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성희롱-이성애제도-조직문화 그 연관성에 관한 고찰

        이성은(Lee Sung Eun) 한국여성학회 2003 한국여성학 Vol.19 No.2

        본 논문은 이성애적 실행으로서의 성희롱이 한국의 이성애 제도를 재현하는 성적순결, 결혼제도와 어떠한 연관성을 가지는 지를 검토하고 또한 성희롱이 일어나는 대표적인 장인 조직 내의 성별, 성문화가 성희롱의 발생과 어떠한 관련성이 있는지를 고찰한다. 이를 고찰하기 위하여 질적 방법론에 기초하여 28명의 사무직 여성 노동자와 심층 연접법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첫째, 이성애적 제도로서 순결이데올로기와 결혼 제도 내에서의 성에서 비롯된 지배적인 이중규범은 여성을 성희롱의 저항할 수 없는 피해자로 남성을 일상화된 성희롱의 가해자로 만드는데 주요하게 기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이러한 이성애제도에 근거한 남생 중심적, 이성애 중심적 성별, 성문화는 다양한 양태에 성희롱을 유발시킬 뿐 아니라, 성희롱을 유지 공고화하는 실질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본 논문은 성희롱의 문제 해결은 단지 새로운 법안의 수립, 제도의 개혁을 통해서 가능하기 보다는 이성애 주의에 대한 도전, 조직문화에 대한 구체적인 문제제기를 통해서 가능함을 주장한다. This article examines how sexual harassment as a heterosexual incident is not only perpetuated by heterosexuality as an institution but also related to gendered and sexual organizational culture in Korea. In doing so, the data of this research derives from qualitative interview with 28 female clerical workers who work in Seoul in Korea. Firstly, this research found that the specificity of Korean heterosexuality is characterized as the dual norm based upon the ideology of sexual chastity and sexuality within marriage. Therefore, Korean female workers affected by the institution of heterosexuality are unable to assertively respond to sexual harassment. Whereas women are defined as a sexual victim, men are regarded as a common harasser. Secondly, this research shows how the incident of sexual harassment is linked with the gendered and sexual culture in the Korean workplace. The gendered organizational culture is featured as the first, inequality of opportunity in employment, sex-discrimination in income and promotion, the second, sex discrimination against married female workers, the third, a uniform for female workers only. The sex-discriminated features contribute to see women not as a worker with an equal ability but as a office wife and a sexual object. Moreover, sexual culture of Korean organizations is mainly related to the 'drinking culture' within the institution of the 'office party'. This drinking culture is male-centered and male-dominated, so most female workers are forced into sexual service roles. In this circumstance, the various forms of sexual harassment are occurred within the office parties and therefore it demonstrates that the sexualized organizational culture is a main cause of sexual harassment. As a result, in order to study incidents of sexual harassment within each society, a research on the sexual harassment- heterosexuality-organizational culture complex is indispensible.

