circuit voltage, fill factor, and energy conversion efficiency of CdS/Cu_xS heterojunction thin film solar cells obtained at 60mW/㎠ were found to be 6.2mA/㎠, 0.3 volt, 0.44, and 1.3%, respectively.

      • KCI등재

        경계 요소법을 이용한 2차원 비등방성 복합재료 탄성체의 비파괴 결함 추정

        이상열 한국전산구조공학회 2004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Vol.17 No.1

        본 연구에서는 경계 요소법을 이용하여 2차원 비등방성 탄성체의 손상 규명을 수행한다. 경계에서의 적분항만을 포함하는 본 수치모델은 1차원으로 줄게된다. 이러한 장점은 특히 균열 역학과 같은 문제에 있어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또한 일정 영역을 분할하는 기법을 피함으로서 수치해석 과정을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수행할수 있기 때문에 역문제 해결에 있어서 장점을 갖는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등방성 재료에 대한 비파괴 추정기법을 복합신소재와 같은 비등방성 재료로 이루어진 탄성체의 해석에 대하여 확장한다. 먼저 경계요소법에 의한 수치모델의 타당성을 기존의 문헌과 비교 검증하며, 서로 다른 특성을 보이는 비등방성 형식의 변화에 따라 실제 측정시 발생하는 노이즈 영향을 분석한다. 수치예제는 적층 형태 및 하중조건에 대하여 수행하며, 결함 추정에 미치는 적층 형태의 영향을 시험한다. In this paper, the defects of two-dimensional anisotropic elastic bodies are identified by using the boundary element method. The use of numerical models that contain only boundary integral terns reduces the dimensionality of the problem by one. This advantage is particularly important in problems such as crack mechanics. Avoiding domain meshing is also particularly advantageous in the solution of inverse problems since it overcomes mesh perturbations and simplifies the procedure. In this paper, nondestructive approaches for the existing isotropic materials are extended to analyze the elastic bodies made of anisotropic materials such as composites. After verifying that the proposing boundary element model is in good agreement with numerical results reported by other investigators, the effect of noise in the measurements on the identifiability is studied with respect to different design parameters of layered composites. Sample studies are carried out for various layup configurations and loading conditions. The effects of the layup sequences in detecting flaw of composites is explored in this paper.

      • SCOPUSKCI등재

        馬像顔面形 症候群의 治療

        박철규,이상열 大韓成形外科學會誌 1985 Archives of Plastic Surgery Vol.12 No.2

        Bone tumors of the mandible, maxilla, and facial bones are relatively uncommon and their histologic characteristics not infrequently result in confusion and indecision with respect to diagnoses. Giant cell granuloma is benign reactive lesion of bone occuring more commonly in the mandible and seen predominately in children, adolescents and young adult. Giant cell granuloma of the jaws have to be considered reactive lesions and not true neoplasms with malignant potential. The true Giant cell tumor of the bone is more specifically a lesion of long bones. The granuloma usually presents as a swelling or expansile lesion within bone and is commonly associated with a sensation of increased pressure or pain. Roentgengrams show radiolucent area of varying size, and , on occasion, the ubiquitous "soap bubble" appearance is presented. The management of the Giant cell granuloma is generally considered to be thorough curettage and surgical excision to the margins of the lesion. Here we report a case of Giant cell granuloma of the mandible in two years old female pati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