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아 노래부르기 능력 분석

        이민정 한국유아교육학회 2010 유아교육연구 Vol.30 No.6

        본 연구는 유아의 노래부르기 활동을 통해 나타난 유아 노래부르기 능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B시에 위치한 1개 유치원 11명의 유아와 K시에 위치한 1개 유치원 11명의 유아 총 22명이며, 유아 노래부르기 능력 및 음역 분석은 2009년 5월 1주부터 7월 2주까지 총 10주 동안 실시되었다. 연구자는 10곡의 악곡을 선정하여 노래부르기 능력 및 음역을 분석하였으며, 노래부르기 능력은 Rutkowski(1986)가 제시한 "유아의 노래부르기 단계" 준거를 사용하였으며 다음과 같다: (1) 전노래부르기 단계 (2) 말하기 범위 노래부르기 단계 (3) 제한된 범위 노래부르기 (4) 초기단계 노래부르기 (5) 노래부르기 단계. 본 연구결과를 간략하게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총 22명의 유아 중 남아 4명, 여아 13명의 총 17명(77%)이 초기단계 노래부르기 능력을 나타냈다. 둘째, 22명의 유아 중 1명의 유아가 전이단계의 노래부르기 능력, 1명의 유아가 제한된 범위 노래부르기 능력을 나타냈으며, 모두 남아로 나타났다. 셋째, 22명의 유아 중 총 3명의 유아가 노래부르기 단계의 전형적인 능력을 나타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children's singing ability through children's singing activity.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11 children in a kindergarten in B City and 11 children in a kindergarten in K city.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a total of 10 weeks from the first week of May through second week of July, 2009. The researcher selected 10 music for singing activity and analyzed children's signing ability according to Rutkowski(1986)'s singing steps as follows: (1) pre-singing step, (2) singing steps within speech range, (3) singing steps with limited range, (4) primary singing step,(5)general singing step. Brief results for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17(77.3%) of total of 22 children showed primary singing ability. They were four boys and 13 girls. Second, One of 22 children showed trans-singing ability and one was primary singing ability. They were all boys. Finally, three of 22 had general singing ability.

      • KCI등재

        Anaphylaxis caused by latex surgical gloves immediately after starting surgery -A case report-

        이민정,도상환,나효석,김미현,전영태,황정원 대한마취통증의학회 2010 Korean Journal of Anesthesiology Vol.59 No.-

        Anaphylaxis is an acute and fatal systemic allergic reaction to an allergen, and it can be an unpredictable and lifethreatening cause during anesthesia. Latex is the second most common cause of anaphylaxis following the use of neuromuscular blocking agents during general anesthesia or surgery. We report on a 67-year-old male who had undergone surgery under general anesthesia without any problem but who presented with severe intraoperative anaphylaxis to latex surgical gloves. This case emphasizes the need for anesthesiologists to quickly diagnose and properly manage an allergic reaction in patients under general anesthesia.

      • KCI등재

        행렬의 수준별 평가에 대한 연구

        이민정,이양 한국학교수학회 2010 韓國學校數學會論文集 Vol.13 No.3

        고교 평준화 정책 이후 교육의 수월성이 소홀히 된다는 이유로 수준별 수업의 실시 방법에 대한 많은 연구들이 있었다. 수준별 수업 이후 수준별 평가에 대한 도입이 2008년 교육과학기술부에서 발표되었고, 이는 학생들이 수준에 맞는 평가를 받는 것을 말한다. 본 연구는 Cotton의 평가가 갖추어야 할 원칙을 참고하여 Gipps의 시험의 영향에 대한 연구 결과를 강조하여 본 연구의 형성평가 문항의 구성기준을 세웠으며 이 기준에 맞게 수준별 평가 문항을 구성하였다. 먼저 본 연구는 MacGregor의 대수를 보는 관점과 Foucault의 관점에서 본 수학 수업과 Foucault의 시험에 대한 생각을 이론적 토대로 하여 행렬 단원의 교수학습 내용을 산술과 구조를 강조하여 도입하였으며 그 후, 학생들의 질문을 받아 학생들의 관심과 수준을 반영하여 수준별 평가 문항을 구성하였다. 그런 다음, 우리는 본 연구에서 설정한 형성평가 문항 기준에 맞추어 평가 문항을 적절하게 수정하였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 KCI등재