      • 교도권과 교부들 : 아우구스티누스의 이성, 신앙, 권위 이해

        이성효(Lee, Seonghyo) 수원가톨릭대학교 이성과신앙연구소 2017 이성과 신앙 Vol.62 No.-

        하느님은 아우구스티누스의 사상에서 신학의 주체이다. 아우구스티누스는 오직 이성만으로 진리에 이르고자 마니교에 빠지기도 했고 아카데미 학파의 학설에도 귀를 기울였다. 그러나 그는 이성만으로 진리에 도달하기에는 무엇인가 부족함을 깨달았다. 마침내 그는 이성으로 진리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권위가 필연적으로 필요함을 체득한다. 그는 성경과 교회의 권위에 자신을 맡기면서 이성과 신앙의 조화란 새로운 길을 걷기 시작한다. 아우구스티누스는 이해하기 위해서 믿고, 믿기 위해서 이해하라고 권고한다. 하느님께서 인간을 통하여 직접 계시하신 진리, 곧 구약성경과 신약성경의 말씀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하느님에 대한 믿음을 가져야 함을 강조한다. 바로 신학의 주체가 하느님이기 때문이다. 가톨릭 신학의 대상은 하느님이시다. 어느 누구도 계시된 진리와 하느님의 도움에 힘입지 않으면 신학의 대상에 대해 알 수 없다. 신학의 대상은 신앙의 내용이다. 신앙의 내용은 신자들이 ‘살아 왔고’ ‘살고 있는’ 신앙 안에 보존되고 전승된다. 누군가 전승된 신앙의 내용과 다른 내용을 언급하면 교회는 권위를 발동하여 올바른 신앙의 내용을 지키고 보존한다. 교회는 신앙의 핵심적인 내용을 담아 신경을 선포하고 지역교회에 전해준다. 가톨릭 신학의 목적은 하느님께 이르는 것이다. 덴칭거가 교회의 권위로 최종 결정한 신앙과 도덕에 관한 실증적 문헌들을 무시하거나 경시하고 자기 임의대로 이해하는 것이 신학 연구에 가장 큰 해를 끼치고 있다고 지적한 것은 신학의 진정한 목적을 일깨우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덴칭거가 『신경 편람』을 편찬한 것은 새롭고 훌륭한 가톨릭 신학을 드러낸 것이라 말할 수 있다. God is the subject of Augustine’s theological world. In his search for ultimate truth he flirted with Manicheanism and was temporarily swayed by Neo-Platonism. His intellectual quest, however, which lead him to see the limitations of these approaches, eventually brought him to understand the necessity of authority. That is, in giving himself over to the authority of Sacred Scripture and the Church, Augustine discovered the harmony of faith and reason. He came to affirm that “I believe, in order to understand; and I understand, the better to believe.” We, in other words, arrive at the truth within humans and in the Sacred Texts, through an a priori faith in God. God is, in other words, the ultimate subject of theology. Likewise, the subject of Catholic theology is God. Without God’s help, no one can understand this theological reality. The curriculum of theology is faith: the lived and living faith which believers preserve and transmit. The exercise of magisterium in the Church is to distil from amongst its competitors the faith which is to be proclaimed. The heart of this belief is found in its proclamation by the local churches. The goal of Catholic Theology is to arrive at God. Denzinger is a great help in awakening this most sacred purpose of theology and pointing to the more damaging mistakes of ignoring, neglecting or arbitrarily interpreting the teaching magisterium. Within this context, the publication of Denzinger. as a “Compendium of Faith ” is rightly to be seen as a refreshing and worth revelation of Catholic faith and doctrine.

      • KCI등재

        정산의 치교사상

        이성전(李聖田)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6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69 No.-

