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감로도에 나타난 아귀의 정체성 연구

        이선이(李鮮?)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23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98 No.-

        In currently the oldest currently available Yangak[揚諤]s Cheonjimyeongyangsulyug-uimun[天地冥陽水陸儀文] has accepted the concept of vidyārāja[明王] of the wrathful Buddha[忿怒尊] and the Pure Land rebirth of the seven-tathagata-yogas through the cursed energy[呪力] adhiṣṭhāna(加持). Geondanbeop[建壇法] is based on the Sibji[十地] - practice of the Geumgwangmyeongchoiseungwang-Kyung[金光明最勝王經] and the adhiṣṭhāna of the seven-tathagatas of the Yugajibyoguanandalaniyeomgugweuigyeongkyung [瑜伽集要救阿難陀羅尼焰口軌儀經] . Hyeso(慧沼) interprets the darani-practice of the Shibji[十地]-Bodhisattva in Geumgwangmyeongchoiseungwang-Kyung as what the Bijeung(悲增)-Bodhisattva and the Jijeung(智增)-Bodhisattva look at each other[望], showing the same world of Shibji. But, in Yangaks Cheonjimyeongyangsulyug-uimun , the ten vidyā-rāja of the wrathful buddha are accepted, but the icon of vidyā-rāja of the wrathful buddha as a Gyolyeonglyunsin(敎令輪身) is not yet revealed. Afterwards, Bijeung-Bodhisattva and Jijeung-Bodhisattva accepted in the Mita-Chambeop[彌陀懺法] of Yetnyemitadoryang-Chambeop(禮念彌陀道場懺法) edited by Wangjaseong(王子成), are accepted as the logic of the ritual of dharma to seek rebirth in the 9 items[九品]. Mita-Chambeop, the form of this ritual of dharma, is accepted in Sulyugmuchapyeongdeungjaeuichwalyo(水陸無遮平等齋儀撮要) . Yangaks Cheonjimyeong - yangsulyug - uimun is influencing Cheonjimyeongyangsurukjaeuihymnyo(天地冥陽水陸齋義纂要) . Finally, the vidyā-rāja of the wrathful Buddha of the collection of rituals for the spirits on water and land is revealed as a Gyolyeonglyunsin with the characteristics of both a vidyā-rāja and a Bodhisattva through the iconography of Amrita Buddhist Painting. The two vidyā-rājas are of the rebirth in the 9 items, Avalokitesvara appears in the form of Bijeung-Bodhisattva and Mahāsthāmaprāpta appears in the form of Jijeung-Bodhisattva, who helps with rebirth. Vidyā-rājas, the embodiment of mercy and wisdom, shows the shape of Gyolyeonglyunsin performing different activities by assuming the Ālīḑha and the Pratyālīha. In this way, the vidyā-rājas of the 1 vidyā-rāja or the 2 vidyā-rājas is a Gyonyeongryun deity based on the rebirth in the 9 item pure lands, and their identity is manifasted by Bijung-Bodhisattva and Jijeung-Bodhisattva.

      • KCI등재
      • KCI등재

        조선후기 水陸齋文에 나타난 불교음식 연구

        이선이(李鮮?)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21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90 No.-