        스마트 눈물점마개 삽입 후 발생한 눈물소관염의 임상양상과 치료

        이민정,이경욱,김남주,정호경,곽상인 대한안과학회 2009 대한안과학회지 Vol.50 No.6

        목적: 스마트 눈물점마개(SmartPlug™) 삽입 후 발생한 눈물소관염 환자의 임상 양상과 치료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2006년 1월부터 2008년 10월까지 서울대병원 안과에서 눈물소관염을 진단받은 환자 중, 눈물점마개 삽입의 병력이 있고, 그 종류가 스마트 눈물점마개임을 확인한 환자 6명 8안을 대상으로 하여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대상 환자는 평균나이 34.3±8.6세, 여자가 5명, 남자가 1명이었다. 눈물점마개 삽입부터 증상 발현까지의 기간은 평균27.0± 27.0개월(범위: 4~77개월)이었다. 내원 시 호소한 흔한 증상은 결막의 점성 분비물(6안), 결막 충혈(2안)이었다. 모든 환자에게 onesnip 눈물점성형술 후, 눈물소관소파술 혹은 눈물소관압박술로 눈물점마개를 제거하였다. 시술 후 모든 환자에서 증상이 소실되었음을 확인하였다. 결론: 스마트 눈물점마개를 삽입받은 환자에서 결막 분비물, 충혈 등의 증상을 호소할 때 눈물소관염을 의심해야 하며, 눈물점마개의 제거로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다. 눈물점마개의 제거는 눈물점성형술 후 눈물소관압박술을 우선 시도해 보는 것이 좋겠다. Purpose: To report the clinical features and treatment of canaliculitis associated with SmartPlug punctal plug insertion. Methods: Case selection criteria included patients with canaliculitis, who were managed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rom January 2006 to October 2008, presenting with a history of punctal plug insertion. The operation reports were reviewed to identify patients in whom SmartPlug was discovered during the operation. Six patients (8 eyes) were identified, and a retrospective chart review was performed for all the patients. Results: The mean age of the patients was 34.3±8.6 years, and there were 1 men and 5 women. Common symptoms were mucous discharge (6 eyes) and conjunctival injection (2 eyes). The mean time from insertion of the plug to onset of symptoms was 27.0±27.0 months (range 4 to 77 months). All patients underwent surgical removal of the punctal plug by one-snip punctoplasty, canalicular retrograde compression using 2 cotton-tipped applications (2 eyes), or canalicular curettage (6 eyes). All patients had resolution of symptoms after the procedure. Conclusions: Canaliculitis should be considered when there is conjunctival discharge or injection in patients with SmartPlug. One-snip punctoplasty and retrograde compression of canaliculus can be attempted preferentially as a minimally-invasive treatment option.

      • KCI등재

        지역중심 교·보육기관 설립을 통한 가정보육시설 통합관리방안

        이민정,성소영,나귀옥,김정화 한국유아교육학회 2007 유아교육연구 Vol.27 No.6

        This study seeks to understand family day care in the context of its increased needs in order to promote public service for education & child care. Thus the study contributes to the discussion surrounding the changes in community-based education & child care center that can lead to better quality of education and child care for infants and young children. The integration of community-based education & child care center is expected to lead a higher quality of education and child care including teacher qualification, family child care management, professional knowledge, and higher teacher qualifications as well as a refinement of techniques and information in publicizing education & child care for infants and young children. This study addresses the integrative roles of community-based education and child care centers that enable them to provide comprehensive systematic and professional support. 본 연구는 현재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가정보육시설에 대한 수요를 교․보육의 공공성 강화라는 관점에서 이해하고 영유아를 위한 가정보육시설의 질적 수준 향상을 위한 방안으로서 지역사회 중심의 교․보육기관 설립에 관해 논의하고자 하였다. 지역사회 중심의 교․보육기관 설립을 통해 가정보육시설의 교사전문성, 시설운영능력, 전문적 지식․기술․정보제공 등의 질적인 수준을 안정시키고 교․보육의 공공성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가정보육시설이 공공성의 기능을 갖기 위해서는 가정보육시설의 고유성을 보완할 수 있는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지원이 필요하며 이러한 역할과 기능을 담당할 수 있는 지역사회 중심의 교․보육기관의 역할에 관해 논의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곱셈과 괄호 기호의 사용에 대한 연구