        정산(鼎山宗師, 法名 宋奎, 1900-1962)은 원불교 초대 종법사로 교조 소태산 대종사(少太山大宗師 朴重彬, 1891-1943)의 깨달음에서 비롯되는 구세경륜(救世經綸)을 체계화하고 실현하기위해 진력하였다. 소태산의 인도상(人道上) 요법(要法)을 주체로 결함 없는 문명세계를 건설한다는 이상 실현의 한 축은 정산에게서 치교사상으로 정리된다. 치교란 ‘이끌고 함께 함’을 뜻하는 교화(敎化)의 다른 표현이라고 할 수 있다. 개인 가정 사회 국가 세계를 막론하고 사람을 다스리고 교화하는 세 가지 길로 도치, 덕치, 정치를 제시한 것이 그것이다. 도치는 도로써 다스리고 교화함을 말하고 덕치는 덕으로 다스리고 교화함을 의미하며 정치는 정으로 다스리고 교화함을 뜻한다. 치교의 가장 원만한 길은 도치와 덕치와 정치가 함께 아울러 조화 협력해나가는 것이다. 이 가운데 도치와 덕치는 종교가에서 맡았고 정치는 법률가에서 맡았다고 한다. 정산은 치교에서 지도자의 정신적 자각을 가장 중요하게 부각시키고 있다. 자각된 정신을 지닌 지도자의 사심 없는 마음에서 솟아난 지혜와 용단이 치교의 핵심이다. 지도자의 가장 근본은 텅 비어 두렷하고 원만하여 흔들림 없는 마음 바탕이라는 입장이다. 그는 종교적 지도자의 입장에서 구체적 현실사회의 정치를 거론하면서도 천지의 마음에 바탕하여 인간의 도리를 다하는 종교적 심성을 기반으로 할 것을 제시한다. 본고에서는 그의 치교사상 가운데 정치사상을 『건국론(建國論)』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건국론』은 정산이 광복 2개월 후에 저술한 것으로 바람직한 건국의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건국론』에 나타난 그의 치교사상은 기본적으로 소태산 대종사의 정교론을 계승하고 있다. 소태산은 종교와 정치의 관계를 수레의 두 바퀴, 엄부와 자모, 동남풍과 서북풍에 비유하여 함축적으로 시사하고 있다. 이들은 상호 보완적이며, 각자의 역할을 다함으로써 서로의 존재를 완성시켜준다는 입장이다. 특히 ‘강자 약자 진화상의 요법’에서는 지도자의 역할과 민중의 단합된 힘이 이루어내는 균형 잡힌 상생의 사회진화론을 천명하였다. 정산이 『건국론』에서 밝힌 정치의 입장은 이념적으로는 좌우의 편향성을 배제하고 중도를, 외교적으로는 중립주의 외교노선을 지향하고 제도는 공화제도를 제시하였는데 여기서 공화제는 민주공화제의 의미로 받아들여 진다. 사회경제에서는 균등의 원칙을 제시한다. 『건국론』의 정치사상은 좀 더 확장되어 세계보편윤리로서 드러난다. 민족, 종교, 사상의 갈등을 넘어 상생의 정신으로 큰 문명세계를 건설하자는 이념이다. 정산은 미래 시대를 어두운 음시대가 아닌 밝은 양 시대라고 전망한다. 치교의 방향은 이러한 시대적 변화에 적절하게 응하며, 많은 사람이 행할 수 있고 실제로 유익을 얻는 법이어야 한다. 그의 치교론은 이러한 시대인식에 바탕하여 밝은 문명세계를 건설하고자하는 열망을 반영한 것이다.

      • KCI등재후보

        大韓自强會 교육론의 도구적 성격 연구

        이성 韓國敎員大學校 敎育硏究院 2009 敎員敎育 Vol.25 No.4

        교육은 인간의 합리적 이성계발을 강조하는 본래적 기능과 국가 및 사회의 현실적 문제를 교육을 통해 해결하려는 수단적 기능 사이의 모순을 내포해왔다. 정치·경제적으로 국가와 민족의 존폐가 최우선시 되는 시기, 교육목적은 어떠한 기능에 초점을 두어야 하는가의 문제는 해당 시기 교육사상을 이해할 수 있는 관건이 된다. 만약 역사적 현실을 반영하여 교육의 본래적 기능보다 수단적 기능이 강조되었다면, 교육목적이 원래의 취지대로 달성될 수 있는가는 많은 논의의 여지를 남긴다. 이러한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국가와 민족의 존폐가 사회적 이슈가 되었던 시대, 즉 한국근대교육 형성기에 설립된 대한자강회 교육론의 성격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한자강회의 교육이념이었던 대한제국정신, 조국정신, 한국정신, 대한정신 등의 개념은 대한제국의 독립을 위한 인재양성 보다는 일본제국주의에 대한 애국심교육과 일맥상통하였다. 일본 제국주의로 부터의 독립을 교육의 최우선 과제로 삼았던 대한자강회의 교육목적은 합리적 이성계발을 통한 인간해방이라는 교육의 내재적 가치 추구보다는 국가의 독립을 쟁취하기 위한 수단으로 교육을 바라보는 외재적 가치를 추구하였다. 결국 근대문명과 근대지식으로 국민을 계몽하려 했던 대한자강회의 교육구국론은 교육의 수단적 기능을 중시한 결과 본래의 취지와는 다른 결과로 일본제국주의의 식민지 침략을 기정사실화하는 토대를 제공할 수밖에 없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nstrumental value represented the educational theory of Daehan Jaganghoe, which was formed in the era of Korean Education modernization. In particular, it is to examine on which function the educational aims are focused during the dangerous situation whether the country and nation disappears or not. Furthermore, it is to research that if the educational aims focus on the function of means, how they would accomplish the orignal aim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educational aims of Daehan Jaganghoe showed the results pursuing the external values considering the education as a tool to achieve national independence rather than about pursuing the original values of the education which is a human liberty through the rational reason development for each individuals. The ideology of education is changed from "Korean imperial spirit", "Country spirit", "Korean spirit" and "National spirit" to the patriotic education for Japanese imperialists. Finally, the efforts of Daehan Jaganghoe that enlightens the people on modem civilization and modem knowledge provided the fact taken for granted the Japan's colonial imperialist aggression.