        이 논문은 지환의 『천지명양수륙재의범음산보집』의 육색장축원문에서 불교음식의 특징을 고찰한 것이다. 조선 후기에는 수륙재를 설행하는 기간과 시설하는 단(壇)이 점차 줄어드는 현상이 나타난다. 그 이유는 경제적인 부담을 줄이기 위한 현상으로 해석된다. 비록 설행하는 규모는 줄이지만, 음식을 준비하는 소임은 한국적인 용어를 사용하며 체계화하고 있다. 이러한 특징은 중국에서 인식하고 있는 수륙재의 의미보다는 음식을 매개체로 하는 의례라는 인식의 전환이 반영된 것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공양물의 중요함이 강조되고, 국가조직인 육조(六曹)에서 실무를 담당하는 육색장(六色掌)의 이름을 받아들인다. 그리고 수륙재에서 준비해야 할 공양물을 만드는 직책을 육색장이라고 불렀다. 이러한 특징은 1600년 이전에 성립된 것으로 판단된다. 육색장은 밥을 짓는 반두(飯頭), 밀가루·기름·꿀로 유밀과를 만드는 조과(造菓), 떡을 만드는 조병(造餠), 차를 끓이는 다각(茶角), 정과를 만드는 숙두(熟頭), 국을 끓이는 채로(菜露)이다. 육색장은 아니지만, 육색장이 원하는 것을 만들 수 있도록 재료와 도구를 준비하는 별좌(別座)도 중요한 소임이다. 육색장은 조리 방법을 기준으로 결정된다. 반두는 곡식 낱알을 찌고, 조과는 곡식 가루를 반죽하여 튀기고, 조병은 곡식 가루를 찌고, 다각은 차를 끓이고, 숙두는 근·줄기·열매를 꿀로 졸이고, 채로는 물에 끓인다. 음식으로는 밥, 유밀과, 떡, 차, 정과, 국이다. 한국식생활의 기본 요소인 밥과 국을 제외하면, 떡과 유밀과는 수륙재의 음식에서 중심이 된다. 이는 경전에서 최고의 공양물로 여기는 기름과 꿀을 이용한 유밀과가 수륙재에 전승되고 있는 증거이다. 이와 같이 육색장은 조리법을 기준으로 역할을 나누어 조직화하며, 떡과 유밀과는 불교음식으로 전승된다. 그리고 육색장의 직책 이름이 청규나 경전·주석서에 보이지 않는 것은 한국수륙재의 특징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국수륙재가 수륙재의 공양물에 좀 더 의미를 부여한다는 뜻이다. 지환의 『천지명양수륙재의범음산보집』육색장축원문에는 불교음식의 의미와 분류체계가 나타나며, 유밀과의 전승 모습을 나타낸다. The characteristics of Buddhist food were found in the original text of Jihwan(智還)"s 『CheonjiMyeongyangsuryukjaeieubeomeumsanbojip』 of Yugsaegjangchugwon-text. In the late Joseon Dynasty for Suryukjae, the period of installation and the mandala of installation are gradually decreasing. The reason is interpreted as a phenomenon to reduce the economic burden. Although the economic scale of Seolhaeng is reduced, the job of preparing food is systematized using Korean terminology. This characteristic can be interpreted as shifting to the recognition of rituals using food as a medium rather than the meaning of Suryukjae recognized in China. In this process, the importance of offerings is emphasized, and the name of the Yuksaekjang(六色掌) is accepted. The job of making offerings to be prepared in Suryukjae was called Yuksaekjang. And it can be judged that it was established before 1600s. Yuksaekjang is an artificially made confection that person who cooks(飯頭), artificially made confection(造菓), rice cake maker(造餠), tea brewer(茶角), person who stews fruits in honey and sesame oil(熟頭), person who cooks soup(菜露). Although it is not Yuksaekjang, Byeoljwa(別座) prepares ingredients and tools so that Yuksaekjang can make what she wants. Yuksaekjang determines how to cook. Person who cooks is for steaming grains, artificially made confection for kneading and frying grain powder, rice cake maker for steaming grain flour, tea brewer for boiling tea, person who stews fruits in honey and sesame oil for boiling roots and fruits with honey, and person who cooks soup for boiling in water. Foods are rice, honey and oil, rice cake, tea, and stewed fruit and root vegetable. In this way, the Yuksaekjang is organized according to the cooking method. And it can be judged that it is a characteristic of Korean Suryukjae that the name of Yuksaekjang does not appear in Chinese scriptures or commentaries.