        이민정,이양,양성필,박미숙 한국학교수학회 2012 韓國學校數學會論文集 Vol.15 No.4

        중등학교의 함수와 방정식 단원을 지도할 때 수식의 표현에서 곱셈과 괄호 기호를 생략하는 경우 일부 학생들이 오류를 보이는 것을 늘 발견할 수 있다. 학습 부진이 없는 학생들은 함수와 방정식에 있는 문자가 어떤 수를 대표한다는 것과 관련된 원리들을 알기 때문에 오류를 거의 범하지 않지만 학습 부진이 있는 학생들은 이런 원리들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상태에 있기 때문에 오류를 자주 보이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수학사 속에서 다양한 변화와 발전을 거듭해온 곱셈과 괄호 기호에 대해 먼저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설문지를 이용한 조사를 통해 효과적인 지도방법에 대해 연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함수와 방정식을 지도할 때 학습이 부진한 학생들에게 제시되는 수식표현에서는 곱셈과 괄호 기호를 생략하지 않을 것을 제안한다.

      • KCI등재

        지능정보사회의 핵심 기초 소양 배양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설계: 컴퓨팅 사고와 AI 리터러시

        이민정,이기성,전주현,김영민 중앙대학교 다빈치미래교양연구소 2022 교양학연구 Vol.- No.20

        With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and advanced computing devices and software, the amount of data that can be collected worldwide increases explosively, and based on this, various intelligent activities required in each field of society are automated. It means the Intelligent Information Society has arrived, where everything is connected through information infrastructure and expanded to automation of the intellectual realm based on AI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The intelligent information society requires the talented people who can utilize computing devices or software by collecting necessary information by utilizing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nfrastructure to solve problems after finding and rationally interpreting them in a future-oriented way, as well as possessing specialized knowledge in the relevant field. In this paper, we introduce computational thinking and AI literacy, which are emerging as basic competency that everyone must have in the intelligent information society, and the AI a nd s oftware liberal arts education system applied for all students of University C to cultivate them. This case of systematically building an AI and software curriculum for all students in response to such social changes and demands helps to design a curriculum to nurture convergence talents with problem-solving capabilities in various fields based on AI and software expect this to be. 정보통신기술(ICT)의 발달, 고도화된 컴퓨팅 기기와 소프트웨어의발전으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수집될 수 있는 데이터는 폭발적으로증가하고 이를 기반으로 사회 각 분야에 요구되는 각종 지능적인 활동이 자동화되는 시대로 변화하고 있다. 모든 것이 정보 인프라를 통해연결되고 AI(Artificial Intelligence) 기술을 토대로 지적 영역의 자동화로확장되는 지능정보사회(Intelligent Information Society)가 도래한 것이다. 지능정보사회에서는 해당 분야의 전문지식을 갖출 뿐만 아니라 미래 지향적으로 문제를 발견하고 합리적으로 해석하여 정보통신기술 인프라를 활용해 필요한 정보를 수집하고 활용해 컴퓨팅 기기 혹은 소프트웨어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춘 인재를 요구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지능정보사회를 맞아 모든 구성원이 갖춰야 할 기초소양으로 대두되고 있는 컴퓨팅 사고와 AI 리터러시에 관해 알아보고이를 함양하기 위한 C 대학의 전교생 대상 AI・소프트웨어 교양 교육체계의 사례를 소개한다. 지능정보사회에서는 사회 모든 분야에서 지능화된 기계를 통해 빅데이터와 기계학습과 같은 인공지능 기술을 접목하여 기존의 산업을 혁신하는 기반이 조성되었다. 이와 같은 사회적변화와 요구에 맞추어 전교생을 위한 AI・소프트웨어 교육과정을 체계적인 구축 사례를 통해 AI와 소프트웨어를 기반으로 다양한 분야에서문제해결 역량을 갖춘 융합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교육과정의 설계에도움을 주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