      • 통시적(Diachronique) 관점에서의 아우구스티누스의 인간 이해

        이성효(Lee, Seonghyo) 수원가톨릭대학교 이성과신앙연구소 2009 이성과 신앙 Vol.41 No.-

        통시적 방법으로 아우구스티누스의 인간 이해를 살펴보면, 시기에 따른 특징적인 해석기준을 밝혀낼 수 있다. 이 해석기준으로 아우구스티누스의 인간 이해를 재조명하면 흥미로운 결과가 나타날 수 있다. 초기작품(386-388)에 나타나는 인간 이해에 대한 특징적인 면은 먼저 아우구스티누스가 하느님과 영혼에 대한 이해에 집중하는 점이다. 비록 그리스 철학의 영향에서 자유롭지 못해 anima, animus, mens 등 영혼을 지칭하는 개념을 인간의 ‘이성적 영혼’(anima rationalis)을 표현하는 데 사용하지만, 아우구스티누스는 교회의 전통적 가르침인 ‘하느님 모상(imago Dei)’과 ‘하느님 유사성(similitudo Dei)’을 인간 이해의 해석기준으로 분명하게 제시한다. 마니교 반박 시기(388-411)에 아우구스티누스는 ‘육체가 없는 것’과 ‘영적인 것’을 모순되지 않다고 보고 이를 영혼 개념 안으로 통합시킨다. 더 나아가 인간존재의 보다 심층적인 면을 살펴보면서 ‘정신적육체적 상태’(affectio)를 통해 사람을 이해한다. 마니교도 논박을 위해 제시한 인간 이해의 해석기준은 하느님께로 '향하는 사람’(conversio)과 ‘등을 돌리는 사람’(aversio), 곧 ‘conversio - aversio’로 나타난다. 펠라기우스 반박시기(411-430)에 아우구스티누스는 자신의 내면으로 들어가 심리·내면적 인간 이해를 시도한다. 펠라기우스는 신플라톤적 인간 이해의 세 요소(영 혹은 정신Νους-영혼Ψυχη-육신Σαρξ)와 육신(corpus)이란 범주에 모두를 하나로 묶는 스토아적 인간 이해를 그대로 수용한다. 아우구스티누스는 이러한 펠라기우스의 인간 이해가 성경의 인간 이해와 명백한 차이가 있음을 spiritus와 mens개념을 통해 논증한다. 또한 ‘영혼’과 ‘영’을 ‘영혼’으로 통합시키면서 펠라기우스파의 주장의 오류를 밝힌다. 영혼은 사람의 한 부분이 아니라 전체를 지칭하는 개념으로 나타난다. 영혼에 대한 이해 없이 하느님을 알 수 없고 하느님에 대한 이해 없이 사람을 알 수 없기 때문이다. 결론적으로 아우구스티누스의 해석기준은 ‘하느님 모상’, ‘하느님 유사성’, ‘회개와 회피’(conversio-aversio), ‘육체·정신적 상태’(affectio), ‘내적 인간’(homo interior) 등이다. 이 해석기준은 그의 인간 이해에서 차지하는 ‘영혼’ 개념이 얼마나 중요한지 그 가치를 잘 드러낸다. 바로 ‘영혼’은 하느님의 모상이요 유사성이며, 회개와 회피 사이에 또한 겸손과 교만 사이에 노출된 인간존재이고, 그리스도의 은총에로 향하는 내적인간을 지칭하는 개념이다. Si nous recherchons à la manière diachronique la compréhension par Augustin de l'homme, nous trouvons sa concentration sur Dieu et l'â̂me de l'homme dans les oeuvres écrites entre l'année 386 et 388. Il adopte les conceptions de la philosophie grecque, qui désignent l'â̂me, à savoir anima, animus, mens, pour traiter de l'â̂me rationnelle, mais son critère principal de cette compréhension est l’image et la similitude de Dieu, notions que l'on emploie à propos de l'homme dans la tradition ecclésiale. A la période de la controverse contre les manichéens(388-411), Augustin relève le lien entre la conception d’incorporéité et celle de spirituel dans l’âme. Bien plus il comprend l’homme par l’affection spirituelle et corporelle, en regardant le plus profond de l’homme. Ainsi, nous découvrons que le critère principal de la compréhension de l'homme chez lui est l’aversion et la conversion. A la période de la controverse contre les pélagiens(411-430), Augustin, entrant dans son intérieur, essaie de comprendre intérieurement et psychologiquement l’homme. Les pélagiens acceptent la compréhension platonicienne de l’homme composé d’ésprit(Νους), d’âme(Ψυχη) et de corps(Σαρξ), et celle stoïcienne de l’homme harmonisé dans le corps. En utilisant les concepts de spiritus et mens, Augustin révèle la différence entre la compréhension de l'homme dans la Bible et celle faite par les platoniciens et stoïciens. Enfin il manifeste la fausseté pélagienne, en intégrant l’âme et l’esprit dans l’âme. A cette époque-là, pour lui, l'â̂me désigne l'homme total. Car on ne peut pas comprendre Dieu sans comprendre l’âme, et l’homme non plus sans comprendre Dieu. En conclusion, les critères principaux de la compréhension de l'homme chez Augustin sont l’image et la similitude de Dieu, l’aversion et la conversion, l’affection corporelle et spirituelle, ainsi que l’homme intérieur. Cela trahit l’importance du concept d’âme dans sa pensée, âme qui est l’homme en tant qu’image de Dieu, située entre l’aversion et la conversion, et entre l’humilité et l’orgueil. Enfin, l’âme désigne chez lui l’homme intérieur se mouvant vers la grâce du Christ.