      • KCI등재
      • KCI등재

        한국 선교단체들의 전도유형과 방법에 대한 연구

        이선이(Seonyi Lee) 한국선교신학회 2015 선교신학 Vol.40 No.-

        한국 선교단체는 1960년대에서 1980년대에 크게 활약하여 한국 교회 전도에 영향을 미쳤다. 본 논문은 ‘선교한국 88’에 참여한 한국 선교단체들을 중심으로 전도유형과 방법에 대한 고찰을 통하여 한국 미래의 전도전략을 모색하고자 한다. 전도유형을 현존유형(간접적 방식),선포유형(직접전도와 대중매체), 설득유형(양육과 제자훈련), 능력전도유형(상담과 치유), 선포공동체형성유형(교회개척과 전도특 공대)의 다섯 가지로 분류하여 볼 수 있다. 선교단체들을 그 유형에 따른 분석에 의하면, 대학생 선교단체의 전도유형은 선포, 설득, 선포공동체형성유형에 속한다. 선포유형은 복음전도 훈련을 통한 개인전도, 설득유형은 양육과 제자훈련, 선포공 동체형성 유형은 해외에 교회개척을 하는 것이다. 해외파송선교단체의 전도유형은 선포공동체형성유형과 현존유형이다. 예를 들면, 한국 OMF와 한국OM은 선포공동체형성유형에 속한 단체로서 교회개척의 비전을 가지고 있다. 바울선교회와 GP선교회 역시 미전도 지역에 교회를 세우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현존전도유형의 예로서 한국 국제기아대책기구(KFHI)는 재난 지역, 오병이어선교회(FNGN)는 영양불량 지역, 한나선교회(HA NNAH)는 비개발지역을 돕고 있다. 선교적 관점으로 한국 선교단체를 평가하면 다음과 같다. 대학생 선교단체의 개인전도는 전도의 소명을 학생들에게 불러일으키는 데 기여했지만 다양한 전도방법을 개발하지 못하고 전도에 대한 좁은 시각을 대중화시켰다. 제자훈련과 양육은 교회성장에 기여했지만 개인 구원과 사회적 책임성을 포괄하는 통전적 선교신학을 반영하지 못하였다. 해외파송 선교단체는 주로 교회개척에 비중을 두며 간접적 전도방식의 사역을 하였다. 그러므로 한국선교단체가 미래의 전도전략을 위해 더욱 전문성, 다양성, 통전성이 요구된다. 오늘날의 선교단체들은 과거의 선교단체들보다는 더 조직화되었다. 그런데 한국선교단체는 주로 선포, 설득, 선포공동체유형에 속한다. 제자훈련과 양육은 성령이 함께하지 않으면 지적 추구에 머물게 된다. 한국기독교의 전도유형은 능력전도와 현존전도로 보완되어야 한다. 한국 기독교를 성장시키려면 통전적 전도를 기초로 삶으로 보여 주는 변화인 현존전도와 능력과 치유를 포괄하는 능력전도 유형을 활성화해야 한다. Korean Mission Organizations and their activities were popularized during 1960s to 1980s. The goal of the thesis is examining evangelization types and methods of mission organizations in Korea. There are five evangelization types; presence, proclamation, persuasion, power evangelism and proclamation community formed type. The evangelization types of student mission organizations uses three types; proclamation, persuasion and proclamation community formed type. The method of the proclamation type is through personal evangelization after university students have trained as evangelists. The method of the persuasion type is by nurturing and discipleship training. The method of the proclamation community formed type is church planting in which missionaries go abroad worldwide. Therefore, students mission organizations were devoted to growing Korean churches. Mission organizations that have sent out missionaries have been working in two patterns: the proclamation community formed type and the presence type. For example, by the proclamation community formed type, Korea OMF and Korea OM have a vision for church planting. The Paul Mission and the GP Mission have also tried to set churches in non-Christian regions. For example, by the presence type, KFHI has helped emergency regions, FNGN for malnutrition regions and HANNAH for undeveloped regions. According to the missiological perspective, I evaluated the Korean mission organization. Personal evangelization has provoked students for calling evangelism but was not enough to develop various methods and popularized narrow understanding about evangelization. Discipleship training or nurturing was devoted to church growth but not reflecting whole missiology, both personal salvation and social responsibility. They have evangelized vigorously worldwide, however need more professionalism, diversity and unification for the future. The mission organizations for sending missionaries do not repeat the failure of western missionaries, and will work centering around the natives. Today’s mission organization has developed more than before 1960-80s. The Korean mission organization were mostly used for proclamation, persuasion and the proclamation community formed type. Korean Christians add another type: the power evangelism type and the presence type. The Holy Spirit is the source of the power. Christian life itself will show people Jesus. The discipleship training and nurturing could be approached intellectually without the Holy Spirit. Only by changing our life will create changing in society. Wholistic evangelization is the only way to revive for the Korean Church.

