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國內 中小企業의 環境經營시스템 構築에 관한 硏究

        이근상,李根祥 한국자원공학회 2004 한국자원공학회지 Vol.41 No.2

        In recent years, environmental issues have been become critical concerns of business even to the small and medium firms. Many domestic companies are rapidly accepting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s(EMS) that confirm ISO 14001 guidelines in order to remain competitive in the global market place. This paper aims to review and analyze major procedures during the pursuit and implementation of ISO 14001 in the small and medium firms. Upon resulting on questionaries surveyed 74 domestic small and medium companies already certified, this study identified and ranked key characteristics of the sample companies, motivational factors corresponding to ISO 14000 certification, detailed decision factors during major steps of the certification process, and problems and hindrance factors in adopting ISO 14001 standards.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useful to other small and medium firms that are in the process of adopting the standard where they do not have clear pictures of critical factors for successful implementation. 최근 환경 문제가 중소기업에게도 중요한 관심사로 부각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세계 시장에서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하여 ISO 14001 인증을 통한 환경경영시스템의 보급이 급속히 확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중소기업들의 환경경영시스템(ISO 14001) 추진 및 인증단계에서의 주요 과정을 조사,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인증을 취득한 74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응답 결과를 바탕으로 조사대상 기업의 주요 현황, ISO 14001 인증의 동기 및 목적, 인증 과정 중의 주요 단계별 결정 요인들, 인증 과정에서 직면한 주요 문제들을 파악하고 순위를 결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환경경영시스템의 도입을 원하는 여타 중소기업들이 ISO 14001을 성공적으로 구축하는데 필요한 핵심요인들을 이해하는데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 KCI등재

        드론 영상 기반 식생지수를 이용한 농경지 토지이용 분류

        이근상,최연웅,임승현,조기성 한국측량학회 2022 한국측량학회지 Vol.40 No.6

        The vegetation index is an index that evaluates the vitality of vegetation by using the reflectivity values for eachwavelength region of the image. Recently,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quickly analyze the vegetationindex using drone images. The growth status of crops can be monitored by parcel by overlapping the vegetationindex with the parcel polygon, but no research has been attempted to understand the land use characteristics ofagricultural land through this. In this study, the accuracy of the drone-based vegetation index was evaluated byselecting farmland from reclaimed land,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a technology that can classifyland use by using the statistical information of the vegetation index with the highest accuracy. First, a droneimage was taken to calculate various vegetation indices such as NDVI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SAVI (Soil Adjusted Vegetation Index), NDRE (Normalized Difference Red-edge Index), and GNDVI (Green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As a result of evaluating the accuracy of the vegetation index usingthe ASD FieldSpec 4 spectrometer, NDVI was found to be the most effective for monitoring the vegetation of thetarget site. In addition, relatively simple types of land use such as rice, corn, farms, and fallow land, which aremainly found in reclaimed farmland, were classified using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statistical informationof NDVI for each parcel. To check the accuracy of the drone image-based land use analysis result, the Kappacoefficient was found to be as high as 0.914 as a result of comparing it with the data conducted on the site. 식생지수는 영상의 파장영역별 반사도값을 이용하여 식생의 활력도를 평가하는 지표이며, 최근 드론 영상을 활용하여 식생지수를 신속하게 분석하는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 식생지수를 필지 폴리곤과 중첩할 경우 작물의 생육 상태를 필지별로 모니터링할 수 있으나, 이를 통해 농경지의 토지이용 특성을 파악하는 연구는 시도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간척지 농경지를 대상지로 선정하여 드론 기반의 식생지수 정확도를 평가하였으며, 가장 정확도가 높은 식생지수의 통계정보를 활용하여 토지이용을 분류할 수 있는 기술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먼저 드론영상을 촬영하여 NDVI, SAVI, NDRE, GNDVI와 같은 다양한 식생지수를 계산하였으며, ASD FieldSpec 4 분광계를 이용하여 식생지수 정확도를 평가한 결과 NDVI가 대상지의 식생 모니터링에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필지별 NDVI의 평균 및 표준편차 통계정보를 이용하여 간척지 농경지에 주로 나타나는 벼, 옥수수, 농장, 휴경지와 같이 비교적 단순한 형태의 토지이용을 분류하였다. 드론 영상 기반의 토지이용 분석 결과의 정확도를 확인하기 위해, 현장조사를 실시한 자료와 비교한 결과 Kappa 계수가 0.914로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드론 영상 기반의 식생지수를 활용할 경우 간척지의 농경지와 같이 비교적 단순한 형태의 토지이용을 보이는 대상지역의 토지이용을 분류하는데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