      • KCI등재

        1960년대 남북한의 경제성장과 노동분배 비교

        이성봉(李聖鳳) 신아시아연구소(구 신아세아질서연구회) 2006 신아세아 Vol.13 No.2

          이 연구는 1960년대 산업화시기에 남한과 북한의 노동분배와 노동자의 생활수준의 변화를 비교하고자 하는 것이다. 1960년대 남북한은 비슷한 발전 단계, 고도성장 정책, 그리고 국가의 강력한 개입에 의해 산업화가 추진되었다는 공통점이 있다. 따라서 1960년대는 자본주의와 사회주의라는 매우 이질적인 체제에도 불구하고 좋은 비교 연구의 맥락을 제공해주고 있다. 남북한의 노동분배와 노동자의 생활수준을 비교하기 위해 국민총생산 중 소비지출의 비율, 임금수준의 향상과 소비자 물가 지수, 그리고 노동시간을 비롯한 노동조건의 변화 등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검토를 통하여 남한과 북한의 노동자들은 모두 경제성장률에 훨씬 못 미치는 노동분배를 받았으며, 노동조건은 더욱 열악해졌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국민총생산액 중 소비지출의 비율에서는 남한이 북한에 비해 훨씬 높은 수준에서 유지되었으며 실질임금의 상승에서도 남한이 북한에 비하여 더 높았다. 이는 북한이 소비보다는 축적에 집중했으며, 그만큼 노동자를 비롯한 일반 국민들의 소비 수준은 극히 억제되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결국 남한과 북한의 노동자들은 노동과 경제적 성장에 대한 충분한 대가를 받지 못했다는 공통점이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회주의 북한에 비해 자본주의 체제인 남한의 노동자들이 경제성장의 과실을 분배받았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transition of labor"s share and living standard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in 1960"s. In 1960"s, North and South Korea had many similarities, such as developing level, rapid-growth economy policy, and government"s role for developing. This study compares the consumption ratio of GNP, wage increase and consumer price index, and working circumstances. Through these works, this paper concludes that there was not proper distribution for workers and working circumstances got worse in both of the two. But South Korea"s consumption proportion in GNP and real wage increasing were higher than them in North Korea.

