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수학 및 과학의 사례에 근거한 국어 문법 기반초등 교과 통합 교육의 방향 탐색

        이관희,맹승호,장혜원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21 한국초등교육 Vol.32 No.특별호

        This study examined the instrumental features of language art, as a potential case ofgrammar-based integrated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subjects, to foster communicativecompetencies in mathematics and science. It was investigated how the grammatical understanding oflinguistic elements could affect specific reasoning and knowledge construction in math and science. First, we argued the instrumental features of grammar in language art regarding both domain-generaland domain-specific cases. Then, we analyzed exemplary cases of grammar-based instructions inmath and science. In mathematics, the nominalization drawn on systemic functional linguistics couldbe the critical linguistic point to help learners’mathematical transforming a task expressed bystatements. Grammatical analysis of explanation texts in science textbooks showed that sciencelearners should know the linguistic forms of science language to facilitate their science knowledgeconstruction. This study proposed various ways of integrating language art with other disciplinesbased on grammar-based integrated education. 본고는 국어 문법에 기반한 초등 교과 통합 교육의 가능성으로서, 수학과와 과학과의 의사소통 역량을 함양하기 위한 국어 교과의 범교과적 도구성의 의미를 탐색하였다. 또한, 언어적 요소에 대한 문법적 이해가 수학과 과학 교과의 고유한 사고 및 지식 구성 방식에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지를 타진하였다. 먼저 문법 영역의 도구성을 ‘교과 보편성’과 ‘교과 특수성’으로 구분하여 조망하였다. 그리고 수학과 과학 교과에서 문법 기반 교과 통합의 방향성이 드러난 구체적 사례를 조사하였다. 수학 교과에서문장제로 표현된 수학적 과제를 언어적으로 재표상하는 과정에서 체계기능언어학의 명사화가 학습자들의 수학적 대상화를 도울 수 있는 중요한 언어적 요소임을 밝혔다. 또한,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의 설명 텍스트를 문법적 시각에서 분석하는 작업을 통해 학습자의 과학 지식 구성을 견인하기 위해서는 특정한 언어 형식을 의도적으로 노출할 필요가 있음을 모색하였다. 본고에서 제안한 ‘문법 기반 통합 교육’의 관점에 근거하여 국어 교과와 타 교과 간의 다양한 통합 교육의 방안이 다층적으로 전개되어야함을 논의하였다.