      • KCI등재
      • 노출시간 및 자극유사성에 기인한 유아의 시각 Habituation

        이선 고려대학교 행동과학연구소 1979 行動科學硏究 Vol.4 No.1

        만 4個月된 幼兒의 視覺反應 統合過程이 한쌍의 둥근 눈(Bull's eye) 形態의 刺戟과 다른 한쌍의 옆으로 된 줄무늬 形態(striped pattern)의 刺戟을 單一提示板 위에 提示함으로써 연구되었다. Jeffrey(1968)의 連鎖 해비츄에니션 假設에 따른 豫測은 露出 初期에는 幼兒가 刺戟을 連鎖的으로 훑어보는 視覺行動이 類似한 刺戟쌍에 局限될 것이나 類似한 刺戟쌍에 대한 注意가 減少됨에 따라 선택이 덜 되던 刺戟이 反應形態로서 統合되어질 것이다. 連鎖的인 세 번의 注視를 單位로 한 測定値에 의하면 類似한 刺戟쌍에 局限되었다 注意 反應이 露出 時間에 ‘따라 有意味하게 減少되는 반면, 初期에 低反應率을 보였던 두 개의 類似 刺戟과 하나의 非類似 刺戟에 대한 세 개의 連續的 注視 反應 形態가 有意味하게 增加되었다.

      • KCI등재
      • KCI등재

        송욱의 동서사상 비교와 후기 시론의 지향점

        이선이 ( Lee¸ Sun-hee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20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68

        이 연구는 1970년대 접어들면서 송욱이 수행한 동서사상 비교의 방법과 내용을 분석하고, 이러한 비교의 과정에서 얻게 된 한국사상의 보편문화적 가치가 그의 후기 비평에 어떻게 드러나는가를 살피고자 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토대로 송욱의 후기 시론이 갖는 의미와 지향점을 밝히는 데 궁극적인 목적이 있었다. 송욱은 문학과 사상이 다르지 않다고 보면서 둘을 등가적인 것으로 인식하였다. 문학이 곧 사상이라는 전제는 초기에서부터 후기까지 일관되게 견지한 송욱의 비평적 관점이지만 시기별로는 내용적 차이를 보인다. 후기에 해당하는 1970년대에 송욱의 문학적 지향점을 온전하게 포착하기 위해서는, 이 시기에 수행한 동서사상 비교에 담긴 그의 인식을 명확하게 파악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기존 연구에서 간과되어 왔던 「東西事物觀의 比較」 (1970)와 「東西生命觀의 比較」(1971)라는 두 편의 글을 집중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1970년대에 송욱이 어떻게 동서양의 사유를 비교하면서 한국적 사유의 보편성을 확보해 나갔는가를 살폈다. 또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동서사상의 비교를 거친 이후에 진행한 시집 『님의 沈默』에 대한 비평적 실천(『님의 沈默 全篇解說』(1974))에서 이러한 관점이 어떻게 드러나는가를 살핌으로써 송욱의 후기 시론에 드러난 지향점을 규명하였다. This paper examines the methodology and the contents of comparative study on East/West Thoughts Song Wook carried out in the 1970s, and explores how the value of Korean thought’s cultural universality, an insight which Song Wook had gained in such process of comparison, is shown in his later criticism. This study, therefore, aims to identify the meaning and standpoint of Song Wook’s late poetic theory. Song Wook recognized literature and thought as equivalent; the premise of ‘literature is thought’ had been Song Wook’s consistent critical perspective, thus leading to an eventual need for thorough analysis of Song Wook’s perception of thoughts, to comprehend his literary standpoint. In this paper, Song Wook’s two relatively overlooked theses, Comparative Study on View of Ethics in East and West and Comparative Study on View of Life in East and West, are analysed. By doing so, this paper examines how Song Wook compared Eastern and Western thought as well as secured the universality of Korean thought. Based on this analysis, this paper further explores how such Song Wook’s perspective is shown in his critical interpretation of The Silence of Love by Han Young-un, and identifies the standpoints of Song Wook’s late poetic theo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