      • KCI등재

        디지털 미디어 시대의 광고 변화와 감성광고

        이성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6 조형미디어학 Vol.19 No.4

        Since the Industrial Revolution, there have been a lot of changes in human life and science also has been innovatively developed. Since then, the development of science technology has met the digital era and influenced the overall culture and society. Digital media technology, connected with a new trend, is also leading human living and the whole culture. This popularized digital media technology is able to give lots of changes to advertisements with the advent of emotions. The is the reason why emotion advertisements are generally accepted by the public as a means of attracting viewers' eyes in the various contents and kinds of ads administered by means of digital media. But the appraisal of advertising appeals via emotions is differently shown up to now. There are two different views: One is a negative view of selling not merchandise but emotions through exaggerated story wrapping, and the other a positive view of purchasing emotions by stimulating innate human emotions. Besides, a variety of views are also being shown. The research is to discuss the transitions and trends of advertisements, reasonal and emotional appeals, and find out the points emotion advertisements are going to aim for and the possibility of development. The methods of the research examine the basic theories and articles on emotions and emotion advertisements, and finally discuss the problems and development possibilities through case studies of emotion advertisements administered in media. As a conclusion, while executing advertising by means of either reasonal or emotional appeals. the important thing is to read consumers' trends. Above all, the most important thing is the development of stories which can stimulate consumers and appeal to them along with sales power. For this purpose, the role of story-telling is more important than anything else. And through this, advertisement contents which can naturally assimilate and touch consumers by the stories should be made and then excite consumers' emotions. 산업혁명 이후 인간의 삶은 많은 변화가 있었고, 과학의 발전 역시 혁신적인 발전했다. 이후 급속한 과학기술의 발전은 디지털 시대를 맞이하게 되었고, 문화ㆍ사회 전반에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또한 디지털 미디어 기술은 새로운 트렌드와 연관되어 인간 생활과 문화 전반을 이끌고 있다. 이렇게 대중화된 디지털 미디어 기술은 광고에도 많은 변화를 주었고, 이와 함께 대두된 것이 감성이다. 이는 디지털 미디어를 통해 집행되는 다양한 내용과 종류의 광고 속에서 시청자의 시선을 끌기 위한 방법으로써 감성광고는 대중들에게 보편적으로 받아들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감성을 통한 광고 소구에 대해서는 지금까지도 그 평가가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과장된 스토리의 포장으로 인해 상품이 아닌 감성을 판다는 부정적인 측면과 인간 본연의 감정을 자극하여 감성을 산다는 긍정적인 시각이다. 이외에도 다양한 시각이 나타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광고의 변화와 트렌드 그리고 이성적 소구와 감성적 소구에 대해 논의하고 감성광고가 지향해야 할 점과 발전 가능성에 대해서 알아본다. 연구의 방식은 감성과 감성광고에 대해 기존 이론과 기사들을 바탕으로 조사하고, 미디어 속에서 집행되는 감성광고의 사례조사를 통해 최종적으로 문제점 및 발전 가능성에 대해 논의한다. 결론적으로 이성소구든 감성소구든 광고의 집행에 있어서 중요한 것은 소비자의 트렌드를 읽을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특히 감성광고의 집행에 있어서 제일 중요한 것은 판매력과 더불어 소비자의 마음을 자극해 사로잡을 수 있는 이야기의 전개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스토리텔링의 역할이 중요하다. 또한 이를 통해서 소비자가 자연스럽게 이야기에 동화할 수 있고 감동할 수 있는 내용의 광고를 만들어 소비자의 감성을 자극할 수 있어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