      • KCI우수등재

        파일 열람 행위에 의한 영장집행의 문제점과 디지털 저장매체 수색압수구조의 개선방안

        이관희,이상진 법조협회 2020 法曹 Vol.69 No.4

        Without the digital technology, only a little part of my secret would have been recorded on a paper and hidden in desk drawer. However, now everything is kept in digital devices and it is appalling to even imagine that someone snoops through my smartphone. Even if not a great deal of secret is in it, the device is very personal space that photos of me and my family, random thoughts and ideas, and vague future plans that might sound absurd to others are located. For this reason, the widely promulgated view is that there is a stark difference between confiscating one piece of paper and a digital device that contains thousands or hundreds of millions of copies. The principle of printout and copy set forth in Article 106 section 3 of the Criminal Procedure Act is what has been introduced to limit the scope of seizure of digital device, which is deemed as an aggregated body of privacy, and its purpose is reasonable. However, we need to contemplate whether this principle is sufficient as a way not to infringe on privacy that the owner of the confiscated device expects to be protected. If the investigating agency is allowed to go through the whole 1TB storage data to search for what is only a single page data, the principle of printout and copy alone cannot function as a measure to minimize privacy breaches, as his privacy is no longer deemed protected, unless the scope of the search is limited. Before setting the scope of the seizure, we should first find ways to reduce the scope of search. By minimizing the search scope, including specifying the method and duration at the time of issuing a search warrant, defining the search scope by implementing data preservation measures when it is not specified, utilizing automatic technology, and keeping a record of perusing. 디지털 기술이 없었다면 나의 은밀한 영역은 일부만이 종이 위에 기록되어 책상 서랍 속에 숨겨져 있었겠지만 이제는 나의 모든 것이 디지털 기기에 기록된다. 이런 이유 때문에 누구든지 내 스마트폰을 열어 본다고 생각하면 끔직하다. 대단한 비밀이 숨겨져 있지 않다고 할지라도 나와 일상을 같이 하는 스마트폰은 내 가족의 사진들, 아무렇게나 써놓은 글들, 미래에 대한 유치한 계획들이 정제되지 않은 상태로 들어 있는 오로지 나만을 위한 공간이기 때문이다. 이제 한 장의 종이를 압수하는 것과 수천, 수억만 장이 저장될 수 있는 디지털 저장매체를 압수하는 것은 그 결을 달리한다는 인식이 널리 퍼졌다. 형사소송법 제106조 제3항에서 정한 출력복제의 원칙은 프라이버시의 집약체인 디지털 저장매체에 대한 압수의 범위를 제한하려는 노력의 결과물이며 따라서 그 취지는 타당하다. 그러나 이 원칙이 과연 피압수자가 가지는 프라이버시에 대한 기대를 침해하지 않는 방법으로써 충분한 것인지 다시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수사기관이 가져갈 데이터의 크기가 문서 한 장의 분량에 해당할지라도 이를 찾아내기 위해 1TB 크기의 저장공간을 열어본다면 1TB에 저장된 프라이버시는 이미 무너져 버리기 때문에 수색의 범위를 한정하지 않는다면 출력복제의 원칙만으로는 프라이버시 침해를 최소화하기에 역부족이다. 따라서 압수의 범위를 정하기 전에 수색의 범위를 줄일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는 쪽으로 시선을 옮겨야 한다. 영장 발부 단계부터 수색방법과 수색이 허용된 기간을 명시하고, 수색의 범위가 특정되지 않은 경우, 우선 데이터 보존조치를 통해 수색방법을 특정할 수 있도록 하며, 자동화된 기술을 활용하여 탐색하고, 파일을 열람하는 경우에도 그 열람기록을 남기도록 하는 등 수사기관이 관련성 없는 데이터를 직접 열어보는 행위를 통제함으로써 디지털 저장매체에 대한 프라이버시 침해 논쟁을 종식시킬 필요가 있다.

      • KCI우수등재

        경상북도의 문화마을에 대한 문제점 및 개선방향 -어모지구와 무을지구를 중심으로-

        이관희 한국조경학회 1998 韓國造景學會誌 Vol.26 No.3

        This research is concerned with environment problems related to Munhwa-Maul where Korean government are financially much supporting in developing housing sites and constructing houses.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are to find out the problems and to present the practical guidelines in order to improve an environmental quality of Munhwa-Maul in which will be under construction in the near future. The method for finding out the problems are based upon the most atisfaction and dissatisfaction of residents with opened interview. Both Mueur Munhwa-Maul and Umo Munhwa-Maul are considered for this research because Mueur Munhwa-Maul is characterized with a modern village where is located far from the city while Uo Munhwa-Maul, near the city. Also, these Munhwa-Mauls have been firstly constructed. The interview participants are 34 persons in all. They are confined to Mueur Munhwa-Maul and Umo Munhwa Maul that have been firstly constructed in Kyeongook. According to the interviews, each 60% of both Mueur Munhwa-Maul interview participants and Umo Munhwa-Maul ones have shown the their most positive satisfaction in a new housing and facility. It can be seen from that these figures that housing environment including facility of both Munhwa-Mauls is surely improved and successful. On the other hand, 43.8% of Mueur Munhwa-Maul participants and 14% of Umo Munhwa-Maul ones have particularly shown the most negative satisfaction in a size of housing lot. Also, 15.6% of Mueur Munhwa-Maul interview participant and 44% of Umo Munhwa-Maul ones have stated the most dissatisfaction in a traffic convenience. The reasons showing these differences are likely that 90% of Mueur Munhwa-Maul residents are farmer while 85% of Umo Munhwa-Maul ones are not farmer. With this results the purpose of munhwa-Maul project that government has been supporting and the reality of Umo Munhwa-Maul could be never coincident. Therefore, it can be inferred that housing layout should be reconsiderd to be appropriate for agriculture and that the government should carefully consider the contributions of new housing lot to real farmers. In addition, we can say that Munhwa-Maul project should be firstly accomplished in the district far from the city rather than near the c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